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3월4일 전일 국내외 마감시황

작성자 :
야신김동우
작성일 :
03-04 08:04
조회수 :
314
3월4일 전일 국내외 마감시황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기술주들이 약세를 보이면서 뉴욕 증시가 하락 마감했다. 

3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96.69포인트(0.29%) 내린 3만3794.66으로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장중 상승세를 보였으나 장 막판 하락세로 돌아섰다. 
S&P500지수는 23.05포인트(0.53%) 내린 4363.49로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214.07포인트(1.56%) 내린 1만3537.94로 장을 마쳤다. 
국채금리는 하락했다. 이날 1.878%로 출발한 10년물 국채 금리는 1.853%으로 하락했다
이날 기술주들은 약세를 보였다. 
분기 실적을 발표한 옥타(OKTA)와 스노우플레이크가 각각 8.06%, 15.37% 급락한 가운데 소프트웨어주들은 약세를 보였다. 세일즈포스와 어도비는 각각 2.69%, 2.57% 하락했다. 팔란티어는 5.98% 내렸다. 
테슬라는 4.62% 하락했고, 엔비디아도 2.09% 내렸다. 아마존과 메타도 각각 2.74%, 2.47% 하락했고, 넷플릭스와 마이크로소프트는 각각 3.15%, 1.43% 내렸다. 

펠로톤과 줌 비디오는 각각 8.27%, 6.99% 하락 마감했다. 코인베이스는 8.47% 하락했다. 스포티파이와 스냅은 각각 6.40%, 4.58% 내렸다. 
항공주와 크루즈주도 동반 하락했다. 델타 항공과 아메리칸 항공이 각각 3.90%, 4.04% 하락했고, 카니발과 노르웨이 크루즈도 각각 3.95%, 2.63% 내렸다. 
반도체주도 약세였다. 마이크론은 4.42% 하락했고, 퀄컴과 인텔도 각각 2.31%, 1.93% 하락했다. AMD는 5.33% 내렷다. 
전기차주인 루시드와 리비안은 각각 7.94%, 4.95% 내렸다. 
반면 유통, 헬스케어, 유틸리티주는 상승세를 보였다. 

월마트가 2.29% 상승한 가운데, 캐터필러와 다우는 각각 1.16%, 0.79% 올랐다. CVS헬스와 머크는 각각 0.10%, 0.62% 상승했다. 존슨앤존슨은 1.46% 상승했다. 

IBM은 1.67% 올랐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 의장이 인플레이션에 맞서 금리 인상에 나서겠다는 의사를 재차 밝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신중하게 움직일 것'이지만,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과감한 금리 인상에 나설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열린 상원 은행위원회에서 "3월 회의에서 나는 0.25%포인트의 금리 인상을 추천하고 지지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낮아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 이상을 올릴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우크라이나 침공이 일어나기 전 우리가 마음 먹었던 수준에서 3월 금리를 인상하고 올해 계획을 계속해 가는게 적절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현재는 매우 민감한 시기로, 상황이 너무 불확실한데다 우리가 그 불확실성을 더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정책 수행 방식에 있어 신중해야 한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연준은 40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는 인플레이션 문제 해결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인플레이션이 너무 심할 경우 금리 인상폭을 0.5%포인트까지 확대하는 가능성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의해 왔다.

앞서 파월 의장은 전날 하원 금융위원회에서 3월 0.25%포인트 인상을 지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월스트리트는 증시가 바닥을 찾았다는 시각과 아직 조심해야 한다는 경계감이 엇갈리는 모습이다. 
씨티의 전략가들은 이날 미국 주식과 글로벌IT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을 상향조정했다. 씨티의 로버트 버클랜드 전략가는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우크라이나의 어려운 사건에도 불구하고 세계 증시가 상당히 건재했다"며 "우리는 여전히 낙폭과대주를 매수하길 원하며, 전세계 주식들이 과거 지정학적 위기 이후 10~20% 상승 마감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밝혔다. 

알리안츠의 모하메도 엘에리안 최고경제고문은 "증시가 회복세를 보였는데 얼마나 지속될 지 의문"이라며 "연준이 이달부터 시장에 유동성을 투입하지 않기 때문에 점점 약해지고 있는데, 이는 곧 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시장 압박이 심해질 것을 의미한다"고 진단했다. 

웰스파고 인베스트먼트의 스콧 렌 선임시장전략가는 "우크라이나 상황이 매우 유동적"이라며 "시장의 궁극적인 바닥이 어디일지는 모르겠지만 올해 미국 경제가 평균 이상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믿음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코스피가 3일 1% 넘게 상승해 2,740대를 회복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43.56포인트(1.61%) 오른 2,747.08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6.34포인트(0.97%) 오른 2,729.86에 출발한 뒤 상승 폭을 키웠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1천330억원, 기관이 2천604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개인은 3천926억원을 순매도했다.

이날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완화한데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러시아를 신흥국 지수에서 제외한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2일(현지시간)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회에 출석해 이달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를 25bp(1bp=0.01%포인트) 인상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는 시장이 예상했던 수준이다. 
MSCI는 같은 날 러시아 지수가 신흥국(EM) 지수에서 독립시장(Standalone) 상태로 재분류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국내 증시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국내 증시에 1조원 가량의 자금이 유입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에서 삼성전자[005930](1.67%), LG에너지솔루션(0.69%), SK하이닉스[000660](3.20%), 네이버(2.68%),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2.47%), 카카오[035720](1.36%), LG화학[051910](0.54%), 현대차[005380](4.11%), 삼성SDI[006400](0.73%), 기아[000270](2.36%) 등 전 종목이 오름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도 종이·목재(2.06%), 의약품(3.04%), 비금속광물(2.69%), 전기전자(1.77%), 의료정밀(2.61%), 운송장비(1.66%), 유통업(1.73%), 전기가스업(2.95%), 건설업(3.69%), 운수창고(2.89%) 등 전 업종이 강세였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6.87포인트(1.88%) 오른 912.32에 마감했다. 
코스닥지수가 종가 기준 900을 넘은 것은 지난 2월 9일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지수는 이날 5.83포인트(0.65%) 오른 901.28에 출발해 상승세를 지속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이 643억원, 기관이 125억원을 순매수했고, 외국인은 530억원을 순매도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7.47%), 셀트리온제약[068760](8.67%) 등 셀트리온[068270] 그룹주가 큰 폭 상승했고, 엘앤에프[066970](0.74%), 펄어비스[263750](0.99%), HLB(2.29%), CJ ENM[035760](1.08%) 등도 강세였다.


3월4일  야신의 금일의 예상시황/전략포인트?


이번 한주도 잘 달려오고 있었습니다. 금일 주말을 앞두고 성공투자 하여 이번주 주말도 해피하게 보내도록 하죠~~~~
모두들 성투~~~~~~~~~~~

야신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