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평가를 견인할 비상장 자회사들. 가치 상승 기대감 미반영
SK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80,000원을 유지. SK주가는 2021년초 급락 이후 SK텔레콤 인적분할 후의 지배구조 개편 수혜 기대감 또한 희석되면서 상당기간 박스권을 행보 중. 특히 지주사 할인 요인들을 감안하더라도 그룹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투자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고, 재평가를 견인할 수 있는 바이오 및 소재 분야의 비상장자회사 가치 상승 기대감이 전혀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 SK팜테코는 2017년 미국 BMS의 아일랜드 스워즈 공장, 2018년 미국 AMPAC, 2021년 프랑스 Yposkesi 등 3건의 M&A와 더불어 올해 1월 미국 CBM에 3.5억달러를 투자해 2대주주가 되면서 글로벌 행보를 지속 중. Yposkesi와 CBM은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원료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업체로 SK팜테코는 금번 투자로 생산기지 확충을 통한 글로벌 선도 CDMO로 도약이 가능해질 듯. SK팜테코는 1월 10일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내 비상장기업대상 Private Track에 참가한 유일한 국내 기업으로 투자가치를 인정 받았으며 올해 pre-IPO 추진도 예정되어 있음. 그룹 4대 핵심사업 중 하나인 소재 분야의 경우 SK가 SK머티리얼즈를 흡수합병후 재원마련 역할을 담당하면서 성장 동력이 확보. 또한 국내 1위 웨이퍼제조업체인 SK실트론 또한 반도체 및 전기차 생산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가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SK] 하나금융투자 Daily 종합.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