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 리포트
POSCO - 2분기 영업이익 소폭 증가, PBR은 금융위기 수준
- 작성자 :
- HMC투자증권
- 작성일 :
- 06-13 08:33
- 조회수 :
- 463
현재 주가는 금융위기 때의 PBR 수준, 중국 철강가격 하락세 잦아드는 상황
POSCO에 대하여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현재 주가는 PBR 0.77배이다, 이는 금융위기가 발생하
였을 때인 2008년 PBR 밴드의 저점 수준까지 낮아져 있어 Valuation 매력은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또
한 비철강 부문에서는 올해 실적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최근 중국의 철강유통가격도 가격하락세
가 잦아들고 있는 점도 30만원 초반의 주가를 지지할 수 있는 요인으로 판단이 된다. 한편 올해 말 인도
네시아의 크라카타우 제철소(연산 300만톤)가 완공되면서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는 점도 다소 긍정적이
다.
2분기 원가상승하나 일부 품목 가격 상승으로 영업이익 소폭 증가
POSCO의 2분기 개별 실적은 매출액 7조 9,269억원, 영업이익 6,312억원(영업이익률 8.0%), 세전
이익 6,876억원, 순이익 5,570억원으로 예상된다. 영업이익은 전분기대비 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데 원료투입단가는 톤당 0.8만원 상승할 것으로 추정이 되나 일부 내수품목과 수출가격이 상승을 하면
서 평균판매단가가 높아져 원가상승을 상쇄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POSCO에 대하여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현재 주가는 PBR 0.77배이다, 이는 금융위기가 발생하
였을 때인 2008년 PBR 밴드의 저점 수준까지 낮아져 있어 Valuation 매력은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또
한 비철강 부문에서는 올해 실적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최근 중국의 철강유통가격도 가격하락세
가 잦아들고 있는 점도 30만원 초반의 주가를 지지할 수 있는 요인으로 판단이 된다. 한편 올해 말 인도
네시아의 크라카타우 제철소(연산 300만톤)가 완공되면서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는 점도 다소 긍정적이
다.
2분기 원가상승하나 일부 품목 가격 상승으로 영업이익 소폭 증가
POSCO의 2분기 개별 실적은 매출액 7조 9,269억원, 영업이익 6,312억원(영업이익률 8.0%), 세전
이익 6,876억원, 순이익 5,570억원으로 예상된다. 영업이익은 전분기대비 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데 원료투입단가는 톤당 0.8만원 상승할 것으로 추정이 되나 일부 내수품목과 수출가격이 상승을 하면
서 평균판매단가가 높아져 원가상승을 상쇄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