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시장을 이기는 전략-아침 시황
- 작성자 :
- 골드스타
- 작성일 :
- 10-17 06:56
- 조회수 :
- 1816
시황 먼저 말씀드릴게요~
아시아시장은 미국시장이
정치 불확실성에 크게 하락하였고 이러한 흐름속에 아시아 시장 전반이 하락출발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일본의 경우 장막판 엔화약세로 인하여 0.18%상승을 하였고 중국시장은 금요일 GDP등 경제지표 발표를
앞두고 우려감속에 매물이 나와 1.81%하락하였습니다. 그외에
전반적으로 약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한 모습이라 할수 있습니다.
유럽시장은 비록 전날 미국시장이
하락하였지만 여전히 협상타결에 대한 기대감을 가질수 밖에 없다는 점에 기인하여 시장참여자들이 우호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결국 시장은 영국은 0.34%, 독일은 0.47%, 스페인은 0.75%, 이탈리아는 1.45%상승을 하였지만 프랑스는 0.29%하락한 모습입니다.
미국시장은 가장 우려했던
정치적인 불확실성이 상원의 합으로 인하여 극적인 모습을 표출하였고 이러한 흐름과 더불어 베이지북에서 경제성장 둔화 우려감이 나오면서 테이퍼링의
흐름도 완화되는등 시장참여자들에게 우호적인 모습을 보여주었고 존 베이너 하원의장도 협상에서 졌다는 발언을 하면서 하원통과도 쉽게 될것이라는 점까지
겹쳐 결국 205.82포인트 상승한 15373.83으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나스닥은 1.20%, S&P500지수는 1.38%상승을 하였습니다.
역시 오늘 이슈는 정치 협상인데요. 이제는 좀 지겹죠?
양적완화 그리고 테이퍼링으로 몇
달을 끌더니 최근 이슈는 역시 미국 부채한도에 대한 미국 정치권의 협상이었습니다.
먼저 정치협상 타결입니다.
상원 지도부가 부채한도 증액에 대해서 합의하였습니다.
주된 내용은 내년 1월
15일 까지 정부 차입이 가능하게 하고 2월 7일까지
부채한도 증액을 유지하는 방안이였습니다.
그리고 12월 13일까지
전반적인 재정계획을 마련하기로 하였으며 광범위한 재정문제에 대해 해법을 마련위한 위원회도 설립하기로 하였습니다.
결국 이제는 정치불확실성의 타결 모드로 돌입한 모습이라 할수 있는데 문제는 하원이였습니다. 그런데 하원의 존 베이너 의장이 협상에서 졌다는 발언을 하면서 하원에서 먼저 표결에 임하겠다는 발언도 하여
결국 하원 통과도 당연시 되고 있는 상태이며 티파티의 움직임도 공허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제 상하원 통과되고 오바마의 승인이 되면 다음날부터 미 정부의 셧다운이 해소되는 절차만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완전 해결이 아니라는 점에서 시장의 랠리는 단기적으로 그칠것이고 이제는 본격적으로 어닝시즌과
셧다운으로 위축된 경제지표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베이지북입니다.
10월말에
있을 FOMC회의를 미리 예단할수 있는 Beige Book이
발표되었는데 이번 베이지북의 주된 내용은 셧다운으로 인하여 미국의 경제성장이 다소 둔화되었다는 발표가 있었고 이러한 흐름으로 인하여 기업들이 향후
전망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신규투자의 위축도 예상을 하였습니다. 결국 이러한 베이지북의 흐름으로
본다면 이번달 FOMC회의에서도 결국 테이퍼링의 흐름은 보이지 않을것이 거의 확실시 되는 모습이였습니다.
MSCI한국지수는
전날 코스피지수 하락에도 불구하고 우호적인 흐름을 보이면서 0.89%상승을 한 64.69로 마감하며 9월 중순의 전고점을 돌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로인하여 여전히 외국인 매수세는 지속될것으로 여겨지며 사상최장기간 순매수 기간이 될것으로 여겨집니다.
야간선물은 우리장 초반을
알수 있는 야간선물의 경우 외국인이 540계약 순매수하면서 1.15포인트
상승한 271.75로 마감하였는데 이는 환산지수로 2044인데
전날 코스피지수가 2034.61로 마감하였기에 약 10포인트
정도 상승출발할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오늘 우리시장은 장초반
상승폭을 키우면서 출발할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정치적인 문제에서 경제지표와 기업실적등에
집중하는 모습으로 이어질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특히 내일있을 중국의 GDP를 비롯한 각 경제지표가 위축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는 점은 부담스럽고 미국의 셧다운이 장기화되면서 기업들의
투자와 소비위축이 진행될 것이라는 점도 부담스럽기만 합니다. 그러하기에 시장은 상승출발하겠지만 그동안
이미 이번 합의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이 되었다는 점에서 제한적일수 밖에 없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도 외국인의 매수세가 유입된다면 사상최장기간 매수이지만 오늘 조심해야 되는 부분은 일단 최근 외국인의 매수세는 크게 보면 두가지 즉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들어온 매수세와 여타 이머징 우려감에 안전한 우리시장에 유입된 매수세로 나눌수 있는데 여기서 조심해야 되는건 이머징 우려감에 그나마
안전한 우리시장에 유입된 매수세라면 이번 디폴트 해소로 인한 흐름은 매도욕구를 자극할수 있다는 점은 고민해야 될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