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기술적으로 풀어본 국내시장 위치/ 기본적으로 풀어본 해외시장 분석

작성자 :
골드스타
작성일 :
11-03 17:20
조회수 :
1173
 
국내증시 분석 포인트
BOX + 쐐기 +20MA  +++삼성전자
박스권 높이 만큼 운빅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크게 보면 쐐기형 형태
그리고 20MA 지지 (앞전 지지 만큼 강하게 나와주지 못한 것은 아쉬움)
마지막으로 삼성전자
이것만 보면 흐름나옵니다.
 
 
 
 
 
먼저 ISM제조업지수입니다.
셧다운 이후 지표중 하나인 ISM제조업지수, 기업들의 경우 아무리 셧다운이란 이벤트가 있었다 하더라도 섣불리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고용지수 관련된 부분이 크게 악화되는 정도로 해서 전달에 비해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었습니다.

그런데 전달의 56.2나 예상치인 55.0보다 크게 우호적인 56.4로 발표되면서 전날 시카고 PMI지수에 이어 셧다운이 기업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점을 생각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다만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고용지수가 역시나 55.4에서 53.2로 위축되었고 생산도 62.6에서 60.8로 위축된 모습이였습니다.
그러나 향후 전망을 알려주는 신규수주가 60.5에서 60.6으로, 수출이 52에서 57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점은 그나마 좋은 모습이였습니다.

결국 이번 ISM제조업지수의 흐름으로 판단해보면 셧다운의 영향은 기업들에게는 당장은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히지는 않았으나 고용등이 위축되어 향후 흐름에는 부담되는 수준정도로만 해석해야 될것으로 여겨집니다. 그렇기 떄문에 8일 발표되는 고용보고서의 흐름이 어느때보다 중요한 흐름이 될 가능성이 있고 이 흐름에 따라 테이퍼링 시행 시기가지고 한바탕 변화가 불수 있을것으로 여겨집니다.

참고로 성장한 산업은 섬유, 식품, 가구, 전기장비, 가전제품, 전자제품, 운송장비, 비금속광물, 기계 순이였고 위축된 산업은 의류, 가죽, 금속, 화학등 네가지 였습니다. 향후 관련 기업들의 실적전망에도 영향을 줄것이라 좀더 지켜 봐야 될것같습니다.

<ISM제조업지수>
http://www.ism.ws/ISMReport/MfgROB.cfm?navItemNumber=12942


두번째로 미국의 자동차판매대수입니다.
자동차판매건수도 셧다운의 여파가 상당이 영향을 끼칠것으로 생각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연환산 전달에 1530만대, 예상치가 1550만대였는데 발표는 1520만대로 위축된 모습입니다. 셧다운의 영향이 소비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판단되고 있으나 계절적인 영향도 무시못하겠지요.
다만 작년대비 11% 증가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자동차산업은 활성화가 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는 있습니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GM이 전년대비 15.7%, 포드가 13.9%, 크라이슬러가 11.0%증가를 하였고 일본업체인 도요타는 8.8%, 혼다는 7.1%, 닛산은 14.2% 증가하였습니다. 그리고 유럽차는 폭스바겐이 10.2%, BW는 3.0% 증가를 하였습니다.
한국차는 현대차가 6.5%증가했으나 기아차가 6.4%증가에 그치면서 현대기아차를 합해서 전년도에 9만2723대가 팔렸지만 올해는 9만 3309대로 586대 증가에 그쳤습니다.
누적판매수로 보면 현대차는 작년 동기간보다 2%증가했으나 기아차는 4.4% 감소하였고 현대기아차 합하면 106만 7451대에서 105만 7910대로 9541대가 감소했습니다.

<미국자동차 판매건수>
http://www.motorintelligence.com/m_frameset.html


MSCI한국지수는 0.7%상승한 64.35로 마감하였습니다마 특별한 의미부여를 할정도는 아니였습니다.

야간선물은 외국인이 544계약 순매도 하면서 미국시장 상승폭에 비해 적은 0.2포인트 상승한 269.7로 마감하였고 이로인하여 월요일 강보합권에서 출발할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물론 일요일 중국의 PMI서비스업지수의 흐름이 일정정도 영향을 주면서 시장에 변화가 일어날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환율은 NDF역외환율 1개월물이 1064.28원으로 마감하여 스프레드를 감안하면 1062.28원으로 금요일 서울환시가 1060.7원으로 마감하였기에 약 1.5원정도 상승출발할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