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1.06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1-06 13:04
조회수 :
333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양자암호, 보안주(정보), 시스템반도체, 딥페이크(deepfake), HBM(고대역폭메모리), 3D 낸드(NAND),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온디바이스 AI, 바이오인식(생체인식),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반도체 대표주(생산), 카메라모듈/부품,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뉴로모픽 반도체, 유리 기판, 반도체 재료/부품, 폐배터리, 반도체 장비, 리튬, LED장비, AI 챗봇(챗GPT 등), 마이크로바이옴, 아이폰, 2차전지(전고체),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

약세 테마: 일자리(취업), 통신, 출산장려정책, 생명보험, 미용기기, 렌터카, 손해보험, 제대혈,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엔젤산업, 테마파크, 시멘트/레미콘, 피팅(관이음쇠)/밸브,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엔터테인먼트, 리츠(REITs) 등...

 

 

 

<특징 테마>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2.83%) 영향, CES 기대감 부각 등에 상승
▷지난 주말 뉴욕주식시장이 반발 매수세 유입 및 美 제조업 지표 개선 등에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등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2.15(+2.83%) 상승한 5,163.65를 기록. 엔비디아(+4.45%), AMD(+3.93%), TSMC(+3.49%), 마이크론테크놀로지(+2.91%) 등이 상승.

▷CES2025 기대감도 부각.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약 8년 만에 CES 2025에서 기조 연설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업계에서는 이 자리에서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가 공개될 것이라고 기대되고 있음. 또한, SK하이닉스는 이번 CES에서 업계 최초로 HBM3E 16단 제품 샘플을 공개할 예정이며, 최태원 SK하이닉스 회장과 젠슨 황 CEO가 만남을 가질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에이디테크놀로지, 하나마이크론, 테크윙, 오로스테크놀로지, 피에스케이홀딩스, 유진테크, 넥스틴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양자암호: CES 양자컴퓨팅 부문 신설 기대감 지속, 양자컴퓨터 시장 급성장 전망 등에 상승
▷현지시간으로 1월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인 CES 2025(국제전자제품박람회)가 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올해는 글로벌 최대 양자 행사인 '퀀텀 월드 콩그레스(QWC)'와 협력해 양자 기술의 사업화 방안을 논의하는 장이 열릴 예정. 최근 구글과 IBM 등 테크 기업들이 획기적인 양자 컴퓨팅 기술을 잇따라 공개한 가운데, CES 무대에도 양자 컴퓨터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것임.

▷한편, 시장조사업체 프레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양자컴퓨팅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10억9,834만달러(약 1조6,100억원)에서 오는 2034년 약 162억2,310만달러(약 23조8,700억원)로 성장할 전망.

▷이 같은 소식에 아이윈플러스,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아이씨티케이, 아톤, 우리로 등 양자암호 테마가 상승.


2차전지/전기차 등: 테슬라(+8.22%), 리비안(+24.45%)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급등 영향 등에 상승
▷지난 주말 뉴욕증시서 테슬라(+8.22%), 리비안(+24.45%), 루시드(+8.58%)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가 강세를 보임. 지난 2일(현지시간) 테슬라가 지난해 4분기 인도량 실망감 속 급락세를 보였지만, 이날 시장에서는 테슬라가 중국에서 사상 최대 판매 기록을 세웠다는 점이 부각. 테슬라는 작년 4분기에 시장예상치를 하회한 약 49만5,000대의 차량을 인도했다고 발표한 가운데, 중국에서는 4분기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한 약 19만대의 차량을 인도. 이는 사상 최대 규모임. 아울러 시진핑 주석이 신년사를 통해 경기 부양을 약속함에 따라 중국 판매가 더욱 상승할 것이란 기대감도 부각.

▷지난 주말 언론에 따르면, 美 금융매체 배런스는 테슬라에 대해 자율주행·AI, ESS, 로봇을 포함해 앞으로 여러 세대에 걸친 성장 기회를 갖고 있다고 분석하며, 목표주가를 298달러에서 404달러로 상향하고 투자등급 '매수'를 유지한 것으로 전해짐.

▷현지시간으로 3일 리비안은 지난해 4분기 차량 인도량이 1만4,183대라고 밝힘. 이는 시장의 예상치 1만3,472대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전년 대비 42% 급증한 것은 물론, 약 1년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인도량임.

▷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머티, 에코프로, 코스모화학, 하나기술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상승.


화장품: 지난해 화장품 수출 역대 최고 100억 달러 돌파 소식 등에 상승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12월말 기준, 잠정) 한국 화장품 수출 규모는 102억 달러로 전년 대비 20.6% 증가. 이는 역대 최대 수출액인 2021년 92억 달러(약 13조5,600억원)보다 10.9% 증가한 것으로, 국내 화장품 수출 사상 최대 실적임. 국내 화장품 수출은 2012년 처음 10억 달러를 넘긴 이후 지속적 성장세를 보이며 12년 만에 100억 달러를 기록. 국가별 수출액을 보면 중국이 25억 달러로 가장 많았고 미국 19억 달러, 일본 10억 달러 순으로 집계됐음.

▷한편,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케이엘앤파트너스가 마녀공장 최대주주인 엘앤피코스메틱이 보유한 1,900억원 규모의 지분 51.87%를 인수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는 소식도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마녀공장, 아모레퍼시픽, 아모레G, 선진뷰티사이언스, 리더스코스메틱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아모레퍼시픽은 증권가의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도 긍정적으로 작용.


태양광에너지: 업황 개선 전망 등에 상승
▷DS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고금리, 중국 태양광 업계의 공급과잉 영향으로 힘들었던 태양광 산업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 태양광은 수요 증가보다 공급 감소에 따른 재고레벨 안정화가 가장 중요하다며, 2024년 내내 이어진 중국기업들의 공급 감축과 가격 인상, 미국의 동남아시아 산 태양광 패널 재고에 대한 관세 부과 시작 등을 고려 시 센티도 다시 좋아질 시점이라고 밝힘.

▷특히, HD현대에너지솔루션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1,032억원(-8.9% YoY)과 영업이익 37억원(흑자전환)을 예상한다고 언급. 모듈 매출액은 전년 대비 역성장이 이어지겠으나, 유럽 및 미국에서의 재고소진이 마무리되고 이익을 내고 있는 국내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에너지솔루션, 대주전자재료, 원익IPS, 엘오티베큠, 주성엔지니어링 등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클라우드 컴퓨팅: 마이크로소프트(MS), 올해 AI 데이터센터 관련 800억 달러 투자 소식에 상승
▷현지시간으로 3일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올해 인공지능(AI) 서비스 출시를 위한 데이터 센터 건설에 800억 달러(약 117조3,500억원)를 투자하겠다는 소식이 전해짐. 브래드 스미스 MS 부회장은 MS 공식 블로그 게시글을 통해 "2025 회계년도 기간(2024.7~2025.6), MS는 AI 모델을 학습하고 전 세계에 AI·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앱)을 배포하기 위해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약 80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라며, "전체 투자의 절반 이상은 미국에 투자될 것이고, 이는 미국에 대한 헌신과 경제에 대한 신뢰를 반영한다"고 밝힘.

▷MS의 이러한 결정은 생성형 AI 등장 이후 대규모 데이터 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이를 지원하는 데이터센터 수요가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음. 한편, MS는 지난 2019년 오픈 AI 투자를 시작으로 최근 자체 AI 개발까지 AI 투자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인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더블유에스아이, 로보티즈, 셀바스AI, 폴라리스AI, 에스피소프트, 휴네시온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가 상승. 한편, MS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력이 있는 웅진과 마이크로소프트에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모니터랩 등도 시장에서 부각.


제약업체&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등: 中 인체메타뉴모바이러스(HMPV) 감염자 확산 소식 등에 상승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 질병관리센터는 최근 인체메타뉴모바이러스(HMPV) 감염자가 어린이와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한 것으로 전해짐. 특히, 설날을 앞두고 중국 내 대규모 인구 이동이 예상되면서 바이러스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HMPV가 기존보다 전파력이 강화된 변이를 일으켰을 가능성도 제기하는 것으로 알려졌음. 또한, HMPV 외에도 독감과 다른 바이러스가 동시 유행하는 트윈데믹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음.

▷이에 금일 수젠텍, 멕아이씨에스, 에스디바이오센서, 진매트릭스, 랩지노믹스 등 제약업체,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코로나19 관련주, 의료기기,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테마 등이 상승.


드론(Drone)/ UAM(도심항공모빌리티): 美 정부, 中 드론 기술 금지 검토에 따른 美 드론/UAM 관련주 상승 등에 상승
▷지난 주말 뉴욕증시에서 미국 정부의 中 무인기 부품과 기술에 대한 규제 추진 소식 및 일론 머스크 CEO, 美 장거리 드론 필요 입장 재부각 등에 조비 에비에이션(+20.77%), 아처 에비에이션(+20.27%), 레드 캣 홀딩스(+10.65%) 등 드론/UAM 관련주가 상승.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지난 2일(현지시간) 무인기에 필수적인 '정보통신 기술 및 서비스'(ICTS)의 거래에서 비롯되는 국가 안보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힘. 규제 대상은 적대국 정부의 소유·통제·관할·지시 대상인 개인과 기업이 디자인, 개발, 제조, 공급한 무인기 ICTS임. 연방 규정상 적대국은 중국, 쿠바, 이란, 북한, 러시아, 베네수엘라 등 6개 국가이지만 산업안보국은 중국과 러시아를 염두에 뒀음을 분명히 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제이씨현시스템, 에이럭스,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딥마인드, 네온테크 등 드론(Drone)/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OCI홀딩스(010060): 美 웨이퍼·셀 공장 증설로 성장 모멘텀 확보 기대감 등에 급등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부진할 전망이지만, 실적보다는 향후 조인트벤처(JV)를 통해 미국내 숏티지인 웨이퍼 및 셀 증설이 중요하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지난 3Q24 실적발표에서 Top5 태양광 업체와 JV를 통해 미국내 숏티지인 웨이퍼, 셀 공장 증설 가능성을 밝혔으며,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될 경우 증설이 확정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단기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P/B 0.3x 수준의 낮은 Valuation 및 신규 투자 가능한 우량한 재무구조, 지속적인 자사주 매입 소각 등 주주환원 감안시 주가는 저점을 확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5,000원[유지]

아모레퍼시픽(090430): 지난해 4분기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강세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1조300억원(+11% YoY), 영업이익 800억원(+286% YoY)으로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국내는 이커머스와 멀티브랜드숍(MBS)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매출 구조가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커머스는 10% 이상, MBS는 20% 성장해 전사 이익률 상승과 국내 사업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 이어 해외시장은 북미에서 라네즈와 이니스프리가 세포라를 기반으로 전년 대비 102%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본다며, 자회사로 편입된 코스알엑스의 30%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도 유지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중장기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유효하다며, 올해 전망은 국내에서 이커머스와 MBS 채널의 꾸준한 성장과 면세 채널의 회복이 예상된다고 언급.
▷한편, 동사의 실적 턴어라운드 가능성이 확인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주식시장 전반의 밸류에이션 하락에 따른 Target Multiple을 기존 30배에서 25배로 조정한 데 기인해 목표주가는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00,000원 -> 160,000원[하향]

경동나비엔(009450): 북미시장 판매 호조에 따른 실적 개선 추세 지속 전망 등에 강세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북미시장 판매 호조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되는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는 소식이 전해짐. 미국에서 트럼프 후보의 대통령 당선으로 친환경 흐름이 축소되더라도, 가스형 콘덴싱 온수기 시장은 화석연료이기 때문에 수요는 증가할 것이며, 미국 시장은 일회성이 아닌 구조적 성장으로 볼 수 있다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글로벌 HVAC 시장 진출을 위해 세계 최대 소비 시장인 북미를 공략하고 있다"며, "차별화된 기술력과 북미 수출 성공 노하우로 기업 외연을 확대하겠다"고 밝힘. 또한, "SK매직에서 인수한 3분야 제품은 올해 초 '나비엔 매직'으로 출범해 주방기기 시장을 더욱 공략하겠다"고 덧붙임.

삼성전기(009150): 휴머노이드 로봇용 카메라 모듈 공급 가능성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개화를 대비해 올해부터 로봇용 카메라 모듈 개발에 본격 나설 것으로 전해짐. 업계에서는 동사가 휴머노이드 로봇 업체에 카메라 모듈을 공급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현재 전략적 협업을 통해 로봇 전용 카메라 모듈의 개발과 공급을 준비 중이라는 추정도 제기되고 있음.
▷아울러 일각에서는 동사의 카메라 모듈이 국내 로봇 전문 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제품에 탑재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음. 이는 최근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로 올라서며 그룹 차원에서 로봇 기술 개발과 부품 공급의 협력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임.

진원생명과학(011000): 자회사 VGXI,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참여 예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홰 자회사 VGXI가 현지시간 13일부터 16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는 제43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4년 연속 공식 초청을 받아 참가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박영근 대표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잠재적 고객사와 투자자에게 VGXI의 플라스미드 DNA 위탁개발생산(CDMO) 경쟁력을 알려 파트너십 확대와 투자 유치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힘.

HL만도(204320): HL클레무브와 CES서 토탈 자율주행 솔루션 공개 예정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HL클레무브와 오는 7∼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 공동 참가한다고 밝힘. 양사는 '실현 가능한 미래를 상상하라'라는 슬로건 아래 복층 큐브 구조의 부스를 꾸릴 예정이며, 부스 중 이노베이션 어워드 존(구역)에는 이번 CES 혁신상 수상작인 동사의 '해치'와 HL클레무브의 '비틀 플러스', '애그리실드' 등 3 개 제품을 전시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조성현 부회장은 "HL이 지난 60여년간 쌓아온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모빌리티, 로봇, 센서 등 안전의 가치를 이번 CES 전시에 담아냈다"고 밝힘.
▷한편, BN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예상실적은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2조3,081억원, 1,033억원, 영업이익률 4.5%로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올해에도 제품, 고객 포트폴리오 긍정적 효과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56,000원[신규]

크래프톤(259960): 지난해 4분기 호실적 전망 및 신작 기대감 등에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부담없는 밸류에이션과 실적, 신작 기대감까지 모두 주가에 반영되면서 긍정적 주가 흐름이 전망된다며, 게임주 최선호주(Top-pick)로 제시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6,832억원(YoY 28%, QoQ -5%), 영업이익 2,809억원(YoY 71%, QoQ -13%)으로, 매출은 컨센 부합, 영업이익은 컨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3월28일 스팀에 얼리엑세스로 출시할 예정인 신작 inZOI의 사전 지표 순위도 긍정적이라며, 지난해 4분기 호실적에 이어 신작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 이어 하반기 출시 예정인 서브노티카2의 경우, 본격적인 마케팅이 시작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스팀 위시리스트 순위 15위를 유지 중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80,000원[유지]

NAVER(035420): 지난해 4분기 호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82조원(+11.1% y-y, +3.8% q-q), 영업이익 5,507억원(+35.8% y-y, +4.8% q-q)으로 시장 컨센서스 5,257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4분기 광고, 커머스 성수기 영향에 따라 양호한 매출 성장이 기대되며, 지난 2분기부터 반영된 뉴로클라우드 관련 AI매출도 지속 증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에는 커머스 사업의 변화도 기대된다며, 경쟁사인 쿠팡에 비해 부족했던 물류 경쟁력을 확보해 3시간배송, 당일배송, 새벽배송, 휴일배송, 희망일배송이 가능한 상품을 확대할 것으로 추정. 또한, 현재 동사 내에서만 이용이 가능한 플러스스토어를 따로 앱으로 떼어내 거래대금은 물론이고 유저들의 체류시간을 늘리며 광고 매출을 증가시킬 것이라며, 지마켓-알리익스프레스의 연합으로 커머스 시장 경쟁이 심해질 수 있으나, 자체 경쟁력 제고로 시장 성장율 이상의 성장이 전망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50,000원 -> 280,000원[상향]

SPC삼립(005610): 지난해 4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등에 소폭 상승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8,688억원(-0.9% yoy), 310억원(+12.6% yoy)으로 컨센서스(9,088억원 / 316억원)에 대체로 부합할 것이라고 언급. 베이커리와 유통 부문의 부진이 이어지겠지만, 푸드 부문 기저효과로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주력 사업부인 베이커리 부문의 실적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는 점은 단기 우려 요인이지만, 지난달 미국 코스트코에 약과 초도 물량 납품을 시작했고 중장기적으로 SPC그룹의 미국 제빵 공장 설립에 따른 수출 확대 여지도 유효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4,000원[유지]

영진약품(003520): 셀트리온과 '도네리온패취' 국내 독점 유통 계약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셀트리온과 협력해 알츠하이머형 치매 치료제 '도네리온패취'(성분명: 도네페질)의 국내 독점 유통 및 판매 사업권을 확보했다고 밝힘. ‘도네리온패취’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상의 치료에 사용되는 전문의약품으로, 하루 1회 복용하는 경구제와 달리 주2회 부착으로 치매환자의 복약순응도를 개선하고 보호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도네페질 패취제임. 계약에 따라 동사는 올 1월부터 셀트리온의 ‘도네리온패취’를 국내에서 단독으로 유통 및 판매를 하게 되며, ‘도네리온패취’는 2022년 8월 보건복지부 약제급여 상한금액 고시에 따라 급여가 적용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는 도네리온패취’를 통해 치매분야에 진출하고 신경과 영역으로 영업 저변을 확대할 계획이며, 양웅열 전무는 “성분 내 국내 유일 제형인 ‘도네리온패취’를 통하여 그간 취약했던 치매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고, 향후 라인업을 더욱 강화하여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힘.

우진아이엔에스(010400): 156.88억원 규모 건축설비공사 수주에 소폭 상승
▷(주)포스코이앤씨와 156.8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5.66%) 규모 공급계약(삼화인쇄 양평동부지 개발사업 건축설비공사) 체결(계약기간:2025-01-06~2027-04-30) 공시.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더블유에스아이(299170): 자회사 이지메디봇, 세계 최초 로봇 자궁 거상기 연내 상용화 기대감 등에 상한가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이지메디봇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로봇 자궁 거상기 '유봇(U-BOT)'을 올해 상용화할 예정이라고 밝힘. 현재 시제품 개발을 완료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허가 후 본격적인 내수 판매 및 수출에 나설 예정으로 전해짐. '유봇'은 산부인과 복강경 수술 지원을 위한어시스트 로봇으로, 자궁 거상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수술 시간 단축 및 휴먼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음.
▷이와 관련, 이윤석 이지메디봇 대표는 "올해는 제품 개발 및 양산을 위한회사 차원의 과감한 투자와 연구개발(RD)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해 동사와 함께 수술용 로봇 분야에서 입지를 다질 것이다"고 밝힘.

라닉스(317120): 양자보안칩 기술로 공공·국방 및 산업계 선도 소식에 상한가
▷동사는 언론을 통해 '무기체계용 고비도 PQC(양자내성암호) 큐브화' 및 'KCMVP 보안수준 3 암호모듈 제작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 등 양자보안 국책과제를 주관하면서 차세대 양자보안 기술 개발을 통해 국가안보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힘. 이번 과제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양자내성암호 표준으로 발표한 IBM의 ML-KEM, ML-DSA와 국내 양자내성암호(KpqC) 표준 알고리즘 등 총 3종 이상의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을 반도체 칩으로 통합 개발하는 최첨단 프로젝트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QRNG 솔루션이 탑재된 보안칩의 상용화가 개시되면서 자동차 분야, 공공 및 국방 등 산업 전반에 걸친 동사의 양자보안칩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며, "양자내성암호 칩 및 솔루션 개발을 통해 급성장하고 있는 양자보안 시장에서 국내기술의 자립을 선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나아가겠다"고 밝힘.

마녀공장(439090): 사모펀드 케이엘앤파트너스, 동사 경영권 인수 소식에 급등
▷지난 3일 장 마감 후 언론에 따르면,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케이엘앤파트너스가 국내 코스메틱 브랜드인 동사 경영권을 인수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케이엘엔파트너스는 동사 최대주주인 엘앤피코스메틱의 보유 지분 51.87%를 1,9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를 기준으로 한 동사 기업가치는 약 3,700억원으로 평가된 것으로 전해짐.
▷특히, 케이엘엔파트너스는 동사의 해외 확장성을 높게 평가하고 거래를 성사 시킨 것으로 알려짐.

쏘닉스(088280): 스위스 룩스텔리젼스와 양자포토닉스 공급 관련 MOU 체결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스위스 룩스텔리젼스(LXT)사와 ‘TFLN(Thin Film LiNbO3)을 이용한 포토닉스 집적 회로(PIC) 양산 파운드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룩스텔리젼스는 이번 업무 협약 체결을 통해 올해 말까지 양산 공정에 대한 설계 키트 기술 이전 및 양산 셋업을 동사에 진행할 계획이며,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LXT와 포토닉스 양산 업무협약을 체결함으로써 다시 한번 글로벌 파운드리 업체로 인증 받는 계기가 되었다"며, "기존 RF 파운드리에서 AI와 양자컴퓨팅 기반인 포토닉스 파운드리로 확대함에 따라 향후 폭발적인 성장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한편, 룩스텔리젼스(LXT)는 스위스 로잔연방공대(EPFL)의 양자포토닉스 연구실에서 분리된 회사로 박사 출신 연구원들이 설립했으며, 독창적인 TFLN 및 TFLT에 대한 핵심 설계, 공정 및 측정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로보티즈(108490): 美 업체에 협동로봇 납품 준비 사실 부각에 급등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첫 협동로봇 출시를 앞두고 미국 업체와 납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과 연구 중인 물리적 인공지능(피지컬 AI)를 탑재해 시장 영향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으로 알려졌음.
▷이와 관련, 김병수 대표는 최근 신년사에서 "예정대로 출시할 계획으로 오는 2분기부터 매출이 발생할 것 같다"며, "피지컬 AI를 완전히 적용해서 출시하는 것보다는 실험·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같이 제공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밝힘. 김 대표는 "미국 업체들의 요구 조건에 맞춰 팔을 개발해 납품을 준비하고 있다"며, "현재 AI를개발하던 많은 인력이 피지컬 AI 분야로 옮기면서 새로운 회사들이 설립되고 있고 이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팔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 이어 "피지컬 AI는 로봇이 일상생활에서 작업을 하려면 필수적인 기능"이라며 "물리적으로 어떤일을 할 수 있는 AI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덧붙였음.

퀀타매트릭스(317690): 사우디 국공립 병원 공급 자격 획득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동 최대 의료 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 공공기관 독점 공급 구매 조직 NUPCO(National Unified Procurement Company)에 제품등록 승인을 완료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동사는 현지 국공립병원에 개별 입찰 없이 ‘dRAST’를 공급하게 됐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사우디와 같은 까다로운 의료시장에 진입할 수 있었던 것은 dRAST의 기술력과 신뢰성을 현지에서 증명한 결과"라며, "이 과정에서 지난 6년간 유럽에서 진행한 스터디를 통해 쌓아온 dRAST의 임상적 가치와 경제적 효용성을 입증하는 데이터와 논문들이 큰 역할을 했다"고 언급. 이어 "이번 NUPCO 입찰 수주로 사우디 내 신속한 시장 진입과 판매 가속화로 확고한 입지를 다지는 것은 물론 향후 중동 전역으로 영업망을 넓히고 점유율을 높이는데 한층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밝힘.

파로스아이바이오(388870): JP모건 헬스케어서 '美 FDA 희귀의약품' 글로벌 기술이전 본격 추진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현지시간으로 오는 13~16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에 참가해 신약개발 성과를 중심으로 글로벌 기술이전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힘.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는 세계 최대 규모 제약 및 바이오 투자 행사로, 동사는 이번 행사에서 주력 파이프라인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치료제 'PHI-101'과 난치성 고형암 치료제 'PHI-501'의 최신 연구 성과를 글로벌 제약, 바이오 기업에 적극 소개할 계획임.
▷이와 관련, 한혜정 동사 최고혁신책임자(CIO) 및 미국법인 대표는 "이번 콘퍼런스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다양한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파이프라인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기술이전을 통해 희귀,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과 조기 상용화를 가속화하겠다"고 밝힘.

코오롱티슈진(950160): 최대주주 대상 440.99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에 강세
▷지난 3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코오롱(최대주주) 대상 373,420주(440.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18,095원, 상장예정:2025-02-05) 공시.

이에이트(418620): 네이버 클라우드와 솔루션 판매 및 디지털 트윈 사업 공동 추진 관련 파트너쉽 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국내 최대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인 네이버 클라우드와 솔루션 판매 및 디지털 트윈 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파트너쉽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는 시뮬레이션 기반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네이버가 서비스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하며 국내 최고의 디지털 트윈 비즈니스네트워크를 보유한 네이버 그룹과의 협업 및 공동 사업화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비즈니스를 확장할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김진현 동사 대표는 “동사와 네이버 클라우드의 파트너쉽은 다양한 산업군으로의 영업 기회를 크게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의미가 있다"며 "고객에게 더욱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즈니스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어 "동사는 이번 파트너쉽을 계기로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SaaS 솔루션 서비스 등 다양한 신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임.

토마토시스템(393210): 메타넷디엘과 고려대 차세대 포털·학사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착수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버티컬 솔루션 전문 기업 메타넷디엘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약 100억원 규모의 ‘고려대학교 차세대 포털·학사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최종 수주하고 본격 착수에 나선다고 밝힘. 이번 사업은 기존 고려대 학사정보시스템을 최신 IT 기반 기술로 전면 재구축해 급변하는 대학교육 환경에 신속히 대응하고, 사용자 요구를 반영한 미래지향적 정보시스템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동사는 이번 사업에서 약 47%(48억원)의 지분을 맡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대학원입시시스템과 부속행정시스템, 포털 등 다양한 솔루션 구축에 집중할 계획.

나이벡(138610): JPM 2025 바이오텍 쇼케이스 발표기업 선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2025(JPM 2025)’ 바이오텍 쇼케이스 발표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힘. 이번 쇼케이스에서 동사는 세계 최초 재생기전의 염증성장질환 치료제 ‘NP-201’ 등 핵심 파이프라인과 펩타이드 기반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 ‘펩타델(PEPTARDEL)’의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글로벌 제약사들과 협업을 가속화할 방침.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대사질환 분야 글로벌 탑티어 기업들과 미팅을 통해 현재 호주에서 임상이 진행 중인 NP-201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세부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힘.

HK이노엔(195940):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호주·뉴질랜드 진출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호주 제약사 ‘서든 엑스피(Southern XP)’와 호주, 뉴질랜드에 케이캡 완제품을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에 따라 서든 엑스피는 케이캡에 대한 독점 유통·판매 권리를 갖고, 해당 품목은 케이캡정50mg, 케이캡정25mg 등 2종임. 이와 관련, 곽달원 대표는 “케이캡은 해외 국가에서도 대한민국 신약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으며 글로벌 소화성궤양용제 시장에서 꾸준히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며 “2028년 전 세계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케이캡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힘.

셀로맥스사이언스(471820): 1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소폭 상승
▷지난 3일 장 마감 후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1-03~2025-07-03, 신영증권(SHINYOUNG SECURITIES CO.,LTD)) 공시.

플리토(300080): 통합 AI 번역 서비스 개시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최근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업데이트를 통해 정확성과 편의성을 높인 통합 AI 번역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밝힘. 이번 앱 업데이트를 통해 선보인 통합 AI 번역 서비스는 기존 동사가 제공하던 기계 번역 서비스와 AI 플러스 번역 서비스를 통합하여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고품질 번역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이정수 동사 대표는 "이번 앱 업데이트는 언어 데이터, 번역 엔진, 인공지능을 결합해 차세대 번역서비스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사용자 중심의 직관적인 디자인과 더욱 정교해진 번역 품질을 바탕으로 새로운 한 해 글로벌 번역 서비스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힘.

제이엘케이(322510): 두개내출혈 검출 AI 솔루션 美 FDA 승인 획득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를 신청했던 두개내출혈 검출 AI 솔루션 'JLK-ICH'가 보완사항 없이 승인(FDA 510(k))을 완료했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해 한 해 동안 전립선암 솔루션 1개 획득에 이어 뇌졸중 솔루션에서만 3개 솔루션(JLK-LVO, JLK-CTP, JLK-PWI)의 승인을 획득했으며, 이번 승인이 전체 5번째 FDA 획득으로 뇌졸중 분야에서만 4개 솔루션에 대한 FDA 인허가를 확보하게 됐음.
▷이와 관련, 김동민 동사 대표는 "JLK-ICH를 통해 올해 첫 해외 인허가 획득 소식을 전할 수 있어 기쁘다"라며, "보완사항 없이 단번에 승인을 마친 이번 FDA 획득으로 동사가 자체적으로 구축한 인허가 역량의 우수성을 입증한 만큼 남은 인허가와 현지 보험수가 획득에 주력해 성공적인 해외 진출 성과를 가져오는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

디어유(376300): 카카오, 글로벌 팬덤 플랫폼 출시 예정 소식 속 경쟁 과열 우려 부각에 약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최근 글로벌 팬덤 플랫폼 ‘베리즈(Berriz)’에 대한 내부 테스트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짐. 지난해 하반기 팬 플랫폼 사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 후 올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중이며, 권기수·장윤중 카카오엔터 공동대표가 TF를 직속 조직으로 두고 진두지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 또한, 지난달에는 한국과 미국 특허청에 베리즈 관련 상표권을 신청했음.
▷이에 팬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동사가 금일 하락. 한편, 현재 팬덤 플랫폼 시장은 사실상 하이브의 자회사 위버스컴퍼니가 운영하는 '위버스'가 독주하고 있으며, 그 뒤로 '버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사가 꼽히고 있음.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