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1.09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1-09 15:34
- 조회수 :
- 234
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강세 테마: 유리 기판, 전선, 정유,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해운, 백화점,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모더나(MODERNA), 제대혈,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줄기세포,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LPG(액화석유가스), 윤활유, 전력설비, 희귀금속(희토류 등), 화이자(PFIZER),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mRNA(메신저 리보핵산), 종합 물류, 온디바이스 AI,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등...
약세 테마: 양자암호, 딥페이크(deepfake), 바이오인식(생체인식), 건설 대표주, 보안주(정보), 카메라모듈/부품, 통신장비, 핀테크(FinTech), 제4이동통신, 마이데이터, 키오스크(KIOSK), 5G(5세대 이동통신), 마이크로 LED, 인터넷은행, 초전도체, 탄소나노튜브(CNT), 삼성페이, 증강현실(AR), NI(네트워크통합), 2차전지(생산), 블록체인,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NFT(대체불가토큰), 스마트카(SMART CAR), 애플페이, 제지 등...
<특징 테마>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SK, 엔비디아와 로봇 분야 협업 및 LG전자,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소식 등에 상승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 참석해 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이사(CEO)와 회동을 갖고 로봇 분야에서도 협업을 약속했다고 밝힘. 최태원 회장은 젠슨 황 CEO와 회동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젠슨 황 CEO와 로봇 등 피지컬 AI 분야에서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힘. 한편, 피지컬(physical·물리적) AI는 로봇, 자율주행 모빌리티 등과 같은 하드웨어서 탑재되는 AI로 챗GPT 등의 지능·연산에 필요한 AI와 달리 달리 물리적인 활동·이동시 필요한 기술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CES2025가 열리고 있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로봇은 확실한 미래”라며, “가사 노동해방을 위해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힘. LG전자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초기 버전인 인공지능(AI) 에이전트 ‘Q9’을 2~3월 ‘베타 테스트’를 거쳐 연말께 출시할 계획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하이젠알앤엠, 케이엔알시스템, 에스피지, 엔젤로보틱스, 로보티즈, 클로봇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화장품: 올해 화장품 수출 증가 기대감 등에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화장품 업종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낮아진 시장 눈높이에 부합하는 실적이 기대된다며, 2025E에도 성장하는 K뷰티트랜드 속 섹터 선호 의견을 유지한다고 밝힘. 2024년 화장품 업종 주가 상승을 견인했던 이유는 미국을 비롯한 비중국에서의 수출 증가로 인한 실적 성장이었다며, 1Q25E부터 선크림 판매를 위한 리스토킹이 기대되는 시기에 1Q25부터 분기별 수출 증가가 기대된다고 전망.
▷아울러 2025년에는 기초 화장품 위주로 주목 받았던 국내 화장품 업종에서 색조 화장품의 대미국 수출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 특히, 2024년 색조 화장품 수출은 776백만달러로 YoY +26%를 보였는데,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중국 수출액이 277백만달러로 YoY +12% 성장하였으며, 대미국 수출 또한 88백만달러로 YoY +59%로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고 설명. 아울러 4Q24 대미국 화장품 수출액은 29.6백만달러로 YoY +141% 성장하였다고 밝힘.
▷이와 관련, 아이패밀리에스씨, 마녀공장, 파미셀, 애니젠, 바이온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2차전지(전고체): 삼성전기 초소형 전고체 전지 올해 시제품 공급, 내년 적용제품 확대 계획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은 8일(현지시간) CES 2025에서 "삼성전기의 전고체 전지는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밀도와 용량 특성을 확보했다"며 "올해 양산 설비를 투자해 시제품을 공급하고, 2026년 이후 적용 제품들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음. 삼성전기는 전지 내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전고체 전지 사업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삼성전기가 개발하고 있는 전고체 전지는 재료의 안정성이 높은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산화물계)을 사용해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 웨어러블 기기 등 소형 IT 기기에서 리튬 전지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원준, SK이노베이션,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미래컴퍼니 등 일부 2차전지(전고체) 테마가 상승.
건설 대표주: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
▷iM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4분기 건설사들의 실적 추이는 2024년에 보여줬던 흐름과 유사할 것으로 전망. 주택 부문의 원가율 조정이 지속되고, 해외 현장의 보수적인 원가 점검에 따른 일부 비용 반영의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 특히, 대우건설, 현대건설, GS건설의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30~50% 수준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
▷아울러 올해 실적 가이던스 역시 보수적일 것으로 추정. 아직 2021년부터 상승한 공사비의 영향이 실적에 지속적으로 부담을 주고 있으며, 건설사들의 미분양 물량 관련 추가적인 충당금 반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힘. 건설사들의 실적은 2022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되고 있으나, 최소 2025년 상반기까지도 실적 개선세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
▷이 같은 소식 속 HDC현대산업개발, DL이앤씨, 현대건설, GS건설, 대우건설 등 건설 대표주가 하락.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까뮤이앤씨(013700): 최대주주 베이스 김성집 회장 가족, 트럼프 취임식 초청 소식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동사 최대주주 베이스의 김성집 회장이 오는 20일(현지시간)로 예정된 도널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식과 당일 저녁에 열릴 무도회에 참석할 것으로 전해짐. 기업인과 가족이 함께 취임식과 무도회에 초청된 것은 국내 기업인 중에서는 김 회장이 유일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김 회장은 "미국을 오가면서 비즈니스를 해왔고, 트럼프 대통령의 아들인 트럼프 주니어와도 특히 오랜시간 인연이 있었다"라며, "최근 트럼프 주니어로부터 '한결같은 자세로 비즈니스 관계를 맺어줘서 감사하다'라는 의견을 전달받기도 했다"고 밝힘.
하나투어(039130): 이익/배당/시장재편 최대 수혜주 분석 등에 소폭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이익/배당/시장재편 속 최대 수혜주라고 밝힘. 이와 관련, 겨울 성수기를 앞두고 계엄, 고환율, 안타까운 제주항공 참사로 투자심리가 악화됐지만, 완만한 예약금 환불 절차와 다양한 상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했다는 점에서 대형주 중심의 수요 쏠림 현상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힘. 이외 비용절감을 통한 이익 개선, 차별화된 배당 매력 등도 여전한 투자포인트라며, 유일한 리스크는 고환율 부담이지만, 차별화된 이익과 배당 포인트 고려해 업종 내 선호 종목으로 유지한다고 밝힘.
▷한편, 4Q24 매출액은 1,698억(+42% YoY, 이하 동일), 영업이익은 132억원(+16%)으로 낮아진 기대치에 부합 것으로 추정. PKG 수요는 31% 성장했으나, ASP는 97만원(vs. 3Q24까지 평균 107만원)으로 소폭 하회한 영향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7,000원[유지]
NAVER(035420): 올해 사업 전반 환경 비우호적 전망 등에 소폭 하락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 매출액 2.79조원(+10%yoy), 영업이익 5,255억원(+30%yoy)으로 컨센서스(5,275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서치플랫폼(+11%yoy)은 성수기 효과로 전분기와 유사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SA부문은 10월부터 도입된 확장검색 기능 및 외부매체 광고 효과를, DA부문은 타겟 고도화 및 플레이스 광고 성장 효과를 얻은 것으로 추정. 다만, 올해도 유의미한 국내 광고 업황의 반등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밝힘. 콘텐츠(+1%yoy)는 성수기임에도 불구하고 4분기 불거진 불매운동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
▷아울러 올해도 사업부문 전반의 외부 환경이 여전히 우호적이진 못할 것이라며, 지난해까지 통제 기조였던 인건비, 마케팅비는 올해 유의미한 증가가 예상된다고 언급. 다만, 광고 고도화 및 피드형 컨텐츠 확대 및 커머스 별도앱 출시 등을 통한 성장은 기대된다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40,000원[유지]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아미코젠(092040): 임시주주총회 개최 예정 속 주주 친화 정책 확대 기대감 등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주주총회소집(2025-02-26) 결의 공시.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사내이사 1명과 사외이사 1명의 신규 선임을 주요 안건으로 상정할 예정. 주주연대 측은 사내이사(기타비상무이사)로 소지성 통합치의학과 치과 전문의를, 사외이사로 김민성 법무법인 대진 대표 변호사를 추천.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주주들의 요청을 수용해 이번 임시주총을 소집했으며, 이를 계기로 주주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더욱 투명하고 중립적인 경영을 실현하겠다는 방침이라고 밝힘. 아울러 동사 관계자는 “이번에 추천된 후보자들은 법률과 의학 분야의 전문성을 갖췄으며, 회사 경영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라며 “앞으로 회사는 적극적으로 주주 친화적 정책을 확대하고 시장과 소통하는데 힘쓰겠다” 밝힘.
신라젠(215600): 진행성 고형암 환자 대상 BAL0891의 단일요법 및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 관련 식약처 임상 1상 변경 승인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BAL0891의 단일요법 및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제1상 임상시험 계획(IND) 변경 승인 공시.
▷한편, 동사는 최근 언론을 통해 스위스 바젤에 본사를 둔 다국적 제약사 베이진으로부터 PD-1 억제제 티슬리주맙을 제공받아 BAL0891과의 병용 임상에 나선다고 밝힌 바 있음.
모델솔루션(417970): CES서 AR 디바이스 공개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전자제품 박람회 'CES 2025'에 참가한다고 밝힘. 동사는 전시 기간 동안 인공지능(AI), 확장현실(XR) 기술 전문기업 버넥트와 공동 개발한 'AI 스마트 고글'과 자체 개발한 산업용 AR 디바이스 'MS-AR20SE'을 선보이고, 방문객들이 제품을 착용하고 반도체 설비 라인의 실시간 데이터와 오작동 알람을 확인할 수 있는 체험 공간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우병일 대표이사는 "CES 2025는 동사의 AR 디바이스 개발 역량을 글로벌 시장에 알리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다"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메디컬, 제조, 건설, 물류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 가능한 AR 디바이스를 개발하고, 글로벌 AR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힘.
이노스페이스(462350): 스페이스린텍, 인터그래비티테크놀로지스와 우주의학 연구 및 신약 개발 프로젝트 MOU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우주의학 기업 스페이스린텍, 우주탐사 기업 인터그래비티테크놀로지스와 우주의학 연구 및 신약 개발 프로젝트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힘. 협약을 통해 3사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수송·회수 플랫폼과 장치 연구개발(R&D) 및 사업화에 협력하기로 했으며, 특히 스페이스린텍의 우주의학 연구 및 제약 플랫폼 기술, 동사의 우주의학 맞춤형 우주발사체 탑재 기술, 인터그래비티의 궤도 수송선 및 지표면 회수 기술 등을 융합할 예정.
콜마비앤에이치(200130): 세종3공장, KOLAS 공인시험기관 인정 획득 소식에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세종3공장이 국가기술표준원 산하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화학시험-식품 분야 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았다고 밝힘. 동사는 이번 인정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과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방침임.
▷이와 관련, 윤여원 동사 대표는 “이번 세종3공장의 KOLAS 공인시험기관 인정을 통해 글로벌 기준에 맞는 시험 능력과 품질 관리를 입증했다”며 “지속적인 품질 혁신과 연구개발로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글로벌 시험기관으로서의 신뢰와 공신력을 더욱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언급.
루닛(328130): 올해 인수한 자회사 통해 美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인수한 자회사를 통해 올해부터 미국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힘. 2024년 5월 인수한 뉴질랜드 소재 Volpara Health Technologies는 미국 내 2,000개 이상의 의료기관에 유방암 검진 관련 software를 판매 중이며 미국 시장에서 2025년부터 동사와 Volpara Health 간 영업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
▷아울러 Lunit INSIGHT 수출 중 일본 비중이 높고, 수출 지역 확대를 추진 중이라고 언급. 글로벌 의료 영상장비 기업인 후지필름(Fujifilm), 홀로직(Hologic) 등의 파트너사를 통해 수출하고 있다고 설명. 한편, Lunit INSIGHT 매출 비중은 한국 25%, 일본 50%, 유럽 10% 내외이며 전 세계 Lunit INSIGHT 도입 의료기관수는 4,500개 내외라고 밝힘.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