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1.22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1-22 13:23
- 조회수 :
- 243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밥솥, 건설기계,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전선, 셰일가스(Shale Gas), AI 챗봇(챗GPT 등), 전력설비, 항공기부품, 2차전지(생산),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원자력발전,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LNG(액화천연가스), 드론(Drone), IT 대표주, 정유, 전력저장장치(ESS), 남북경협, 우크라이나 재건 등...
약세 테마: 일자리(취업), 손해보험, CCTV&DVR,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해운, 조림사업,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타이어, 갤럭시 부품주,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강관업체(Steel pipe), 애플페이, 수산, 스포츠행사 수혜(올림픽, 월드컵 등), mRNA(메신저 리보핵산), 남-북-러 가스관사업, 구충제(펜벤다졸, 이버멕틴 등), 아이폰, 시멘트/레미콘 등...
<특징 테마>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트럼프 대통령, '화성계획' 발언에 따른 美 우주항공 관련주 급등 영향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서 로켓랩(+30.29%), 인튜이티브머신스(+23.93%), 레드와이어(+51.39%), 비아샛(+32.85%), 플래닛랩스(+22.25%) 등 우주항공 관련주가 급등세를 보임.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화성계획' 발언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음.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美 대통령은 워싱턴DC 연방의사당 중앙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미국은 부를 늘리고 영토를 확장하고 도시를 건설하고 새롭고 아름다운 지평선으로 성조기를 들 것"이라며, "화성에 성조기를 꽂기 위해 미국인 우주비행사를 보내는 등 별을 향해 우리의 '매니페스트 데스티니(명백한 운명을 의미하는 미국의 영토확장 관련 표현)'를 추구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기 행정부에서 백악관 국가 우주위원회를 폐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해짐. 국가 우주위원회는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폐지를 주장해온 기관임.
▷이 같은 소식 속 루미르, 에이치브이엠,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쎄트렉아이, 컨텍, 이노스페이스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가 상승.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韓·美 협동 개발팀 휴머노이드 로봇 '마인드봇' 공개 소식 속 상승
▷언론에 따르면, ‘에이아이마인드봇(AI Mindbot)’이 전일 오후 서울 고려대 교우회관 5층 대회의실에서 사람처럼 표정을 짓고 대화에 응답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 ‘마인드봇(Mindbot)’의 사업설명회를 개최한 것으로 전해짐. '마인드봇'은 회색 몸체에 초등학생 정도 크기의 소형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해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대답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고, 다양한 몸짓으로 사람과 친밀감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짐.
▷마인드봇 미국 현지 개발사 ‘마인드칠드런’의 크리스 쿠들라 대표는 로봇을 실제로 구동해 보이며 “현재 사람을 알아보고 반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얼굴 표정을 지을 수 있고, 몸짓도 해 보일 수 있다”면서 “곧 주변에 없는 사람의 목소리에 반응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완전 자동화로 혼자 길을 찾아다닐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힘. 마인드봇 사업은 한국과 미국, 양국의 다수 기업이 모여 ‘컨소시엄’ 형태로 진행되며, 총괄은 미국의 로봇 및 AI 전문기업 '싱귤래리티넷(SingularityNet)'임. 또한, 마인드봇의 국내 사업과 유통은 에이아이마인드봇이, 생산은 1세대 로봇기업 유진로봇을 창업한 신경철 회장이 대표로 있는 ‘유진테크원’에서 맡는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유진로봇를 비롯해 로보로보, 휴림로봇, 로보스타, 삼현, 에스비비테크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AI 챗봇(챗GPT 등)/ 인공지능(AI)/ 전력설비/ 양자 등: 트럼프 대통령, 5,000달러 규모 AI 인프라 투자 발표 소식 등에 상승
▷현지시간으로 2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인공지능(AI) 인프라에 5,00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발표했음.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프로젝트”라며 “이 모든 것이 바로 여기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AI인프라 투자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美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이 수천억 달러 규모의 합작회사 설립을 추진한다는 내용으로 이들 3개 기업은 스타게이트라는 합작회사 설립을 계획하고 있고 초기에 1,000억달러를 투자를 한 뒤 향후 4년간 최대 5,000억달러까지 투자를 늘릴 계획으로 알려짐.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의 AI 인프라 투자 발표 속 양자컴퓨팅 산업에 대한 투자심리도 개선되며 지난밤 뉴욕증시에 양자기술 관련 기업인 아이온큐(+16.51%), 리게티컴퓨팅(+42.22%) 등이 급등세를 기록했음. 한편, 표창희 IBM 퀀텀 아시아태평양 사업부 담당(상무)는 전일 기자간담회에서 “오류가 완화되면 양자컴퓨터를 더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2~3년 내로 양자컴퓨터의 성능이 슈퍼컴퓨터를 뛰어넘는 '양자 우위'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25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인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올해 연구·개발(R&D) 예산 29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조속 집행하고, 내년 예산도 올해처럼 선도형 R&D 중심으로 탄탄히 쌓아 올려 '정부 R&D 30조원 시대'를 열겠다"고 밝힘. 이어 "용광로의 불꽃을 꺼뜨려서는 안 되는 것처럼, 과학기술 지원은 흔들림 없이 계속돼야 한다"며 "인공지능(AI)·바이오·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결정적 기술) 분야를 비롯해 핵심 분야 투자를 더욱 과감히 확대하겠다"고 강조했음.
▷이 같은 소식에 인스웨이브시스템, 폴라리스AI, 이스트소프트, 솔트룩스, 마음AI, 일진전기, 효성중공업 등 AI 챗봇(챗GPT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의 AI 관련 테마, 전력설비/전선 등 AI 관련 전력 인프라 테마가 상승. 한국첨단소재, 아이윈플러스, 바이오로그디바이스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도 상승.
LNG(액화천연가스)/ 피팅(관이음쇠)/밸브: 트럼프 2기 출범 속 LNG 시대 본격화 전망 등에 상승
▷iM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 월요일(1/20)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며 집권 2기가 공식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24년1월 바이든 행정부에서 중단했던 Non-FTA 국가들에 대한 LNG 수출 신규 터미널 승인 중단 절차를 즉각 재개하라고 명령했다고 밝힘. 친환경 정책을 강조해왔던 바이든 행정부의 흔적을 지우고 그 자리를 전통에너지로 채우려는데 공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만큼, 향후 4년간 에너지 시장의 판도 변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특히, 가장 빠르게 변화 및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은 LNG 산업이라며, ‘25년에는 천연가스 시추 및 생산과 관련된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완화 및 지난해 말에 완공된 Plaquemines #1, Corpus Christi #3 터미널 가동 효과가 온기로 반영됨에 따라 LNG 수출량은 전년도 대비 큰 폭 증가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국내 에너지 섹터에서는 미국산 LNG 도입 수혜가 기대되는 SK가스, SK E&S 등 민자발전사가 긍정적이라며, 보다 확장적으로는 LNG 터미널 건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밸류체인에도 우호적 여건(ex: 피팅, 냉각시스템 등 플랜트 기자재)이 조성될 것으로 분석.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비에이치아이, 대창솔루션, 동성화인텍, 한국카본, 한국가스공사, 하이록코리아, 태광 등 LNG(액화천연가스)/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가 상승.
제약/바이오 관련주: 올해 기술이전 및 마일스톤, 임상 결과 등 성과 기대감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인류 역사상 연간 40조원이라는 가장 높은 매출액을 달성하고 있는 머크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보다 높은 유효성을 가진 의약품이 '이중항체'에서 해답이 나왔고, 주요 원천물질 개발사가 대부분 중국이라고 밝힘. 다만, 중국의 바이오 성장세가 두드러진다고 하더라도 이미 국내 기업들 중 임상적 성과, 또는 기술이전을 성공한 기업들은 중국과 상관없이 빅파마와 선순환 구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힘. 알테오젠과 리가켐바이오, 한올바이오파마 같은 기업은 몇년 이내에 수천억원의 현금흐름도 예상되는 상황이며, 펩트론 또한 연내 릴리와 본계약 성공할 경우 바이오 붐이 다시 올 수 있을 만큼 큰 사건이 될 것이라고 밝힘.
▷특히, 2025년 기술이전 및 마일스톤, 임상 결과 등 성과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 특히, 상반기 중 특히 다수 바이오텍들이 기술이전 및 임상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보고 있어 바이오 섹터도 다시 상승기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알테오젠, 한올바이오파마, 대웅제약, 보령,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아이폰: 아이폰 판매량 실망 및 수요 둔화 조짐 등에 애플(-3.19%) 하락 여파 속 일부 관련주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서 애플(-3.19%)이 투자의견 하향 소식이 전해지며 시총 2위로 밀려났음. 투자회사 제프리스는 애플에 대해 아이폰 판매가 특히 중국에서 부진하다며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도'로 하향 조정. 제프리스는 애플의 회계연도 1분기 실적이 예상 전망치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애플 인텔리전스'라는 AI 기능이 예상보다 느리게 출시돼 이것이 아이폰의 슈퍼 업그레이드 사이클을 이끌 것이라는 현재 기대치는 너무 높다고 분석.
▷루프 캐피탈도 애플에 대한 투자 의견을 '매수'에서 '보유'로 하향 조정. 루프 캐피탈은 아이폰 수요가 크게 둔화할 조짐을 보인다며, 생성형 AI 기능이 아이폰 16 판매량을 늘리지 못했다고 밝힘. 이어 솔직히 애플 인텔리전스 출시는 실망스러웠다며, 새로운 AI 비서 시리는 문제가 많고 사용자 경험이 매우 실망스러웠고,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AI 기능도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 JP모건도 애플 주식에 대해 비중 확대, 매수 등급을 유지하면서도 목표 주가는 265달러에서 260달러로 낮췄음. 중국 시장 점유율 하락, AI 기능 제한, 달러 강세 등을 언급하며, 실적 발표를 앞둔 상황에서 우려는 이번 분기 자체에 대한 것보다는 전망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덕산네오룩스, 인터플렉스, 앤디포스, 와이엠티 등 일부 아이폰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예림당 그룹주: 대명소노그룹, 티웨이항공 경영 참여 본격화 소식에 급등
▷대명소노그룹 소노인터내셔널은 티웨이항공을 대상으로 경영개선을 요구하고 주주명부열람 등사 청구 및 주주제안을 전달하는 등 경영 참여를 본격화한다고 발표. 소노인터내셔널은 주주제안을 통해 신규 이사 선임에 대한 의안 상정을 요청할 예정이며, 새로운 이사회를 구성해 안정적인 항공사 운영 전략 수립을 수립하고 재무 구조 개선 등을 꾀한다는 방침임.
▷소노인터내셔널은 지난 20일 티웨이항공과 정홍근 대표이사에게 경영진의 전면교체, 티웨이항공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유상증자 요구 등의 내용을 담은 경영개선요구서를 송달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티웨이항공 등 예림당 그룹주가 상승.
[종목]: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티웨이항공
두산에너빌리티(034020): K-가스터빈 수출 팀코리아 결성에 따른 美 진출 기대감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일 한국남부발전, 국내 협력사 9개사와 ‘가스터빈 수출공동체 팀코리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들 11개 사가 구성하는 '팀 코리아'는 가스터빈 기술 개발과 산업 생태계 육성에 협력하면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모색할 계획이며, 한국남부발전과 동사는 미국 시장을 공략하는 공동 마케팅에도 나서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발전사, 제작사(OEM), 협력사에 이르기까지 전 밸류체인에 있는 기업들이 힘을 합쳐 수출까지 이어가자는 의미"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동사 최대주주인 두산도 시장에서 부각.
HJ중공업(097230): 7700TEU급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첫 인도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7700TEU급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1척을 인도했다고 밝힘. 이는 앞서 동사가 2022년 유럽지역 선주사로부터 수주한 2척 가운데 하나이며, 길이 272m, 운항속도 22노트로 최첨단 사양과 친환경 설계를 반영한 7700TEU급 LNG 이중연료(Dual Fuel) 추진 컨테이너선임.
▷이와 관련 유상철 대표이사는 "이번에 첫 7700TEU급 LNG DF 컨테이너선을 성공적으로 건조 인도해 향후 해당 선형의 후속 건조와 공격적 영업활동에도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며, "탈탄소 시대에 걸맞은 친환경 고부가가치 선박 개발과 건조를 통해 선주사의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밝힘.
보령(003850): 지난해 매출 1조원 달성 전망 등에 상승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 2,542억원(+9.9%YoY), 영업이익 151억원(+2.5%YoY, OPM 5.9%)으로 추정된다고 언급. HK이노엔 케이캡과 카나브패밀리의 공동판매로 전년대비 18.0% 성장하면서 연간 매출 1조원은 무난하게 달성한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지난해는 의료파업 등에도 공격적인 매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며, 실적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하나 과거 사례를 보았을 때 외형성장은 문제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 올해는 알림타(비소세포폐암 치료제)가 완전히 자사생산으로 전환됨에 따라 원가율이 보다 개선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원[유지]
HD현대마린솔루션(443060): 선박연료공급업 사업정지 처분 취소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선박연료공급업 사업정지 처분 취소 공시. 부산지방수산해양청으로부터 받은 행정처분에 대해 인지한 즉시 이의신청을 하여 동사가 사업수행실적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소명하였으며, 부산지방수산해양청은 동사의 이의신청을 받아 들였다고 밝힘.
▷아울러 트럼프 2기 개막 속 정책 수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영풍(000670):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MBK파트너스-영풍 연합 승리 전망 속 상승
▷언론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김상훈 수석부장판사)는 전일 영풍·MBK가 고려아연을 상대로 제기한 임시 주총 의안 상정 금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했음. 임시 주총에서 집중투표제 도입을 결정하더라도 차후 정기 주주총회부터 적용하게 된 것임. 이로써 50%에 육박하는 영풍·MBK파트너스가 이사회 과반 차지를 통한 고려아연 경영권 확보에 한층 가까워졌다는 평가가 제기되고 있음.
▷재판부는 결정문에서 "유미개발이 집중투표 청구를 했던 지난해 12월10일 고려아연의 정관은 명시적으로 집중투표제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었다"며, "결국 이 사건 집중투표 청구는 상법의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적법한 청구로 볼 수 없다"고 밝힘. 상법 제382조의2 제1항 규정에 따르면 소수주주가 집중투표를 청구하는 '시점'에 이미 정관으로 허용돼 있어야 하는데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의 가족회사 유미개발은 정관 변경과 함께 집중투표로 이사를 선임할 것을 청구함으로써 이를 위반했다는 의미임.
▷한편, 언론에 따르면, BK파트너스 측은 "기관투자자 16곳이 MBK·영풍 측 이사 후보들에게만 찬성표를 행사한다고 했다"라며, "고려아연 측 후보를 지지한 기관투자자들은 단 2곳에 불과한 것으로 안다"라고 밝힘.
SK바이오팜(326030): 지난해 4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4 실적은 매출 1,594억원(YoY+25.7%, QoQ+16.7%), 영업이익 325억원(YoY+120.1%, QoQ+68.2%, OPM 20.4%)으로, 매출과 이익에서 모두 컨센서스(매출액 1,487억원, 영업이익 282억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중국 Ignis의 엑스코프리 품목허가 신청 제출로 $15mil을 수령한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언급. 이어 미국 엑스코프리 매출도 1,273억원(YoY+63.8%, QoQ+12.3%)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어, 전체 제품 매출액은 1,337억원 (YoY+61.1%, QoQ+5.8%)을 예상한다고 밝힘.
▷특히, 엑스코프리는 한 자리 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국가를 확장하고 있어 매출 상승 여력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언급. 경쟁제품인 Briviact의 점유율 성장세를 반영하여 추정한 제품 매출액으로 인식되는 엑스코프리의 ‘25년 연간 매출(DP, DS 포함)은 6,185억원(YoY+31.7%)으로, 이를 반영한 전체 매출은 6,955억원(YoY +27.9%), 영업이익 1,597억원(YoY+81.0%)에 달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35,000원[유지]
유니드(014830):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 등에 하락
▷대신증권은 전일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예상 영업이익(OP)이 110억원으로 기존추정치 219억원 대비 -49.8% 하향조정한다고 밝힘. 이는 주요 제품 계절적 비수기 영향에 따른 스프레드 하락 및 국내외 일회성 비용 발생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
▷아울러 염화칼륨 가격하락(4Q24 평균 310.2달러/톤, QoQ -4.7%)에 따른 주요 제품 스프레드 약세는 25년 연간 실적 추정치 하향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2,000원[유지]
하이트론(019490): 종속회사 EXICURE, INC., 23.78억원 규모 신약연구개발 업체 GPCR THERAPEUTICS USA,INC. 주식 신규 취득 결정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종속회사 EXICURE, INC.가 글로벌 바이오 신약개발사업 관련 License 확보 목적으로 GPCR THERAPEUTICS USA,INC. 주식 6,000,000주를 23.78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5-01-22) 공시.
▷아울러 종속회사 EXICURE, INC., 지피씨알과 License and Collaboration Agreement(라이선스 및 협력 계약) 공시.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베셀(177350): 감자 결정 후 변경상장 첫날 상한가
▷감자 결정에 따라 지난 12월20일부터 거래정지 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동사는 지난 10월30일 80% 비율의 감자 결정(기준일:2024-12-23, 상장예정일:2025-01-22)한 바 있음.
빛과전자(069540): 양방향 100Gb/s 광전송 핵심 기술 개발 완료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100Gb/s 전송을 위한 핵심 기술인 BOSA(Bi-directional Optical Sub Assembly) 개발 및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밝힘. 개발 제품은 100Gb/s 속도에서 양방향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광학 부품으로, 이번 개발을 통해 5G-Advanced, 6G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급증과 장거리 전송 요구를 한번에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광통신 시장은 데이터 트래픽 증가에 따른 고성능, 낮은 소비전력, 소형화된 광 통신모듈 제품을 요구하고 있고 20km 이상의 장거리 전송도 필수적”이라며, “이번 기술은 Cylinder형 TO 패키지구조를 채택해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했고 100Gb/s 전송을 지원하는 고성능 제품을 통해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켰다”고 밝힘.
비에이치아이(083650): 美 LNG 수주 확대 기대감 등에 급등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국내외 LNG복합화력 발전소 건설 수요 증가세와 맞물려 수주 확대 흐름이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 특히,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라 미국 내 LNG산업 성장이 예상되는 한편, 올해부터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미주 지역 영업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원자력 발전 보조기기 수주 물량의 매출 인식은 올 하반기부터 향후 3~5년간(연 200~300억원) 이어질 전망이라며, 급수가열기, 복수기 등 2~3개 아이템에 대한 추가 입찰을 진행, 신한울 3,4호기 관련 수주가 증가할 여지도 있다고 밝힘.
▷한편, 4Q24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188억원(+46.5% yoy), 91억원(-18.7% yoy)으로 전망된다고 언급. 작년 상반기 수주한 사우디 프로젝트에 대한 진행 매출 인식 등으로 HRSG(폐열회수 보일러) 부문 매출이 747억원(+226.8% yoy)으로 대폭 증가, 전사 외형 성장을 견인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2,000원 -> 23,000원[상향]
동성화인텍(033500): 지난해 4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급등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4 매출액은 1,647억원(YoY +18.5%, QoQ +20.6%), 영업이익은 156억원(YoY +20.9%, QoQ +37.0%, OPM 9.5%)으로, 컨센서스(매출 1,592억원, 영업이익 142억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로써 2024년 연간 실적은 매출 5,764억원(YoY +8.5%), 영업이익 495억원(YoY +32.6%, OPM 8.6%)을 기록할 것이라고 밝힘. 2024년 연간으로 볼 때, 과거 2021~2022년 수주 물량(과거 연평균 3,000억원 규모에서 8,000억원 수준으로 증가)이 실적으로 반영되며 전반적인 Q 성장을 이끈 것으로 분석.
▷아울러 2025년 연간 실적으로 매출액은 6,731억원(YoY +16.8%), 영업이익은 704억원(YoY +42.1%, OPM 10.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0,000원 -> 30,000원[상향]
태성(323280): 2월 복합동박 설비 대규모 계약 체결 기대감 부각 등에 강세
▷김종학 대표는 전일 일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오는 2월 복합동박 설비 대규모 계약이 유력하다고 밝힘. 이와 관련, 1분기 내 중국 복합동박 업체 2곳과 계약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김 대표는 "대량 발주 주는 곳으로 컨텍하다 보니까 (계약이) 지체되는 부분이 있었다"며, "그 업체들에 저번주에 (중국에) 들어가 이야기해 놓았고 명절 지나고 1개 업체가 한국에 들어와 직접 보고 계약하겠다고 한 상황"이라고 언급. 이어 "2월 중에 발주를 내겠다고 해서 저희가 현재 준비를 하고 있다"며, "저번주 15일 최종 사양 미팅이 끝났고 다음달 중에 아마 발주가 나오지 않을까"라고 언급했음.
▷아울러 올해 하반기 AI 반도체 게임 체인저로 꼽히는 유리기판 장비 매출도 본격화할 것이라고 자신했음. 한편, 복합동박 ㆍ유리기판 설비를 대량 생산하게 되는 동사의 천안 신공장은 오는 7월 말 완공될 예정임.
피에스케이홀딩스(031980): 지난해 4분기 사상 최대 실적 전망 등에 강세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816억원(+108.9%, 이하 전분기대비), 영업이익 323억원(+126.1%)으로 컨센서스(249억원) 대비 30%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메모리 업체의 HBM Capa 증설 및 중화권 업체의 비메모리 Capa 증설 지속 영향 때문이라고 분석.
▷아울러 올해 실적은 매출액 2,381억원(+19.5%, 이하 전년대비), 영업이익 949억원(+22.4%)으로 컨센서스(882억원)를 7.6% 상회할 것으로 추정. ASIC 반도체 수요 증가, 중화권 업체의 선단 후공정 CapEx 확대 가시화에 따른 낙수효과 기대, HBM Capa 증설 강도 확대에 따라 추정치를 11.4% 상향했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7,000원 -> 74,000원[상향]
오상헬스케어(036220): 코로나19·독감 콤보키트, 美 애보트를 통해 판매 소식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전세계 최초 미국 식품의약국(FDA) 510(k) 정식승인 획득 코로나19·독감 콤보키트 현지 유통에 글로벌 의료기기 시가총액 1위 기업 애보트와 맞손을 잡은 것으로 전해짐.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홈페이지를 통해 'BinaxNOW COVID-19/Flu(코로나19/독감) A&B'와 'QuickFinder COVID-19/Flu Antigen Pro Test' 등의 진단제품이 등록됐다고 밝혔으며, 게시된 제품 등록 정보에 표기된 'BinaxNOW'는 글로벌 의료기기 1위 기업 애보트, 'QuickFinder'는 국내 오상헬스케어의 진단제품 브랜드명임.
▷해당 제품 등록정보의 공급자엔 동사 이름이 올라와 있으며, 제품 등록을 위해 제출한 문서 고유 식별번호(Premarket submission number) 역시 지난 13일(현지시간) 동사가 정식허가 당시 등록된 품목과 동일(K243262)한 것으로 전해짐. 제품은 동사가 국내 생산 후 애보트에 판매하는 형태로 현지 유통할 예정.
▷이와 관련, 강철훈 대표는 "제품 공급형태가 월 단위 발주에 따라 유동적인데다 최근 독감 유행이 거세지면서 당초 예상했던 것 대비 이상의 수요와 실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대형 파트와의 계약으로 높아진 회사 제품·기술의 공신력 제고 역시 다른 지역 파트너링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자신한다"고 밝힘.
탑코미디어(134580): 탑툰 흡수합병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주)탑툰을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 대 27.2683824, 합병기일:2025-04-01, 신주상장예정:2025-04-25) 공시.
▷한편, 보통주 379,917주(8.73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1-22~2025-02-07) 공시.
삼천당제약(000250):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의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개시 소식 속 제품 상용화 기대감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주사제를 경구제로 전환하는 플랫폼 기술인 S-PASS를 기반으로 개발한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의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BE Study)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힘. 해당 제품은 노보노디스크에서 개발해 판매중인 리벨서스(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의 제네릭이라고 전해짐. 한편, 동사는 S-PASS를 이용한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비만, 당뇨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예정대로 2026년 물질 특허가 완료되는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판매를 개시할 계획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자사의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제네릭은 제형 특허 회피로 인해 2026년부터 판매가 가능하여 경쟁사보다 최소 5년 이상 시장에 빨리 진입할 수 있어 매출 등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구체적인 개발 일정 및 국가별 계약 협의 내용 등은 NDR을 통해 알려드리도록 하겠다"고 언급. 이어 "BE Study 결과를 통해서 미국 및 일본과 같이 이미 Term Sheet을 체결한 국가들과의 계약 협의가 가속화 될 것이고, 유럽, 인도, 중동, 중국 등 기타 지역의 계약 및 허가 신청 속도도 빨라질 것"이라고 밝힘.
에프엔에스테크(083500):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24년 연결기준 실적 발표. 매출액 888.77억원(전년대비 +128.57%), 영업이익 88.05억원(전년대비 +285.84%), 순이익 134.33억원(전년대비 +833.47%).
우리산업(215360): 테슬라 신형 모델 Y 주니퍼 HVAC 액추에이터 공급 물량 확대 전망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이미 테슬라의 전 차종에 HVAC 액추에이터를 공급해오고 있었다며, 이번 신형 모델 Y 주니퍼 독점 계약으로 공급 물량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라고 전해짐. 특히, 중국 시장에서 모델 Y 주니퍼의 사전 예약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번 독점 공급 계약은 동사의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알려짐.
엘앤씨바이오(290650): 부조직 이식재 '메가덤플러스' 中 허가 획득 속 성장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승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피부조직 이식재 제품인 ‘메가덤플러스’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수입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힘. 이로써 동사는 외국기업 최초로 중국 피부조직 이식재 시장에 공식 진출하게 됐음.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4년12월 엘앤씨차이나 잔여 지분 24.9%를 추가 취득해 100% 자회사로 전환했다며, 이번 엘앤씨차이나 잔여 지분 취득을 통해 중국 시장 진출에 따른 본격적인 성장세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2021년 CICC와의 JV 설립 이후 재무적 투자를 통해 2022년12월 약 7,000평 규모의 공장을 완공했다고 언급. 최근 중국 내 인체조직 관련 피부조직 이식재 공급 부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2025년1월 메가덤플러스 수입 인허가를 통해 중국 유방재건 8,400억 규모, 화상 3조원 규모의 시장을 공략하는 성장 본격화의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
뷰노(338220): 아랍헬스 2025 참가 예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27일부터 30일까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개최되는 의료기기 전시회 '아랍헬스(Arab Health) 2025'에 참가한다고 밝힘. 동사는 이번 아랍헬스 2025에서 AI 기반 심정지 발생 위험 감시 의료기기 VUNO Med®-DeepCARS®, AI 기반 심전도 분석 소프트웨어 VUNO Med®-DeepECG®, 휴대용 심전도 측정 의료기기 HATIV P30 등 생체신호 제품군 3종을 전시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이예하 대표는 "중동 국가와 인도는 미래 의료 AI의 큰 시장으로 꼽힌다. 아랍헬스를 통해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해외 시장 진출 가속화의 계기로 삼을 것"이라며 "향후 동사의 AI 솔루션들이 전세계 각국의 여러 의료현장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밝힘.
삼현(437730): H사 'xEV DAS Actuator' 양산업체 선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H사의 하이브리드·전기차 ‘xEV Disconnect Actuator‘ 신규 물량 양산 업체로 선정됐다고 밝힘. xEV Disconnect Actuator 는 AWD와 2WD를 전환할 수 있는 가변 전동 제어 시스템으로, 기존시스템 대비 6~8% 동력 및 전비를 향상시키는 핵심 부품임. 해당 제품은 향후 2035년까지 전기차 외에도 다양한 친환경차량(HEV, PHEV, BEV, FCEV)에 적용될 예정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북미向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용 Actuator 양산업체로 선정은 당사의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을 입증한 성과"라며,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당사의 매출 증대는 물론 글로벌 시장 내 입지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이어 "당사는 지속적인 x-IN-1 통합기술 확장을 통해 새로운 사업기회 창출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힘.
엔젠바이오(354200): 폴란드 암 센터에 유방암 정밀 진단 제품 공급 소식 속 동유럽 NGS 정밀의료 시장 확대 본격화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폴란드 비드고슈치 암 센터에서 진행된 유전성 유방암 NGS 정밀진단 제품 입찰에 성공하며 동유럽을 NGS 시장 확대를 본격화 했다고 밝힘. 비드고슈치 암 센터는 폴란드에서 가장권위 있는 암 전문 병원 중 하나로, 약 3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추고 연간 수만 명의 환자를 진료한다고 전해짐. 동사는 이번 낙찰을 통해 저명한 의료기관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점을 입증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NGS 기반 정밀 의료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폴란드를 비롯한 동유럽에서 당사의 NGS 정밀진단 제품이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입증한 사례"라며, "비드고슈치 암 센터 공급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다른 제품 추가 공급 및 동유럽 시장 확장을 통해 기업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밝힘.
퓨쳐켐(220100): FC705 파이프라인 가치 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유럽핵의학회(EANM 2024)에서 방사성 전립선암 치료제 FC705 임상 2상 구두 발표라는 역대 국내 바이오텍 최대 성과에도 소재 고갈로 하락했고, 주가는 흔들렸으나 임상 결과는 견조했으며, 피어그룹 대비 저평가라 분석. 특히, 임상 2상의 최종결과 발표가 임박해 현재 논의 중인 빅파마 두 곳으로부터 의사결정이 가속화 될 가능성 높으며, 그 중 한 곳은 릴리로 충분히 추정 가능하다고 설명. 포인트바이오파마가 FC705 대비 낮은 유효성과 높은 부작용이 임상 2상에서 확인될 경우 릴리가 인수했던 14억 달러(한화 약 1.8조원) 규모 대비 동사 FC705 파이프라인 가치는 극심한 저평가라 판단.
에스앤더블류(103230): 550억원 규모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양도 결정 철회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550.00억원 규모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양도 결정 철회 공시. 철회 사유는 매수인과 매도인의 내부사정으로 인해 상호간의 협의를 거쳐 계약을 해지했다고 밝힘.
주성엔지니어링(036930): 지난해 4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하락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1,030억원(-3% QoQ, 1% YoY), 영업이익 144억원(-72% QoQ, -28% YoY)으로 컨센서스 297억원을 52% 하회할 것으로 전망.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기대치를 크게 하회하는 원인은 일회성 비용 반영 때문이라고 분석.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잔금 회수가 늦어진 태양광 장비 매출에 대한 충당금과 신규 고객향 파일럿 장비 출하로 판관비가 늘었을 것으로 추정.
▷다만, 올해는 고객사 다변화와 장비 응용처 확대가 동시에 발생하는 원년이라며, 영업 이익률 역시 일회성 요인이 발생하지 않는 1분기부터는 다시 회복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2,000원 -> 47,000원[하향]
앤디포스(238090): 최대주주 대유,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조광ILI 상장페지 의결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동사의 최대주주인 대유와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조광ILI에 대해 상장폐지로 의결했다고 밝힘. 기업의 계속성 및 경영의 투명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장폐지기준에 해당한다고 결정했으며, 정리매매기간은 2025-01-23 ~ 2025-02-06, 상장폐지일은 2025-02-07임.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