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1.23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1-23 15:34
조회수 :
230

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강세 테마: 육계, 골판지 제조, 조림사업, 수산, 마이크로 LED, 밥솥, 캐릭터상품, 의료AI, 항공/저가 항공사(LCC), 리모델링/인테리어, 5G(5세대 이동통신), 화학섬유, 통신장비, 공기청정기, 테마파크, 통신, 화이자(PFIZER), 제4이동통신, 마리화나(대마), 클라우드 컴퓨팅, 건설 대표주, 면세점, 모더나(MODERNA), 은행 등...


약세 테마: 조선, 조선기자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피팅(관이음쇠)/밸브, 종합상사, 해운, 남-북-러 가스관사업, 키오스크(KIOSK), 아이폰, 2차전지(장비), LNG(액화천연가스), 리튬, 모듈러주택, 2차전지(소재/부품), 반도체 재료/부품, 리비안(RIVIAN), 야놀자(Yanolja), 건설기계,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2차전지(전고체), 강관업체(Steel pipe), 웹툰,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등...

 

 

 

 

<특징 테마>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美 5,000달러 규모 AI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스타게이트' 기대감 지속 속 일부 관련주 상승
▷트럼프 美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래리 엘리슨 오라클 회장과 함께 미국 AI 인프라 투자를 위해 세 회사가 '스타게이트'라는 합작투자 법인을 설립한다고 발표. 초기에 1,000억달러를 투자를 한 뒤 향후 4년간 최대 5,000억달러까지 투자를 늘릴 계획으로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 MGX 등도 협력사로 참여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업계에선 AI를 고도화해 인공 일반지능(AGI)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풀이되고 있음. AI가 학습할 데이터 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해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증했지만,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으로 AGI를 상용화하기 위해선 대형 데이터센터가 필수임. 오픈AI는 이를 위해 작년부터 5GW급 데이터센터 설립을 검토해왔지만, 오픈AI의 자본만으로 투자를 확대하기 어려워 이러한 선택을 한 것으로 전해짐.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서 오라클(+6.75%)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엔비디아(+4.43%), 마이크로소프트(+4.13%)를 비롯해 오픈AI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이사회 의장을 맡은 핵 전력 공급 회사 오클로(+9.34%), 소프트뱅크가 최대주주인 Arm(+15.93%)도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이 같은 소식 속 마음AI, 폴라리스AI, 에스피소프트, 엠로, 엑셈 등 일부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전기차/ 2차전지: 트럼프 대통령 '미국 에너지 해방' 행정명령 서명에 따른 전기차 성장률 둔화 전망 등에 하락
▷하나증권은 ‘미국 에너지 해방(Unleashing American Energy)’ 행정명령의 결과로 전기차 성장률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특히, 캘리포니아 포함 12개 주의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를 허용했던 EPA의 승인은 폐기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하며, EPA가 규정하고 있는 연비 규제는 대폭 완화될 전망. 아울러 IRA 7,500달러 세액 공제 보조금은 조문 해석의 여지가 있으나 상기한 ‘자금 지급 중단’ 조항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사실상 지급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 또한, 실적 factor의 하향 조정, Valuation factor의 중립적 영향으로 인해 주가 측면에서 추세적 상승을 기대할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분석.

▷한편, 트럼프는 취임식 직후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들을 변경 및 취소하는 ‘미국 에너지 해방(Unleashing American Energy)’ 행정명령에 서명했음. 해당 행정명령 중 전기차 관련한 내용은 크게 세 가지이며, 1) Section 2(정책 조항) :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폐지하고 보조금을 삭감하며, 주(州)별 배출가스 규제를 종료한다. 전기차를 다른 기술보다 우대하는 보조금과 정부의 시장 개입을 제거한다. 2) Section 4(행정 명령 취소에 관한 조항) : IRA 법안 및 기후변화 관련 행정명령에 따라 설립된 사무소들을 폐지(abolish)한다. 폐지된 기관이나 프로그램에 할당됐던 자금은 전용 및 처분한다. 3) Section 7(그린 뉴딜 종료에 관한 조항) : IRA 법안에 기반한 자금 지급을 중단한다(immediately pause) 등임.

▷이와 관련, LS머트리얼즈, 에이에프더블류, 엠오티, 금양, 파인텍, 원익피앤이, 엘앤에프, SKC, 코스모신소재 등 전기차/ 2차전지 테마가 하락.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성안머티리얼스(011300): 美 MP머티리얼즈, 텍사스 희토류 자석 생산시설 시험가동 돌입 소식 속 MP머티리얼즈와 희토류 산화물 공급 계약 체결 이력 부각에 급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최대 희토류 기업 MP머티리얼즈(MP Materials)가 미국 텍사스주 희토류 자석 생산시설 시험가동에 돌입했다고 전해짐. 캘리포니아에 있는 MP머티리얼즈의 마운틴패스 희토류 광산에서 생산된 원료를 사용해 미국 최초의 완전 통합 희토류 금속, 합금 및 자석 제조 시설을 건설할 예정.
▷MP Materials는 연간 약 1,000톤의 완성된 네오디뮴-철-붕소(NdFeB) 자석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점진적인 생산 증가는 올해 말에 시작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자동차용 소결 자석의 첫 번째 인도는 연말까지 예정되어 있으며, 상당량이 제너럴모터스에 공급될 예정이라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MP머티리얼즈와 희토류 산화물 공급 계약을 맺은 바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영원무역(111770): 업황 회복 및 환율 효과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OEM 실적이 2024년 상반기에 비하면 하반기 두자리 성장률을 지속중에 있다며, 캐주얼 OEM업 대비 스포츠 아웃도어 OEM업의 실적 회복력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아울러 현재는 환효과가 극대화되는 시기로 트레이딩이 가능한 구간으로 판단된다며, 순이익까지 환효과를 보는 OEM사는 동사가 유일하다고 언급.
▷한편, P/E 수준은 늘 5배 내외로 해외 유사 기업 평균(10배 초중반)에 비하면 현저히 낮지만, 이런 저밸류 추세가 장기간 지속되어 현 실적 회복 추세만으로 새로운 모멘텀이 되기는 부족할 수 있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8,000원[유지]

 

삼성에스디에스(018260):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부진 등에 하락
▷24년4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64조원(전년동기대비 +7.85%), 영업이익 2,115.11억원(전년동기대비 -1.40%), 순이익 1,962.58억원(전년동기대비 +34.42%).
▷보통주 1주당 2,900원(시가배당율 2.2%)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3개년 배당정책 수립(25~'27년 배당성향 30% 수준 등) 공시.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에이비엘바이오(298380): 사노피보다 더 좋은 기술 수출 기대감 등에 강세
▷언론에 따르면, 이상훈 동사 대표가 공식 유튜브채널을 통해 기업설명회를 열고 에이비엘바이오 2.0 버전에서 올해부터는 폭발적인 성장을 할 수 있는 모멘텀이 있을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또한, 시스톤, 컴페스, 유한양행 등으로부터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 600억원 이상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고 알려짐.
▷아울러 올해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글로벌 빅파마들이 그랩바디-B와 그랩바디-T에 대해 더 이상의 검증은 필요 없다고 인정했다며, 올해 언제 어디서 (기술이전) 계약이 나와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언급. 이어 지난해 중견 사이즈 회사와 텀싯(초기 거래 조건표)을 이야기했지만 거절하고 지금은 빅파마와 더 큰 협상중이라고 밝힘.

 

한국비엔씨(256840): 프로앱텍 개발 '지속형 통풍치료제 기술' 美 특허 등록 완료 소식 등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프로앱텍을 통해 개발중인 지속형 통풍 치료제인 PAT101 기술의 미국 특허 등록을 완료하고, 임상시험 IND승인신청에 필요한 비임상시험의 성공적 완료를 통해 내약성을 확인했다고 밝힘. 이번 특허는 프로앱텍의 원천 플랫폼 기술인 SelecAll™을 통풍치료용 후보물질에 적용한 것으로, 기존 컨쥬게이션 단백질 약물의 활성 감소, 부작용 발생, 낮은 생산 수율 등의 단점을 극복한 차세대 바이오 신약개발 기술임.
▷이와 관련, 최완규 동사 대표는 “동사의 전략적 투자사이자 파트너사인 프로앱텍의 지속형 요산 통풍 치료제의 기술이 중요한 시장인 미국에서 그 가치가 인정된 쾌거이며 비임상시험 결과 또한 긍정적으로 확인했다"며, "임상 1상 시험등이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이의 라이선스 아웃 가능성과 향후 시장 진입을 통해 높은 매출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라고 밝힘.

 

안트로젠(065660): 5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등에 강세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호라이즌플로우카이 벤처펀드 등 대상 274,727주(50.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8,200원, 상장예정:2025-02-14) 공시.
▷한편, 전일 동사는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 중인 퇴행성관절염 치료제(ANT-301)의 제1상 임상시험에서의 저용량군 대상자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힘. 모든 저용량군 대상자의 투여후 4주 추적 결과가 확보됨에 따라 2025년1월21일 독립적인 안전성 자료 검토 위원회(DSMB) 회의를 통해 저용량군에 대한 안전성 검토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으며, 본 임상의 2차 목표인 유효성평가에서 임상약 투여후 불과 4주만에 투여환자 모두에서 통증감소 및 관절기능 개선이 관찰되었다고 언급. 이어 현재 고용량군 대상자 등록 준비 단계에 있으며, 빠른 시일 내로 등록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힘.

 

삼현(437730): 천궁-Ⅱ UAE수출용 핵심부품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기식 수평안정화 장치를 방공체계 핵심무기인 천궁-Ⅱ(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MSAM)에 공급한다고 밝힘. 이번 계약은 지난해 1차 계약에 이은 추가 물량으로, 총 100억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단순히 공급 계약을 넘어 동사의 글로벌 방산 기술력을 인정받은 중요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중동을 포함한 세계 시장에서 전기식 수평안정화 장치를 비롯한 다목적 무인차량 등 다양한 방산 전동화 핵심 부품 및 솔루션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힘.

 

아이엠(101390): 中 화창에 롤 단위 복합동박필름 초도 물량 출하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국 이차전지 소재기업 화창(Huachuang)에 롤 단위 복합동박필름 초도물량을 출하했다고 밝힘. 동사는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대 5,000미터 길이의 롤 단위 복합동박필름 연속생산이 가능한 양산 체제를 구축하고 국내외 고객사들과 테스트를 진행해 왔으며, 이번 화창향 초도 공급 출하 이후 롤 단위 생산량을 더욱 확대할 계획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중국 화창향 초도 공급 성공으로 복합동박 기술력 및 양산 능력을 인정받게 됐다"라며, "다음 달 중 중국의 유력 동박 업체 2곳에도 동일한 규모의 초도물량을 출하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어 "세계 최대 이차전지 생산국인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해 영업력을 강화 중이다"라고 언급.

 

씨앤지하이테크(264660): 유리기판 데모 설비 가동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유리기판 관련 핵심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시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데모 설비를 갖추고 가동에 들어갔다고 밝힘. 이번 데모 설비는 고효율의 증착 기술과 유리 표면처리 원천 기술을 통해 510x515㎜의 대면적에 구리·글라스 간 고접착력 구현, 종횡비 1대 5의 관통홀 내벽에 구리 박막 형성이 가능하다고 설명. 해당 기술이 적용된 차세대 반도체는 데이터센터, 인공지능(AI), 그래픽 등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에 공개한 데모 설비는 공정 개선과 시제품 제작 등을 목적으로 한 것이라며, 설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추후 최적화된 양산 장비 라인을 설계하고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힘.

 

앱클론(174900): AC101, HER2 양성 위식도암 생존률 향상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헨리우스에 기술이전한 AC101이 대조군에 비해 월등한 데이터를 보이며 HER2(인간표피성장인자수용체 2형) 양성 전이성 위암 1차 치료제로서의 성공 기대감을 높였다고 밝힘. AC101은 헨리우스에 기술이전 후 HLX22 코드명으로 중국, 미국, 일본, 호주 등에서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 중임.
▷발표한 임상연구 결과에 따르면, HLX22트라스트주맙제록스(이하 HLX22) 병용요법을 받은 그룹은 플라시보트라스트주맙제록스(이하 플라시보) 그룹에 비해 월등히 높은 생존률을 보였음. HLX22 병용요법 그룹은 아직 무진행생존기간(PFS)이 도달하지 않은 상태(NR)였으며 플라시보 그룹은 8.3개월로 보고됐음. 이어 12개월 생존률도 HLX22 그룹이 73.8%로 플라시보 그룹의 34.2%보다 현저히 높았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HER2 양성 전이성 위암 환자들에게 HLX22 병용요법이 유의미한 생존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특히 치료와 관련한 부작용은 관리 가능하며 HLX22가 기존의 치료 방법보다 더 나은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언급. 이어 "이 연구는 HER2 양성 전이성 위암의 치료에 대단히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새로운 치료 옵션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다날(064260): 넷플릭스 스트리밍 요금 간편결제 부문 정산 담당 소식 등에 소폭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넷플릭스 스트리밍 요금 간편결제 부문의 정산을 맡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넷플릭스 가입자가 당초 월가의 예상을 뛰어넘는 3억 명을 돌파한 가운데, 동사도 월 단위로 매출이익이 경신 중이라고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넷플릭스 스트리밍 요금 간편결제 부문의 정산을 맡고 있다”며 “현재 월 단위로 매출이익을 경신 중”이라고 밝힘.
▷한편, 넷플릭스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매출이 102억4,7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16% 증가했다고 발표. 4분기 순이익은 18억6,900만 달러, 주당순이익(EPS)은 4.27달러를 기록. 이는 시장 예상치를 모두 상회하는 수치임. 아울러 글로벌 유료 가입자 수는 지난해 4분기에 1,891만명 순증하며 총 3억163만명을 기록. 넷플릭스 가입자 수가 3억명을 돌파한 것은 사상 최초임.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주요 아티스트 컴백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최대 모멘텀은 역시 K-pop 대표 걸그룹 IP ‘블랙핑크’의 컴백 활동이라며, 3Q25~2Q26에 걸쳐 대규모 월드투어가 예정되어 있고 모객수는 기존 월드투어 200만명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베이비몬스터의 글로벌 인지도 상승 추이는 빠른 수익 기여로 이어질 것이라며, 작년 발매된 미니1집 & 정규1집 단 두장의 앨범만으로 국내 탑티어 수준의 글로벌 인지도를 이미 기확보한 상황이라고 밝힘. 또한, 시점상 연말 혹은 내년초 신규 보이그룹IP 런칭이 기대된다고 설명.
▷다만, 4Q24 연결 기준 예상 매출액은 954억원(-12.8% yoy), 영업이익은 -45억원(적자지속yoy)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신인 주력 IP 베이비몬스터의 정규 앨범 발매 등 전분기 대비 IP 가동률 상승하였으나, YoY 외형 역성장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프로모션성 투자(MV제작편수확대)비용 증가에 따른 이익 개선세도 다소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0,000원[유지]

 

씨앤씨인터내셔널(352480): 4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약세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 연결 매출액은 571억원(-9.6% YoY, -23.0% QoQ), 영업이익은 24억원(-73.5% YoY, -66.5% QoQ)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81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 카테고리별로는 그동안 경쟁력을 보였던 립 제품의 매출이 -21.6% YoY, 지역별로는 Top10 고객사 중 한국, 미국 주요 브랜드사의 수주 감소로 한국, 북미 매출액이 각각 -1.1%, -25.8% YoY로 부진했던 것으로 추정.
▷기존 상위 고객사가 주력으로 판매하던 주요 제품들의 교체 주기가 도래하며 해당 제품들의 수주량 감소 구간에 진입한 반면, 신제품 출시는 지연 혹은 기존 제품 수주 감소분에 못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힘. 추가적으로 2024년4분기 중 투입 예정이였던 자동화 설비 도입이 지연되며 일시적으로 인건비가 증가된 부분도 수익성 악화에 일조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0,000원 -> 50,000원[하향]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