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2.03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2-03 15:10
- 조회수 :
- 223
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오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희귀금속(희토류 등), 요소수, 인터넷 대표주, AI 챗봇(챗GPT 등), 탄소나노튜브(CNT), 국내 상장 중국기업,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윤활유, LPG(액화석유가스), 도시가스,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피팅(관이음쇠)/밸브,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남-북-러 가스관사업 등...
약세 테마: 유리 기판, HBM(고대역폭메모리), 뉴로모픽 반도체,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온디바이스 AI, LED장비, 3D 낸드(NAND),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반도체 장비, 항공/저가 항공사(LCC), 반도체 재료/부품,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전선, PCB(FPCB 등), 시스템반도체, 줄기세포, 2차전지(소재/부품),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무선충전기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2차전지(생산), 2차전지(장비),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등...
<특징 테마>
AI 챗봇(챗GPT 등): 오픈AI CEO 방한 소식 및 中 딥시크 반사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오는 4일 한국을 방한해 비공개 개발자 워크숍 ‘빌더랩’에 참석할 예정. 이번 방한에서 삼성전자 최고경영진,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과 회동을 가질 예정으로 대규모 투자 계획이 발표될지 주목되고 있음.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도 만나 AI 분야 협업 전략을 논의할 예정. 또한, 정신아 대표는 카카오 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이 자리에서 인공지능(AI) 계획과 서비스 방향성에 대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며, 오픈AI와 협업 관련된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짐.
▷中 딥시크 등장에 따른 반사 수혜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는 모습.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지난 20일(현지시간) 복잡한 추론 문제에 특화한 AI 모델 'R1'을 새롭게 선보였음. 챗GPT 등과 비슷한 성능을 선보이는 것은 물론이고, V3 모델에 투입된 개발 비용이 557만6,000달러(약 78억8천만원)에 그쳤음. 이는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 최신 AI 모델 '라마3' 모델에 쓴 비용의 10분의 1 수준으로 AI 모델 훈련에는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용으로 성능을 낮춰 출시한 H800 칩이 사용됐음.
▷업계에선 단기적으로 엔비디아 등 AI 하드웨어 업체의 성장 독주에서 AI 비용 하락에 따른 AI 소프트웨어 업체의 수익성 개선이라는 내러티브로 이동하게 만들 것으로 전망. 이를 고려할 시 한국, 미국 등 주요국 증시에서는 AI 소프트웨어 업종에 우호적 수급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바이브컴퍼니, 플리토, 브리지텍,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인포뱅크, 와이즈넛, 카카오 등 AI 챗봇(챗GPT 등) 테마가 상승.
그래핀: 美 국제무역위원회(ITC), 中 흑연 불공정거래 인정 관련 예비 판정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중국이 전기차(EV) 배터리 음극재 핵심 소재인 흑연을 인위적으로 낮은 가격에 수출해 미국 흑연 산업을 저해했다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예비 판정이 나온 것으로 전해짐. 이번 판정은 미국 흑연 생산업체들을 대표하는 활성음극재생산자협회(AAAMP)가 지난해 12월 미국 상무부와 ITC에 중국산 흑연에 대해 최대 920%의 징벌적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며, 반덤핑 조사를 요청한 지 두 달 만에 나온 첫 번째 결과임.
▷ITC의 예비 판정이 나온 만큼 해당 사안은 미 상무부와 ITC에서 병행 심사된다며, 상무부가 중국의 불공정 가격 책정 정도를 최종 판별하면 이에 상응하는 추가 관세가 부과될 전망. 현재 중국은 글로벌 흑연 공급망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조치가 한국 배터리 업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상보, 크리스탈신소재, 엘엠에스 등 일부 그래핀 테마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트럼프發 관세 우려 속 비트코인 급락 영향 등에 하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시간) 캐나다 및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보편 관세를 각각 부과하기로 최종적으로 결정한 가운데,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세를 기록중임.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금일 오후 2시40분 경 비트코인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6% 넘게 급락한 9만3,600달러 부근에서 거래중이며,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과 업비트에서는 1억4,900만원 선에서 거래중임.
▷가상화폐 전문매체인 코인데스크는 "미국에서 불법 이민자들을 대량으로 추방하는 정책과 함께 재개된 무역 전쟁은 인플레이션을 가중할 수 있으며,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언급. 이어 "비트코인 가격의 약세는 이런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며, "시장에 위험자산 회피 신호를 주고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우리기술투자, 인바이오젠, 갤럭시아머니트리, 티사이언티픽, 한화투자증권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하락.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카카오(035720): 오는 4일 오픈AI와 AI협업 발표 예정 소식에 강세
▷업계에 따르면,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오는 4일 한국을 방한해 비공개 개발자 워크숍 ‘빌더랩’에 참석할 예정인 가운데, 올트먼 CEO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만나 AI 분야 협업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해짐.
▷정 대표는 카카오 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이 자리에서 인공지능(AI) 계획과 서비스 방향성에 대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며, 오픈AI와 협업 관련된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짐. 카카오는 당초 작년에 대화형 AI서비스 ‘카나나’를 출시한다고 밝혔지만, 이 또한 올해 1분기로 미뤄진 바 있어 업계에선 오픈AI와 협업을 통해 카나나 서비스를 선보일지도 기대하고 있음.
삼성E&A(028050): 2.47조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ABU DHABI NATIONAL OIL COMPANY(ADNOC)와 2.47조원(최근 매출액대비 23.33%) 규모 공급계약(UAE Methanol Project) 체결(계약기간:2025-02-07~2028-09-18) 공시.
SHD(001770): 지난해 영업이익 적자전환에 하락
▷24년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1,066.04억원(전년대비 +0.29%), 영업손실 40.25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이익 29.49억원(전년대비 +2,576.18%).
한일철강(002220):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지난 31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064.07억원(전년대비 -4.55%), 영업이익 12.54억원(전년대비 -74.18%), 순손실 74.19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고려아연(010130): 영풍·MBK파트너스, 최윤범 동사 회장 등 배임 및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 고발 소식 속 하락
▷금일 영풍·MBK파트너스는 최윤범 동사 회장과 동사가 100% 지배하는 호주 회사 선메탈코퍼레이션(SMC)의 전·현직 이사들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경법)상 배임과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서울남부지검에 고발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영풍·MBK 관계자는 “최윤범 회장은 자신의 자리보전을 위해 탈법적인 출자구조를 만들어내는 등 유례없는 위법행위들을 저질렀고, 이로 인해 주주권과 자본시장 질서가 심각하게 훼손됐다”고 주장했음. 이어 “최 회장과 그 동조자들은 최 회장 한 사람의 이익을 위해 주주와 일반투자자들의 이익을 해하고 동사의 자금을 사금고처럼 이용하며 어떤 위법 행위도 서슴지 않고 있다”며 “범죄의 중대성과 증거 인멸의 우려가 심각한 만큼 검찰의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를 통해 법의 지배가 관철되고 있음이 자본시장은 물론 우리 사회에 각인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임.
▷이 같은 소식 속 동사가 하락세를 기록중이며, 최대주주 영풍도 동반 하락세를 기록중임.
해성디에스(195870): 지난해 4분기 및 연간 실적 부진 등에 하락
▷24년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452.00억원(전년동기대비 +0.06%), 영업이익 63.00억원(전년동기대비 -61.34%), 순이익 122.00억원(전년동기대비 +15.09%). 또한, 24년 연결기준 매출액 6,029.93억원(전년대비 -10.30%), 영업이익 568.69억원(전년대비 -44.52%), 순이익 586.97억원(전년대비 -30.47%).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듀켐바이오(176750): 치매 진단 증가에 따른 핵의학 영상 수요 급증 수혜 기대감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의학 저널 Nature Medicine에 발표된 한 연구 결과를 인용해 향후 40년 동안 미국에서만 치매 환자 수가 지금보다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매년 100만 건 이상의 진단이 이루어질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전해짐. 이러한 추세는 치매 진단 및 관리에 필수적인 핵의학 영상(PET/CT) 수요를 더욱 증가시킬 전망이라고 알려짐.
▷조기 진단을 위한 PET·CT 촬영을 위해 필수 방사성의약품 공급 확대가 필연적인 상황인데, 국내에서는 이 시장의 90% 이상 점유율(2023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생산 실적 기준)을 차지하고 있는 동사가 가장 직접적인 수혜를 볼 것으로 평가.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레켐비의 국내 처방 개시에 이어 키순라도 유럽 허가를 앞두고 있는 만큼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시장은 반드시 커질 것”이라며 “부족한 공급을 해소하기 위해 생산 케파 확장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힘.
석경에이티(357550): 올해 기업가치 향상 기대감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상반기 3공장 완공으로 인한 케파 확대와 다양한 신소재 매출의 시작으로 올 한해는 기업가치가 도약하는 원년이 될 것으로 추정. 이와 관련, 3공장 건설과 관련해 주목적은 중공실리카 대량생산으로 완공 후 내년부터 연 260억원 규모의 중공실리카 생산이 가능하다며, 중공실리카는 6G, 자율주행, 우주 등 초고속, 초정밀을 요하는 산업에 쓰이는 핵심 소재이며, 국내 유일 생산기업으로 수익성도 높을 전망이라고 언급.
▷아울러 신소재와 관련해 2023년 개발한 붕화물계 고체 전해질이 올 상반기 일본과 미국의 업체로 납품이 개시되고 내년부터 양산될 예정이라며, 이는 기존의 단점을 보완하고 특허장벽도 피해갈 수 있는 물질로 전기차 캐즘 극복의 핵심 밸류체인이 될 것으로 전망.
▷또한, 동사의 올해 실적은 매출액 177억원(+28.4% YoY), 영업이익 40억원(+46.1% YoY)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 추정치는 신사업 양산매출을 감안하지 않은 보수적인 수준이라며, 동종기업 대비 PSR 밸류에이션이 높지만 수익성은 압도적으로 우수하다고 밝힘.
스카이월드와이드(357880): 중동·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올해 미국지사 설립을 시작으로 중동과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밝힘.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약 5,000억달러(약 718조원) 규모의 AI 투자안을 공개했으며, 여기에 더해 전 세계적으로 딥시크 열풍이 불면서 글로벌 AI 시장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는 상황이라고 언급.
▷이에 동사는 글로벌 AI 업계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가장 주목받는 한국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힌다며, AI 기반 데이터 관리 기술인 그래프DB와 백터DB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신재혁 동사 대표는 “AI는 단순히 기술적 우위를 넘어 비즈니스와 시장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는 핵심 도구”라며 “올해를 글로벌 진출의 원년으로 삼고 미국지사를 설립하는 등 해외 시장을 적극 개척함으로써 AI 산업의 리더로 자리 잡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힘.
오브젠(417860):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독립리서치 밸류파인더는 동사에 대해 지속 증가하는 수주총액으로 올해는 실적 턴어라운드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고 분석. 특히, 올해는 수주총액 300억원 달성, AI를 포함한 제품 라이선스 매출비중도 전체 30% 이상 상회할 것으로 예상. 이는 매출의 양적 및 질적 성장으로 이어져 올해 흑자전환 가능성이 고조될 전망이며, 지난해 ‘삼성그룹 모니모(44억원)’, ‘KB증권 더플랫폼(28억원)’ 수주도 가시적 성과이고, 지난해 150억원(3자배정 유증, CB)의 현금도 확보했다고 설명.
▷한편, 동사는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딥시크’를 자사 CRM 솔루션에 적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범용적 생성형 AI(sLLM, 소형언어모델) 개발 및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
아이엠비디엑스(461030):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주관기업 선정 소식에 소폭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K-헬스미래추진단(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추진단)의 2024년 2차 공고 대상 과제인 다중암 조기진단 기술개발 및 상용화 연구에 선정돼 자사 다중암 조기 스크리닝 제품 ‘캔서파인드’ 적용 암종을 현재 8개 암종에서 30개 암종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전해짐.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미국 국립보건원 DARPA 모델을 참고해 도입된 사업으로, 동사는 한 번 채혈로 8개 암종 조기 스크리닝이 가능한 캔서파인드 제품 기술 개발 성과를 인정받아 과제 주관기업으로 선정됐으며, 이를 기반으로 15개 암종 동시 스크리닝이 가능한 차세대 암 조기진단 기술을 개발할 예정.
포스코엠텍(009520): 지난해 4분기 순이익 적자전환 속 하락
▷24년4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957.27억원(전년동기대비 +1.94%), 영업이익 10.09억원(전년동기대비 +134.65%), 순손실 5.4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케이씨에스(115500):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24년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295.39억원(전년대비 -38.10%), 영업이익 19.80억원(전년대비 -37.21%), 순이익 19.96억원(전년대비 -27.89%).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