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2.05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2-05 15:13
조회수 :
225

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강세 테마: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인터넷 대표주,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화이자(PFIZER), 3D 낸드(NAND), 탈모 치료, 2차전지(생산), 유리 기판, NFT(대체불가토큰), 의료AI, 밥솥, 리튬, 2차전지(전고체), 홈쇼핑, 전자결제(전자화폐), 딥페이크(deepfake), 화학섬유,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3D 프린터, 온디바이스 AI,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석유화학, 반도체 대표주(생산) 등...


약세 테마: 조선, 조선기자재, 피팅(관이음쇠)/밸브, 전선,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국내 상장 중국기업, 희귀금속(희토류 등), 원자력발전, 카지노, 강관업체(Steel pipe), 전력설비, 건설기계, CCTV&DVR,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백화점, 제지, LNG(액화천연가스), 증권, 핵융합에너지, 철강 주요종목, 생명보험, 손해보험, 남-북-러 가스관사업,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면세점, 폐기물처리 등...

 

 

 

<특징 테마>    

AI 관련주: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금일 언론에 따르면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가 다시 네이버 의장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네이버 이사회가 이해진 창업자의 사내 이사 복귀 안건을 오는 3월 열리는 주주총회에 올릴 것을 계획하고 있으며 현재 글로벌투자책임자(GIO)인 이해진 창업자는 주주총회에서 사내 이사로 선임되면 다시 이사회 의장 자리를 꿰찰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해진 창업자가 이사회에서 나온지 7년 만에 다시 복귀를 결심한 이유로는 '네이버의 인공지능(AI)' 서비스의 본격 개발 및 글로벌 진출 활용 때문으로 오는 3월 연임이 확실시되는 최수연 대표와 함께 네이버의 AI 미래 사업을 과감하게 추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아울러 전일 언론에 따르면, 카카오가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올 상반기 출시 예정인 '카나나'를 비롯한 다양한 AI 서비스에 오픈AI 기술을 적용할 것이라는 소식도 전해짐. 전일 간담회에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카카오의 AI 미래 비전을 설명했고,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참석해 양사의 협력 방향성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짐. 또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전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회동을 갖고 인공지능(AI) 협력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샘 올트먼이 의료용 챗GPT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짐. 올트먼 CEO는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Builder Lab)에 참석해 "우리는 의료 그룹이 모든 오픈AI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기 때문에 기업용 제품에 대해 HIPAA(미국 건강 보험 관련법) 규정을 준수하는 과정에 있다"며 "의학 분야에서 과학적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많은 생명을 구하고 좋은 일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솔트룩스, 바이브컴퍼니, 이스트소프트, 코난테크놀로지, 카카오, 클로봇, 피앤에스미캐닉스, 제이엘케이, 뷰노 등 AI 챗봇(챗GPT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의료AI 테마 등 AI 관련주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1.05%) 지수 상승 및 이재용·최태원 회장 올트먼 오픈AI CEO 회동 소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美/中 무역전쟁 우려에도 트럼프·시진핑 협상 기대감 등에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강세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1.78(+1.05%) 상승한 4,976.59를 기록. 엔비디아(+1.71%), AMD(+4.58%), TSMC(+2.1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0.82%) 등이 상승.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엔비디아에 대해 딥시크의 부상 등에 따른 경쟁 심화와 글로벌 무역 전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향해 순항할 것으로 전망.

▷삼성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주가 회복을 예상한다며, 이번 Tech 투자는 AI 키워드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 중요한데 DeepSeek이 HBM 수요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고 여전히 메모리 대역폭 부족은 해결되지 않았다고 밝힘. ASIC의 HBM 탑재량 증가도 기대되며, 삼성전자의 경우 주가 5만원 바닥의 믿음은 더욱 공고해지고 있어, 낮은 시장 기대감이 오히려 투자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전망. 또한, SK하이닉스의 높은 주가 변동성은 낙폭이 심한 지금 저점 매수의 기회를 준다며, SK하이닉스의 올해 호실적에 대한 의심은 없다고 설명.

▷전일 오픈AI 창업자 샘 올트먼 CEO(최고경영자)가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과 SK그룹 최태원 회장을 만나 반도체와 AI(인공지능) 협력을 논의했음. 이재용 회장은 샘 올트먼 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3자 회동을 가졌으며, 인프라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 합작 등 삼성전자와도 포괄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알려지고 있음. 최태원 회장과 올트먼 CEO는 SK하이닉스의 HBM(고대역폭 메모리)를 포함한 반도체 분야와 AI 비서 서비스 협력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음.

▷한편,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2024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2023년 대비 18.1% 증가해 총 6,260억달러를 기록했다는 예비조사 결과를 이날 발표했음. 2025년 반도체 매출은 총 7,0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이번 조사에서 삼성전자는 2024년 총 665억달러의 매출과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10.6%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하면서 2023년 1위였던 인텔을 제치고 2년 만에 1위 자리를 탈환.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DB하이텍,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피에스케이홀딩스, HPSP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1월 글로벌 신조선 발주 감소 여파에 하락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1월 글로벌 신조선 발주는 총 51척으로 전년동월 287척 대비 82.2% 감소했다며, CGT 기준으로는 전년동월대비 73.9% 감소한 146만 CGT를 기록했다고 밝힘. 선종별로는 Bulker 97.2%, Tanker 89.0%, LNG선 48.8%, Container선 8.6% 감소했으며, LPG선은 발주가 없었다고 언급. 국가별로는 (CGT 기준) 한국 -31.9%, 중국 -92.0%를 기록했으며, 일본은 수주가 없었다고 밝힘.

▷한편, 한국 조선사들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1월 23.8%에서 올해 1월 62.1%로 상승(CGT기준)했다며, 이는 한국이 올해 1월 발주된 18,000TEU급 Container선 12척을 모두 수주했기 때문(클락슨 기준)이라고 밝힘. 다만, 한달치 수주로 M/S를 분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설명.

▷이에 금일 HJ중공업,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삼영이엔씨, 태광, 성광벤드, 동성화인텍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하락.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해성디에스(195870): 수익성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재고자산 평가손실(30억원)로 쇼크였으나, 연결 매출은 FlatYoY를 기록하면서 감소세가 일단락되었으며, 고수익성의 차량용 반도체기판 매출이 견조했다고 밝힘. 이어 패키지 기판(DDR5)의 마지막 품질테스트가 진행중으로 2분기, 3분기로 가면서 매출 및 수익성 회복세는 빨라질 것으로 전망. 특히, 필리핀 법인의 흑자전환은 2026년을 예상한다고 밝힘.
▷한편, 지연된 전방 수요 회복으로 신공장 가동에 따른 비용 부담을 반영하여 수익 추정치를 하향하지만, 2024년 말 Top Management 교체 이후 재고자산 평가 손실을 반영하면서 실적의 최악은 지나갔으며, 1분기 말 패키지 기판 납품 시기 임박을 반영하여 투자의견을 상향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HOLD -> BUY[상향], 목표주가 : 40,000원 -> 33,000원[하향]

 

우신시스템(017370): 1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2-05~2025-08-04, 유진투자증권(EUGENE INVESTMENT & SECURITIES CO.,LTD.)) 공시.

 

크래프톤(259960): 인도 핀테크 기업 '캐시프리 페이먼츠'에 투자 단행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도 핀테크(FIN-Tech·금융과 디지털 기술의 결합) 기업 '캐시프리 페이먼츠'에 투자를 단행했다고 밝힘. 캐시프리 페이먼츠는 동사가 주도한 투자 라운드에서 총 5,300만 달러(약 776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음.
▷이와 관련 손현일 동사 인도법인 대표는 "인도의 핀테크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캐시프리 페이먼츠가 인도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할 가능성이 크다고 믿는다"며, "이번 투자는 혁신적인 결제 기술을 지원하고, 역동적인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크래프톤의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
▷한편, 2015년 설립된 캐시프리 페이먼츠는 인도 결제 시장을 선도하는 핀테크 기업으로, 기업의 결제 수납·대금 지급·대외 결제·원클릭 결제등을 지원하는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중장기 안정적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영업이익은 1조2,011억원(+8%YoY), 내년 영업이익은 1조3,213억원(+10%YoY)으로 올해부터 중장기 안정적인 성장이 시작될 것이라고 언급. 에너지 부문에서는 25년 4분기 호주 Senex 3배 증산, 26년 7월 LNG 터미널 증설, 소재부문에서는 연내 팜유 정제 공장 가동과 폴란드 구동모터코아 신공장 완공이 예정되어 있다고 설명.
▷한편,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1,446억원(-33%YoY)으로 컨센서스보다 부진했다고 언급. 이는 소재부문 수익성 회복 지연과 일회성 요인에 따른 발전사업 부진 때문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52,000원[신규]

 

사조동아원(008040): 지난해 양호한 실적에 소폭 상승
▷24년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6,781.49억원(전년대비 -0.05%), 영업이익 500.21억원(전년대비 +29.46%), 순이익 239.74억원(전년대비 +123.24%).

 

HD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 지난해 4분기 흑자전환에 소폭 상승
▷24년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13.78억원(전년동기대비 -1.71%), 영업이익 64.15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84.36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HD현대일렉트릭(267260): 392.78억원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에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392.78억원(자기자본대비 3.72%)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통화선도거래) 공시.
▷한편, 보통주 1주당 4,250원(시가배당율 1.04%)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2-19) 공시.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피앤에스미캐닉스(460940): 보행재활로봇 '워크봇(Walkbot)' 상용화 및 판매 진행 사실 부각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보행재활로봇 '워크봇(Walkbot)'을 개발해 상용화에 나서 판매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워크봇은 세계 최초 유일의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 3-Joint 훈련을 통해 뇌졸중, 척수손상, 파킨슨병에 의한 보행장애, 다발성 근경화증, 소아마비 등의 신경학적 손상이나 근골격계 질환에 의해 보행능력을 상실한 환자들에게 개인별로 최적화된 인간형 걸음동작과 다양한 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
▷동사 측은 "전세계적으로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의 재활훈련을 함께 제공하는 보행훈련로봇시스템은 워크봇이 유일하다"며, "족관절 구동 시스템에 의해 로봇 보행훈련시 올바른 땅짚기 훈련이 가능함으로써 지면반발력 효과(자연스러운 중력의 변화와 체중의 무게중심의 이동)를 향상시키고, 저하된 환자의 배측굴곡과 저측굴곡으로 이루어진 발목운동을 개선하여 인간의 정상보행과 유사한 올바른 보행훈련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한다"고 설명.
▷아울러 동사는 시장의 수요에 발맞춰 상지재활로봇인 ‘QoL(Quality of Life)’을 출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2등급(개인용) QoL의 경우 사용성 평가와 식약처 허가를 2025년 완료하고 해당 제품을 출시할 계획. 3등급 제품에 대해서는 허가임상시험 완료 후 KFDA와 CE, GOST-R FDA 인증을 진행한 뒤에 2026년에 시판할 계획임.

 

APS(054620):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급등
▷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2-06~2025-08-06, 대신증권(DAISHIN SECURITIES CO.,LTD.)) 공시.

 

코어라인소프트(384470): AI 기술 기반 글로벌 원격진단 시장 공략 가속화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세계 1위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원격진단 시장 공략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힘. 동사는 글로벌 기업과 협력해 원격진단 시장에 진출한 후 최근 미국 의료정보보호법(HIPPA), 유럽 개인정보보호규정(GDPR) 등 국제 인증 획득을 마쳤으며, 보유 레퍼런스 및 해외 인증을 바탕으로 AI SW 추가 공급을 통해 실적 성장에 나설 방침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영국 등 선진국들은 의료 인력과 시설 부족 문제로 원격진단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국내와 달리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며, "해외에서 AI SW에 대한 도입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 CE 인증 등 글로벌 시장 대부분을 커버하는 AI SW 허가 및 원격진단 분야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시장 공략을 확대할 것"이라고 언급. 이어 "특히 최근 동사의 주력 AI 제품이 성능 벤치마크에서 세계 1위 기업 지멘스의 최상급 진단 솔루션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였기 때문에 정부주도 사업과 함께 원격진단 기업향 공급도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매출 기여도가 높은 원격진단 시장 진출 강화를 통해 AI SW 기반 실적 성장을 극대화하겠다"고 밝힘.

 

우리산업(215360): 테슬라 로보택시 등 새 모델에 부품 공급 관련 입찰 준비 완료 소식 등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테슬라의 전 차종 모든 모델 공급에 이어 새 모델에도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입찰 준비를 마쳤다고 전해짐. 현재 테슬라 모델3와 모델S, 모델Y, 모델X, 사이버트럭 등 모든 차종에 HVAC 액추에이터를 공급 중이며, 새 모델이 개발되면 1차 협력사를 통해 입찰할 준비가 갖춰진 상태라고 전해짐.
▷이어 테슬라가 내년부터 본격 양산하겠다고 선언한 로보택시에도 공급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올해부터 미국 조지아주 공장 본격 가동으로 관세 장벽을 넘을 시스템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동사 최대주주인 우리산업홀딩스도 상승세를 기록.

 

라메디텍(462510): '케어빔' 日 제조·판매 인허가 획득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피부질환 치료용 엑시머 광조사기 ‘케어빔’(CAREVEAM)’에 대해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로부터 현지시장에 대한 제조 및 판매 인증서를 획득했다고 밝힘. 케어빔은 백반이나 건선 등 자가면역이상질환 및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308nm UVB 파장 기반 피부질환 치료 의료기기로 성능 및 가격도 경쟁 제품보다 우위에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일본 내 인허가 완료를 시작으로 제품의 판매가 본격화되면 외형 성장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라며 “이미 일본 내 1,000개 이상의 병원에 대한 유통 네크워크가 있는 현지 사업 파트너(GENZE MEDICAL LIMITED)와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

 

뷰노(338220):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달성 등에 상승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8.69억원(전년대비 +94.86%), 영업손실 124.26억원(전년대비 적자폭축소), 순손실 129.94억원(전년대비 적자폭축소). 특히, 매출액은 창립 이래 최대 실적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주력 제품인 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VUNO Med-DeepCARS(DeepCARS)가 의정갈등 등 불안정한 환경 속에서도 필수 의료로 자리 잡으며 총 매출을 견인했다"며, "DeepCARS는 현재 국내 18개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해 110여개 병원에 도입돼 약 4만5,000 병상에서 운영 중"이라고 밝힘.

 

앱코(129890): 지난해 호실적에 상승
▷24년 개별기준 매출액 933.68억원(전년대비 -5.63%), 영업이익 48.19억원(전년대비 +123.63%), 순이익 47.02억원(전년대비 +160.03%).

 

뉴로메카(348340): 협동로봇 인디(Indy)에 AI 기반 '모방학습·충돌회피' 기능 탑재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의 대표 협동로봇 모델 인디(Indy)에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모방학습에 이어 AI 기반 충돌회피 기능을 성공적으로 탑재했다고 밝힘. 최근 주목받는 휴머노이드 기술에 적용할 수 있는 자율성과 안전성을 한층 강화하며, 차세대 휴머노이드 발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현재 다양한 연구 과제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AI 기반 충돌회피 및 모방학습 기술은 차세대 휴머노이드의 자율성과 작업 능력을 한층 향상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힘.

 

휴림로봇(090710): 中 오마크와 MOU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율이동로봇(AMR)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파트너사인 이큐셀과 함께 중국 오마크사와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은 스마트 팩토리 구현에 AMR 기술을 활용해 물류·생산 공정의 효율성 증대하는 사업을 확대할 목적으로 진행됐으며, 이번 협약에 따라 오마크는 AMR 제품의 공급과 품질관리, 기술 지원을 담당하고, 동사는 오마크 제품에 대한 기술적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 고객 요구에 맞춘 맞춤형 개발을 담당할 예정.
▷이와 관련, 김봉관 대표이사는 “오마크, 이큐셀과의 협력은 단순한 물품 공급을 넘어 고객 맞춤형 AMR 솔루션 개발을 위한 중요한 시작점”이라며 “스마트 제조 및 물류 공정의 혁신을 통해 원가 절감과 생산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힘.

 

카페24(042000): 유튜브쇼핑 기대감 유효 분석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유튜브쇼핑에 대한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언급. 인앱결제가 구현되지는 않았지만, 셀러/크리에이터가 유튜브쇼핑을 쓰고 싶게 만드는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고 설명. 동사는 셀러(광고주)와 크리에이터(광고 채널)가 서로를 쉽게 찾을 수 있는 플랫폼을 오픈했으며 크리에이터는 제품을 홍보하고 판매금액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수취, 셀러는 수백만 유튜브 구독자들에게 상품을 노출할 수 있게 됐다고 언급.
▷아울러 4Q24 영업이익은 90억원(전년대비 +127%)으로 컨센서스 89억원에 부합할 것이라고 언급. 이커머스 시장(+1.4%)은 소비경기 둔화로 부진했으나 동사는 거래액 성장 추세가 견조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설명.

 

제이브이엠(054950): 국내 실적 회복 및 해외 시장 성장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국내 실적 회복과 해외 시장 성장을 기반으로 다시 성장 기조로 들어설 것으로 전망. 특히, 국내 시장에서 미드 싱글 이상의 실적 회복세만 나타나면 수출 성장세가 꾸준히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10% 대의 성장은 무난히 달성 할 수 있는 것이 동사의 구조이며, 중국 지역의 의약분업 시범사업에 대한 수혜, 북미지역 매출이 바이알 신규 제품을 통해 패키지 판매까지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성장세가 탄력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
▷이에 2025년 실적은 매출액 1,762억원(YoY +11.3%), 영업이익 370억원(YoY +21.0%)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RF시스템즈(474610): LIG넥스원과 총 88.56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LIG넥스원과 58.5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7.9%) 규모 공급계약(천궁-II(SA-MSAM) 1차 안테나 조립체) 체결(계약기간:2025-02-04~2031-02-21) 및 30.0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2%) 규모 공급계약(P11E 양산사업 구동기부품) 체결(계약기간:2025-02-05~2025-09-18) 공시.

 

메디톡스(086900): 프랑스 IMCAS서 신규 톡신 제제 라인업 공개 소식 속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파리에서 열린 국제미용성형학회(IMCAS)에서 새롭게 개발 중인 톡신 제제 라인업을 최초로 공개하며, 미국, 유럽 등 글로벌 공략을 위한 향후 비전을 제시했다고 밝힘. 동사는 IMCAS 마지막 날 진행된 보툴리눔 톡신 특별 세션에서 프리필드시린지(PFS·사전 충전 주사) 형태의 톡신 제제 'PF30'과 유전자 재조합 톡신 제제 'MT951'의 개발 현황을 공개.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최초 공개된 동사의 신규 라인업 ‘PF30’과 ‘MT951’은 기존 제품들과는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고 있어 향후 톡신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다수의 톡신 파이프라인을 바탕으로 글로벌 공략에 한층 더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힘.

 

삼영이엔씨(065570): 공시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공시번복(전환사채권 발행결정 철회)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공시.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