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2.10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2-10 15:19
조회수 :
219

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강세 테마: 유리 기판, 2차전지(전고체), 3D 프린터,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CCTV&DVR, 반도체 대표주(생산), 아이폰, AI 챗봇(챗GPT 등), mRNA(메신저 리보핵산), 2차전지(장비), 보안주(물리), 음성인식,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제대혈, 반도체 재료/부품, 모더나(MODERNA), 폴더블폰, 줄기세포, 미용기기, 시스템반도체, 비만치료제 등...

 

약세 테마: 철강 주요종목, 슈퍼박테리아, 화학섬유, 자동차 대표주, 낙태/피임, 조선기자재, 피팅(관이음쇠)/밸브, 항공기부품, 모듈러주택, 편의점, 구충제(펜벤다졸, 이버멕틴 등), 전선,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폐기물처리, 초전도체,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건설 중소형,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야놀자(Yanolja), 리츠(REITs), 희귀금속(희토류 등), 전력설비, 농업, 화장품, 증권 등...

 

 

 

<특징 테마>  

2차전지(전고체): 현대차그룹, 전고체 라인 3월 본격 가동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이 배터리 내재화 전략의 핵심인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다음달 본격 가동할 것으로 전해짐. 전고체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으면서 화재 위험이 적어 '꿈의 배터리'라고 불리는 기술임. 현대차는 경기 의왕 연구소에 구축한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 개소식을 3월 개최할 예정으로 이 연구동 안에는 전고체 배터리를 시험 생산할 수 있는 파일럿 라인이 구축된 것으로 전해짐. 파일럿 라인이 가동되면 현대차는 이곳에서 생산되는 시제품을 자사 전기차에 탑재해 성능과 양산성을 테스트할 전망이며, 업계에서는 연내 전고체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 시제품이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아울러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언론을 통해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팀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과 산·학·연 협력 연구를 통해 전고체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품질을 높이면서 생산시간도 기존 14시간에서 4시간으로 대폭 단축한 '업그레이드형 공침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하윤철 KERI 박사는 "기존 성과는 고체전해질 제조 방식에 공침 기술을 세계 최초로 도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었다면, 이번 업그레이드형은 공침법 원리를 상세하게 분석해 최적화를 실현하고, 더 좋은 결과물도 만들어낸 획기적 성과"라며, "전고체전지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시대를 활짝 여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유일에너테크, 레이크머티리얼즈, 이수스페셜티케미컬, 한농화성, 대주전자재료 등 2차전지(전고체) 테마가 상승.

 


아이폰: 폴더블 아이폰 초기 물량 약 800만대 추정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대만 매체 UDN이 Wccf테크(Wccftech)를 인용한 보고서를 토대로 애플이 내년 가을 첫번째 폴더블 아이폰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전해짐. 초기 출하량은 800만~1000만대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알려짐. 특히, 보고서는 애플이 2027년까지 출하량을 2,000만대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언급.

▷폴더블 아이폰은 갤럭시 Z 폴드 시리즈와 유사한 책 스타일 디자인으로 접었을 때 두께가 9.2mm, 펼쳤을 때 4.6mm로 왼쪽 접이식 디자인을 채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하이비젼시스템, 덕산네오룩스, 비에이치, 이녹스첨단소재, 덕우전자, 와이엠티, LX세미콘 등 아이폰 테마가 상승.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AI시대 MLCC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서비스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반도체 시장뿐만 아니라 ‘전자산업의 쌀’로도 불리는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또한 올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는 IT업계가 AI 기능을 탑재한 전자기기를 앞다퉈 출시하는 가운데, 빅테크 기업들도 AI 인프라 투자를 늘리면서 MLCC 신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세계 MLCC 1위 기업인 일본 무라타는 최근 AI 서버 관련 MLCC 수요가 전년보다 2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음. 나카지마 노리오 무라타 사장은 “AI 서버에 사용되는 MLCC 수가 기존 서버보다 8배에 달해 AI 붐에 따른 관련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무라타가 글로벌 점유율 40%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기가 23% 수준으로 2위를 달리고 있으며, 특히, AI 서버용 MLCC는 무라타와 함께 삼성전기가 과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AI(인공지능) 시장 팽칭으로 AI 기능을 탑재한 PC, 스마트폰이 늘어나면서 특히 고용량 MLCC가 수혜를 누리고 있으며, AI PC만 하더라도 탑재되는 MLCC 수가 일반 PC보다 약 1.5~2배 더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SK증권은 삼성전기에 대해 IT 수요 부진에도 AI 가속기와 자율주행 및 차량 전동화 트렌드로 신규 수요가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 향후 AI 서버와 자율주행에서의 MLCC 채용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나 대응 가능한 초소형 및 고용량 MLCC를 생산하는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다고 분석. 삼성전기 1분기 영업이익은 1,901억원(+4%,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MLCC가 반등한다며, 1분기 출하량은 전분기대비 8% 증가, 가격은 플랫으로 가정했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삼화콘덴서, 삼성전기, 대주전자재료 등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테마가 상승.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에쓰씨엔지니어링(023960): 지난해 실적 호조에 강세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98.78억원(전년대비 +32.28%), 영업이익 65.62억원(전년대비 +567.71%), 순이익 33.02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동사는 설계·조달·시공(EPC) 사업과 헬스케어 사업, 그리고 자회사 셀론텍의 바이오 사업 동반 호조로 2024년 외형과 이익 모두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힘.

 

경동나비엔(009450): 하반기 북미 HVAC 시장 사업자 등극 및 3월 ‘나비엔매직’ 브랜드 개시 등에 강세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반기 북미 HVAC 시장 사업자로 등극할 것이라고 언급. 23년 11월 출시한 하이드로 퍼니스는 콘덴싱 온수기 만큼 성장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북미 온수기, 퍼니스 업체 중 하이드로 형태의 기술을 보유한 회사는 전무하다고 언급. 판매 단가는 현지 콘덴싱 퍼니스 가격과 유사한 반면, 하이드로 형태이므로 사용성 개선 및 난방 통제 기술을 보유해 채택률 증가가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3월 ‘나비엔매직’ 브랜드를 개시하는 가운데, 신규 착공 시 보일러와 함께 패키지 형태로 납품이 가능하며 인수전 매출액 1,300억원에서 장기 관점으로 국내 보일러 사업 규모(약 4,000억원)까지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0,000원[유지]

 

시프트업(462870):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실적은 매출액 3,049억원(+39.7% y-y), 영업이익 2,212억원(+49.5% y-y)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니케 중국은 초기 앱스토어 매출 순위 15위로 가정하였고, 안정화를 감안하여 연간 매출액 705억원(일평균 9.3억원)으로 추정한다고 언급.
▷동사의 대표 IP인 ‘승리의 여신:니케’는 2022년 11월 출시 이후 꾸준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고 언급. 서브컬처 장르의 본국인 일본에서 의미있는 매출 순위를 이어나가고 있으며, 그 외 미국, 한국, 동남아 지역에서도 매출이 발생 중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5,000원[유지]

 

KCC(002380): 사상 최대 실적 시현 속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4년 영업이익은 4,711억원(YoY +51%)으로 2022년 이후 2년 만에 사상 최대치를 재차 경신했다며, 도료 영업이익이 2,194억원(YoY +25%)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실리콘의 회복(2023년 -833억원 → 2024년 +732억원)까지 더해졌다고 분석. 특히, 도료 매출액은 YoY +17% 증가했다며, 이는 중국/인도/인니/베트남 등 해외법인의 판매량이 약 YoY +50% 내외로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 도료 호조 속 실리콘 실적 개선 흐름은 2025년에도 지속되며 영업이익 5,144억원(YoY +9%)의 사상 최대치 경신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2024~25년 사상 최대치 실적과 실리콘의 턴어라운드, 연중 보유자산 활용을 통한 차입금 감축 가능성 등의 긍정적 모멘텀에도 불구하고 현 주가는 PBR 0.39배로 역사적 하단 수준이며 절대 저평가 상태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50,000원[유지]

 

메타케어(118000):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지난 7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02.02억원(전년대비 +17.06%), 영업이익 14.55억원(전년대비 +52.28%), 순이익 90.03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핵심 사업 중심의 구조개편을 통해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되었다"라며 "의약품 및 의료소모품 공급 사업 매출도 큰 폭으로 성장했다"라고 밝힘.

 

현대오토에버(307950): 그룹사 SDV 전략 수혜 전망 등에 소폭 상승
▷DB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최근 현대차그룹은 25년 해외공장에 로봇 투입 등의 디지털 전환, 26년 SDV Pace Car 출시 등 미래차 사업을 실현해나가는 중인 가운데, 동사도 그룹사의 SDV 전략 수혜를 받으며, 27년 매출액 5조원 목표 제시를 고려하면 중장기적으로도 주가 상승 여력이 높다고 판단된다고 밝힘.
▷동사의 25년 가이던스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지만, 24년 매출성장률 +21%보다는 소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10,000원[유지]

 

F&F(383220): 지난해 4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및 올해 해외 부문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465억원(yoy -6%), 1,204억원(yoy -16%)을 기록하며 낮아진 컨센서스에 대체로 부합했다고 언급.
▷아울러 2025년에는 성장 한계가 보이는 내수 시장 보다 해외 확장에 집중해야된다고 밝힘. 중국 경기 부양책 기대감, 해외 확장 계획 등이 주가를 견인할 것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2,000원[유지]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하나머티리얼즈(166090): 영업 환경 개선 전망 등에 급등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상반기 이후 영업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 동사에 있어 삼성전자의 V7-V8 구간은 보릿고개였지만, V9부터는 영업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추정. 주력 장비 고객사의 점유율이 V9부터 확대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고, V10에서 고성장이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분석.
▷한편, 단기 이익 전망 하향분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36,000원(2025년 Target P/E 19배 적용)으로 하향하나, 매수 의견을 유지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7,000원 -> 36,000원[하향]

 

씨앤지하이테크(264660): 유리기판 1:10 관통홀 내벽에 구리 박막 형성 성공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차세대 유리기판(Glass PCB)에서 복잡한 형상의 관통홀(TGV) 내벽에 신규 물리적 박막 증착(PVD) 기술을 적용해 구리 박막 형성에 성공했다고 밝힘. 이번 연구 성과는 유리 기판의 관통홀 종횡비(홀의 직경: 깊이) 1: 10까지 내벽에 균일한구리 박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업계의 주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끊임없는 응용 신제품 개발과 국제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통해 국내외 차세대 유리기판 소재 산업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기술 집약적인 업계 선두주자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보로노이(310210): 미국암학회서 VRN11 임상 초기 데이터 발표 예정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개발 중인 EGFR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 VRN11의 임상 시험 초기 데이터를 미국암학회(AACR 2025)에서 발표한다고 밝힘. 미국암학회 연례 학술대회는 현지시간으로 4월 25~30일까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개최될 예정임.
▷VRN11은 동사가 자체 개발 중인 4세대 EGFR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임. EGFR Del19, L858R, C797S, 비정형 돌연변이 또는 이들의 복합 돌연변이에 대해 기존 약물 대비 우월한 약효를 보유하고 있으며, 기존 TKI를 포함한 가용한 표준요법에 불응 혹은진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과 대만에서 2024년 3월부터 임상 1a 용량증량 시험을 진행하고 있음.

 

재영솔루텍(049630): 갤럭시S25 시리즈 역대 최다 사전판매 속 액추에이터 탑재 부각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삼성전자의 갤럭시S25 전 시리즈에 자사 액추에이터가 탑재됐다고 밝힘. S25(기본형), S25+(플러스), S25 울트라 등 모든 기종에 들어가는 만큼, S25 시리즈 판매 호조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고 있음.
▷동사 관계자는 "소비자의 스마트폰 카메라 고성능화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자사 액추에이터 수요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며, "플래그십 모델의 엔코더와 중저가 모델 광학식 보정장치(OIS) 납품 물량 확대에 기반을 둔 본격적인 실적 성장 국면에 진입했다"고 밝힘.
▷한편, 지난달 24일 시작한 갤럭시S25 시리즈 국내 사전 판매 수량은 지난 4일 기준 130만대로 집계됐으며, 역대 갤럭시 S 시리즈 사전 판매로는 국내 최다 기록인 것으로 전해짐.

 

에코앤드림(101360): 지난해 흑자전환에 강세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49.01억원(전년대비 +103.86%), 영업이익 4.98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37.88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비씨엔씨(146320): 美 고객사로부터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부품 첫 구매주문서 수주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북미 글로벌 반도체 기업으로부터 폴리실리콘 소재(SD9+P)의 포커스링 첫번째 품목에 대한 퀄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첫 PO(구매주문서)를 받았다고 밝힘. 이번 PO 수령으로 동사는 자체 개발·양산한 실리콘 소재로 부품을 생산해 1분기부터 해외 고객사에 본격적으로 양산 공급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김돈한 대표이사는 "전세계적으로 성장 중인 반도체 실리콘 시장에서의 경쟁력은 품질과 더불어 소재부터 제품 생산까지 수직계열화에 달려 있는데, 동사는 이를 달성함으로써 해외 대형 반도체 업체에 실리콘 부품을 양산 공급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힘.

 

이노스페이스(462350): 올해 매출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예상 매출액은 415억원(YoY +20,650%), 영업적자는 55억원(YoY 적자축소)을 기록할 것이라고 언급. 탑라인 성장의 주 요인은 2025년 1월 기준, 약 227억원의 수주잔고 보유, 총 5회 로켓 발사 예정, 매출 인식 확대로 가파른 매출 성장 구간 진입이라고 설명. 또한 빠르면 올해 하반기 UAE 우주항공청과 발사 인프라 관련 계약 구체화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아울러 4Q24 실적은 적자가 불가피 할 것으로 예상되나 상장 이후 주가에 상당 부분 반영되었다고 판단하며, 올해 본격적인 성장 구간에 진입함을 고려하면 실적 확인 후 매수 대응은 유효할 것이라고 언급.

 

신테카바이오(226330): 신생항원 예측 플랫폼 NEO-ARS 개발 및 본격 가동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유전체 분석 기술과 AI 3차원 구조 시뮬레이션 기술을 접목해 신생항원을 예측하는 NEO-ARS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밝힘. 해당 플랫폼은 기존 저분자화합물을 중심으로 원자 수준의 결합 여부와 결합 에너지 및 안정성을 예측하는 원리를 적용했으며, 이를 통해 조직적합성 항원(HLA)과 돌연변이 펩타이드를 분석, 항암 면역세포의 핵심인 T세포 반응을 유발할 종양의 특이적 신생항원인 에피토프 예측 기술을 개발했음.
▷회사 측은 NEO-ARS 플랫폼을 통해 향후 개인맞춤형 신생항원 개발과 공유 신항원 라이브러리 구축을 계획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외 다수의 업체와의 긴밀하게 협업중이라고 설명.

 

리노공업(058470): 양산용 소켓 수요 부진 Risk가 해소 국면 진입 분석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그간 Top Line 성장을 제약해온 양산용 소켓 수요 부진 Risk가 해소 국면에 진입했다고 밝힘. 아울러 R&D용 소켓 수요가 견조한 만큼 2025년에도 40% 중반의 이익률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동사는 2026년 11월 부산 신공장 이전을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미래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증설로 Design Capa 기준 매출액 9,500억원까지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20,000원 -> 280,000원[상향]

 

이스트소프트(047560): AI 검색 엔진 서비스 '앨런' 내 딥시크 추론 특화 모델 R1 적용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AI 검색 엔진 서비스 앨런에 딥시크 추론 특화 모델 R1을 적용했다고 밝힘. 이는 국내 AI 검색 서비스 중 최초로 알려짐. 앨런은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확하고 다양한 검색 결과를 정리해 빠르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언어 에이전트’를 표방하며 작년 12월 출시했으며, 특히 서비스의 기초가 되는 언어 모델 성능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이기 때문에 앨런은 출시 초기부터 멀티 LLM 서비스를 지향해 온 바 있음. 이번 R1 적용 역시 그 일환으로 진행됐음.
▷앨런이 제공하는 R1은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중국 딥시크와 완벽히 분리되어 독립된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정보 왜곡 및 중국으로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정보 유출 문제없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R1의 추론 기능을 활용하게 될 예정.
▷정상원 대표는 "앨런에게 글로벌 LLM 기술 경쟁은 서비스 품질 향상과 비용 효율화를 동시에 달성할 기회가 되고 있다"며, "앨런은 AI 검색 엔진 서비스로써 가장 빠르게 글로벌 AI 기술을 접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힘.

 

메드팩토(235980): 美 스탠포드대 등과 '백토서팁' 골육종 공동 임상 추진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스탠포드대 및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병원 등과 공동으로 현지에서 소아 골육종 대상 연구자 임상시험 제2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힘. 동사는 현지시간으로 5~7일 미국 로스엔젤레스(LA)에서 열린 소아종양학 학회 'POETIC Winter Meeting'에 참가해 TGF-β(베타) 억제 항암제 '백토서팁'의 골육종 임상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이번 행사에서 동사는 이미 백토서팁의 전임상 및 임상 1상을 통해 안전성과 함께 골육종 암세포 성장 및 폐 전이 억제 가능성을 확인했고, 2상을 통해 이를 검증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우정원 사장은 "한국 기업으로 유일하게 이번 학회에 초청돼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에 대한 북미권의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며 "미국 최고 권위 대학병원들과 공동 임상을 실시하게 돼 기대감이 크다"고 밝힘.

 

팅크웨어(084730): 감경사유로 불성실공시법인 미지정에 소폭 상승
▷지난 7일 장 마감 후 감경사유로 불성실공시법인 미지정 공시.

 

엘컴텍(037950): 지난해 실적 호조에 소폭 상승
▷지난 7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73.84억원(전년대비 +1.32%), 영업이익 35.55억원(전년대비 +67.23%), 순이익 47.36억원(전년대비 +114.92%).

 

네오크레마(311390): 지난해 영업이익 적자전환 속 소폭 하락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03.41억원(전년대비 +62.23%), 영업손실 1.32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이익 29.18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케어젠(214370):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및 순이익 부진 등에 약세
▷24년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13.58억원(전년동기대비 +22.46%), 영업이익 81.94억원(전년동기대비 -20.76%), 순이익 64.66억원(전년동기대비 -24.32%).
▷한편, 보통주 1주당 400원(시가배당율 1.4%)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