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2.25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2-25 15:40
- 조회수 :
- 650
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강세 테마: 조선, 조선기자재, 캐릭터상품, 반도체 재료/부품, 마이크로 LED, 낙태/피임, LNG(액화천연가스), 면세점, 엔터테인먼트, 생명보험, 셰일가스(Shale Gas), 음원/음반, 모바일게임(스마트폰), 마리화나(대마), 피팅(관이음쇠)/밸브, 영상콘텐츠, 건설 대표주, 게임, 해운, 양자암호/양자컴퓨팅, 카지노, 탈모 치료, 출산장려정책, 도시가스, 밥솥, 웹툰, 자전거, 패션/의류, 백화점 등...
약세 테마: 리튬, 2차전지(생산), 2차전지(전고체), 탄소나노튜브(CNT), 2차전지(소재/부품), 폐배터리, 줄기세포,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정유, IT 대표주, 뉴로모픽 반도체, 석유화학,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타이어, 화학섬유, 2차전지(장비), 제대혈, LPG(액화석유가스), 증강현실(AR), 요소수, 제4이동통신, CCTV&DVR,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갤럭시 부품주,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특징 테마>
원자력발전: 한·베트남 산업장관 '원전 협력' 협의 소식 등에 상승
▷산업통상자원부는 금일 오전 서울 롯데호텔에서 안덕근 장관이 방한한 응우옌 홍 디엔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양자회담을 열고 에너지 및 통상 분야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힘. 산업부는 응우옌 장관의 이번 방한이 최근 베트남이 원전 사업 재개를 결정함에 따라 한국과 원전 협력을 논의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뤄졌다고 설명. 응우옌 장관은 자국의 최신 원전 정책 동향을 소개하면서 양국 간 원전 협력을 확대해 나가자고 제안했으며, 우리 측은 한국 원전의 우수성을 소개하면서 2017년 중단된 양국 간 국장급 원전 산업 대화체 재개를 통해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해 나가자고 제안.
▷언론에 따르면, 2016년 베트남 정부가 원전 도입을 취소하면서 무산됐던 한국의 원전 수출 계획이 다시 가동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음. 응우옌 장관의 방한은 작년 11월 베트남이 공산당 중앙회의에서 원전 건설 사업재개를 결정하면서 추진됐으며, 베트남 정부는 2017년께 안전성 문제 등으로 원전 건설 계획을 보류했으나, 최근 에너지안보와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원전 도입을 다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성광벤드, 태웅, 한국전력, DL이앤씨, 삼영엠텍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中 소비 관련주 등: 내달 중국 정부 산하 문화사절단 한국 방문 예정 소식 속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내달 중국 정부 산하 문화사절단이 한국을 방문할 예정. 주중한국대사관 관계자는 전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다음달 중국 정부 산하 APEC 문화 교류 관련 조직이 한국에 문화사절단을 보낸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방문 기관은 민간 문화 관련 조직"이라고 밝힘.
▷중국 정부 차원에서 올 상반기 내 한한령(한류 콘텐츠 금지령) 해제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업계에선 다음달 이후 한·중 간 문화 교류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 중국 정부는 드라마, 영화, 게임, K팝 공연 등 한국 콘텐츠의 중국 내 유통을 막아 온 한한령을 해제할 계획으로, 이는 한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2017년 한한령을 내린 지 8년 만임.
▷이 같은 소식 속 토니모리, 코스맥스, 한국화장품제조, 삐아, 마녀공장 등 화장품, 윙스풋, 영원무역, 블랙야크아이앤씨, 메타랩스 등 패션/의류, 파라다이스, 롯데관광개발, HDC, JTC 등 카지노/면세점, SAMG엔터, 스튜디오미르, 캐리소프트, 콘텐트리중앙, CJ ENM, 와이랩 등 영상콘텐츠/영화/웹툰 테마가 상승. 또한, JYP Ent.,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하이브, 에스엠, NHN벅스, YG PLUS, 지니뮤직 등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및 썸에이지, 플레이위드, 드래곤플라이, 데브시스터즈, 네오위즈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가 상승.
은행/ 손해보험: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결정 등에 하락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올해 두 번째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연 2.75%로 0.25%포인트(p) 인하했음. 원/달러 환율 부담에도 금통위가 다시 금리 인하로 통화 완화에 나선 것은 그만큼 한국 경제가 국내외 악재 속에 빠르게 추락 중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 본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추가 금리 인하 여력에 대해 “언론 등을 통해 보면 2월 인하를 포함해 올해 2~3회 정도 금리를 낮추는 것이 시장의 다수 의견인 것 같다”며, “이는 저희(금통위)가 가정하고 있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밝힘.
▷한편, 한국은행은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1월에 예상했던 1.9%에서 0.4%p 낮춘 1.5%로 하향 조정했음. 이는 지난달 미리 조정을 예고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 1.6~1.7%보다도 낮은 수준임. 다만, 내년 성장률 전망은 종전 예상과 같은 1.8%로 유지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신한지주, JB금융지주, 제주은행, BNK금융지주 등 은행 및 DB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 한화손해보험, 현대해상 등 손해보험 테마가 하락.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동양생명(082640): 우리금융그룹, 동사 M&A 中 당국 승인 마무리 소식 속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우리금융그룹의 동사 및 ABL생명 인수를 위한 필수 절차 중 하나였던 중국 당국의 승인이 최근 마무리된 것으로 전해짐. 중국의 금감원·금융위 등 금융당국 역할을하는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은 우리금융의 동사와 ABL생명 인수에 대한 승인 절차를 지난달께 마쳤으며, 이로써 M&A를 위한 중국 내 당국 승인 절차는 모두 끝낸 상황이라고 알려짐.
교촌에프앤비(339770): 자체 주문 앱 성장세 지속 속 강세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동사는 언론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 중심 혜택 및 다양한 앱 이벤트 진행을 통해 자체 주문 앱의 성장세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고 밝힘. 교촌치킨앱의 누적 회원 수는 지난해 4분기 기준 620만명을 기록,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는 전년(531만명) 대비 89만명(16%) 증가한 수치임.
▷특히, 2022년 3분기 333만 명에서 2023년 3분기 513만명으로 약 180만명(54%) 증가한 점을 고려할 때 2025년에도 지속적인 성장세가 예상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한국전력/한국가스공사/지역난방공사: 배당 성향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한국가스공사를 비롯해 에너지 공기업들이 지난해 호실적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세수결손’에 시달리는 정부가 올해 이들 출자기관으로부터 거둬들이는 배당수입을 늘려 잡을지 주목하고 있음. 정부는 이날 배당협의체를 개최하고 정부 출자기관들에 대한 올해 배당 여부와 규모를 논의할 예정.
▷공공기관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올해 배당 대상을 늘리거나 배당 성향을 높일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음. 이는 실적이 개선된 기관이 증가한 데다 계획보다 덜 걷힌 세수가 2023∼2024년 2년간 80조 원이 넘어설 정도로 정부 재정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으로 전해짐.
[종목]: 한국전력, 한국가스공사, 지역난방공사
현대건설/범양건영: 천안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사고 소식에 소폭 하락
▷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도림리 서울세종고속도로의 건설 현장에서 교량 연결작업 중 교각에 올려놓았던 상판이 무너져 내린 것으로 전해짐. 사고 장소는 충남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도림리와 맞닿은 곳으로, 소방당국은 다리 인근에 있던 작업자 10명이 추락해 매몰된 것으로 보고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음.
▷소방당국에 따르면, 현재까지 현장에서 작업 중이던 10명(내국인 8명, 중국 국적 2명) 중 4명이 숨졌으며, 나머지 5명은 중상, 1명이 경상으로 분류돼 인근 병원으로 옮겨진 것으로 알려짐.
▷한편, 공사 현장은 현대엔지니어링과 호반산업, 범양건영이 공동 시공 중인 구간으로, 현대엔지니어링이 지분 50%를 보유해 주관사를 맡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현대엔지니어링 최대주주인 현대건설과 시공사인 범양건영이 하락세를 기록.
[종목]: 현대건설, 범양건영
LG화학/롯데케미칼: 서산 공장 정전으로 가동 중단 소식에 소폭 하락
▷언론에 따르면, 충남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 내 LG화학과 롯데케미칼에 전기 공급이 끊기면서 공장 가동이 멈춘 것으로 전해짐. 구체적인 정전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업계는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전력망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당장 전기 공급이 재개되더라도 공장 정상화까지는 오랜 시일이 걸려 두 업체는 최소 수십억 원의 피해가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졌음.
▷이와 관련 LG화학 관계자는 "외부 전력 공급 중단으로 공장 가동 중단됐다"며, "전력 공급 중단 원인과 관련 영향, 재가동 시점은 확인 중"이라고 밝힘. 이어 "가동 중단 관련 모든 사항 면밀하게 검토하여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음. 롯데케미칼 관계자도 "정전으로 공장 가동이 중단된 상황"이라며 "원인 파악 및 복전 조치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
[종목]: LG화학, 롯데케미칼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디엔에이링크(127120): 영구자석 생산공장에 대한 제조 시설 설치 승인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일 충남 예산군청 환경과 및 관련 부서와의 협의를 통해 영구자석 생산공장에 대한 제조 시설 설치를 승인받았다고 밝힘. 동사는 현재 예산군에 소재한 연산 1,000t 규모의 영구자석 제조공장에서 올해 7월부터 네오디뮴 영구자석을 생산할 예정이며, 이번 제조 시설 설치 승인을 통해 영구자석 시생산 계획을 진행할 계획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제조 시설 설치 승인을 통해 당사의 영구자석 제조 사업준비가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며, "사업 적합성,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자체의 철저한 법적 절차를 거쳐 검증받았으며,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인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업을 예산군에서 추진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밝힘. 이어 "앞으로도 친환경으로의 대변환을 주도하고, 영구자석 재활용을 포함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제조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언급.
퓨쳐켐(220100): 전립선암 진단 방사성의약품 임상3상 환자 투여 완료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립선암 진단 방사성의약품 FC303(프로스타뷰)의 임상 3상 환자 투여를 모두 완료했다고 밝힘. FC303의 국내 임상 3상은 국내 7개 상급병원을 중심으로 환자 투여가 진행됐으며, 동사는 이를 통해 FC303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최종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고 설명. 상반기 내에 임상 3상을 완료하고 국내 품목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임상 대상자 투여 완료의 의미는 FC303의 안전성 및 내약성 평가에서 이상 반응이 없음을 확인한 것"이라며 "상반기 내 최종 임상보고서(CSR) 수령 후 국내 품목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힘.
더블유에스아이(299170): 이지메디봇(유봇), 인트로바이오파마 등 연결 자회사 성장성 부각 기대감 등에 상승
▷그로쓰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자회사 이지메디봇의 로봇 사업 U-BOT을 시작으로 B-BOT, E-BOT, C-BOT 등 뇌, 심혈관 등 수술용 로봇의 사업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이어 신규 제품 출시 시점마다 기대감이 반영될 것으로 전망.
▷또한, 자회사 인트로바이오파마의 경우 동사가 지난해 의약품 제조 사업 진출을 목적으로 지분 인수한 가운데, 인트로바이오파마의 R&D능력과 동사의 전국 400개 넘는 유통망을 활용한 시너지 기대된다고 밝힘.
로보티즈(108490): 구글, 피지컬 AI 프로젝트에 동사 기술 도입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구글은 휴머노이드 기술 중 핵심으로 꼽히는 피지컬AI를 중점적으로 개발하는 '모바일알로하 프로젝트'에서 동사의 제품을 도입한 상태라고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알로하 로봇에서 동사의 로봇팔 부품이 채택된 것이 맞다"라며, "현재 2세대 시리즈까지 적용됐고, 인간이 원하는 로봇의 단계는 피지컬 AI단계"라고 언급. 이어 "피지컬 AI는 아직 상용화되기엔 이른 시점이어서 단순 부품 공급을 넘어 협동 및 공동개발을 막 시작하는 단계"라며, "당사는 현재 글로벌적으로 협력사들과 많은 얘기가 오고 가고 있는 상황이지만 지금 구체적으로 공개하기엔 이르다"고 밝힘.
캐리소프트(317530): 생성형 AI 적용 TV애니 '꼬마캐리 탐구생활' 3월 첫 방영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동사가 제작한 TV시리즈 애니메이션 '꼬마캐리 탐구생활 ' 시즌1이 오는 3월7일 오전 11시 MBC를 통해 최초 공개된다고 밝힘. 동사는 직접 그린 일러스트 삽화에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을 뽑아내는 창작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제작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동사는 '꼬마캐리 탐구생활'의 내용을 40권의 '멀티미디어 기능 동화책'으로 제작 중이며, 올 상반기 안에 출판할 예정.
센코(347000):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58.62억원(전년대비 +5.62%), 영업이익 27.18억원(전년대비 +21.02%), 순이익 24.57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모베이스전자(012860): 지난해 호실적에 상승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689.46억원(전년대비 +3.15%), 영업이익 343.21억원(전년대비 +23.68%), 순이익 184.27억원(전년대비 +139.23%).
유바이오로직스(206650): 춘천 제2공장 완제품 제조소 GMP 승인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춘천 제2공장(V Plant)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경구용 콜레라 백신 '유비콜-에스'의 우수제조관리기준(GMP)적합판정과 이에 따른 완제품 제조소 승인를 받았다고 밝힘. 이번 제2공장의 완제 제조시설 GMP승인에 따라 2분기 중 WHO PQ 승인을 받게 되면 1·2공장의 원액 및 완제품 시설 모두 정상 가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콜레라 백신 연간 최대 생산량은 8,000만~9,000만도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와 관련, 박영신 동사 제2공장장(전무)은 "제2공장 완제품 제조소에 대한 식약처 추가 승인은 WHO PQ로 이어지는 중요한 마일스톤을 달성한 것"이라며, "2분기 WHO PQ 추가변경 승인이 되면, 콜레라 백신 공급량이 두 배 이상 확대되면서 원활하고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여 유니세프의 콜레라 백신 수급 리스크도 해소될 것이다"라고 밝힘.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