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3.04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3-04 13:35
조회수 :
243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조선,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CCTV&DVR, 항공기부품, 강관업체(Steel pipe), 희귀금속(희토류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제대혈, 해운, 조선기자재, 공작기계, 피팅(관이음쇠)/밸브, 드론(Drone), 남-북-러 가스관사업, LNG(액화천연가스),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화학섬유,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철강 주요종목, 사료, 면역항암제, 렌터카, 통신, 음식료업종, 원자력발전, 셰일가스(Shale Gas) 등...

 

약세 테마: 리튬, 2차전지(전고체), 탄소나노튜브(CNT), 일자리(취업),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밥솥, 전기차 화재 방지(배터리 열폭주 등), 2차전지(생산), 2차전지(소재/부품), NFT(대체불가토큰),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HBM(고대역폭메모리), 온디바이스 AI, 창투사, 인터넷 대표주, 딥페이크(deepfake), PCB(FPCB 등), 마리화나(대마), 반도체 재료/부품, 영화, 클라우드 컴퓨팅,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등...

 

 

 

 

 

<특징 테마>  

 조선/해운 등: 트럼프 관세 강행에 따른 관세 안전 업종 부각 등에 상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TSMC의 대미 신규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전면 관세를 예정대로 4일(현지시간)부터 부과하겠다고 밝힘.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서도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이에 따라 그동안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자유무역협정(USMCA)에 따라 대부분 물품에 대해 무관세로 무역이 이뤄졌던 북미 3국간 관세전쟁이 본격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

▷다만, 트럼프 관세 정책 강행 속 조선/해운 업계에 반사수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지난달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의 해양·물류·조선 산업 장악력을 고려, 중국 선사와 중국산 선박과 관련한 국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부과를 추진한다고 밝힘. 구체적으로 중국 선사 소속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때마다 선박당 최대 100만달러, 또는 선박의 용적물에 톤(t)당 최대 1000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침을 고려 중임.

▷한편, 지난달 27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의 '미국 해양 조선업 시장 및 정책 동향'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미국 의회는 ‘해군 준비 태세 보장법’을 발의. 미국은 현재 296척의 함대를 2054년까지 381척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이를 위해서는 30년간 매년 평균 12척씩 총 364척의 신규 함정을 건조해야 하며, 미국 정부도 신규 함정 조달을 위해 2054년까지 연평균 약 300억 달러(약 42조 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 美 해군의 신규 함정 건조 시장 확대는 한국 조선업계의 새로운 진출 목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파급효과는 대기업 조선사뿐만 아니라 협력 업체에도 혜택이 돌아가 ‘K조선 생태계’ 전반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 또한, 트럼프 에너지 부흥 정책에 따른 LNG 및 시추 선박 수주의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한화오션, HD한국조선해양, HJ중공업, 태광, 한화엔진, STX엔진 등 조선/조선기자재/LNG(액화천연가스) 및 HMM, STX그린로지스, 흥아해운 등 해운 테마가 상승. 또한, 현대글로비스, 태웅로직스 등 일부 종합 물류 테마도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美-우크라이나 회담 파행 후 유럽 연합(EU),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 및 군비 증강 논의 소식에 상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쟁 종전을 위한 협상을 밀어붙이는 가운데, 지난달 2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공개적으로 설전을 벌이면서 충돌했음.

▷미국과 우크라이나 정상회담에서 갈등이 표출된 이후 유럽연합(EU) 국가 정상들이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과 EU 군비 증강 등을 논의.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영국을 찾아 키어 스타머 총리와 회담을 가진 가운데, 스타머 총리는 우크라이나에 28억달러(약 4조1,000억원)의 추가 차관 지원에 서명. 또한, 스타머 영국 총리 주재로 열린 비공식 정상회의에서 유럽 주요국은 방위지출 확대를 골자로 하는 안보 협의체인 '의지의 연합(Coalition of the willing)'을 추진하기로 결정. 특히, 독일은 총선에서 승리한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 연합 주도로 방위, 인프라 특별기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짐. 방위기금에 약 4천억유로, 인프라 기금에 4천억~5천억유로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RF시스템즈,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한일단조, 한화, SNT다이내믹스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희귀금속(희토류 등): 트럼프 대중국 10% 추가 관세 부과 행정명령 서명 등 美-中 갈등 심화 속 상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TSMC의 대미 신규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전면 관세를 예정대로 4일(현지시간)부터 부과하겠다고 밝힘.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서도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외신에 따르면, 미국이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데 이어 10%의 관세를 추가하면 중국도 보복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해짐. 중국 정부가 연구 및 입안 중인 맞대응책에는 관세 및 비관세 조치가 모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미국산 농산물과 식품이 우선순위에 올라가 있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등에 쎄노텍, 성안머티리얼스, 유니온, 노바텍 등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가 상승.

 


음식료업종: 트럼프 대통령, 외국산 농산물 관세 부과 예정 소식 등에 상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외국산 농산물에 대한 관세를 4월2일부터 부과할 것이라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은 SNS 트루스소셜에 미국 농부들을 수신자로 해서 쓴 글을 통해 “미국에서 판매할 농산물을 많이 생산할 준비를 해라”며 “4월2일부터 외국 생산물에 대해 관세가 부과될 것이고 즐거운 시간 보내라”고 언급. 철강·알루미늄, 반도체, 의약품에 이어 의료품에도 관세를 부과하면서 ‘관세 전쟁’을 보다 확대할 뜻을 시사.

▷외신에 따르면, 미국이 오는 4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데 대해 중국 정부가 미국산 농산물과 식품 등을 대상으로 관세와 비관세 조치를 통해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에스앤디, 신송홀딩스, 풀무원, 샘표식품, 미래생명자원, 대상 등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비철금속: 트럼프 대통령, 예정대로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및 중국 추가 관세 부과 행정명령 서명 속 일부 관련주 상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전면 관세를 예정대로 4일(현지시간)부터 부과하고 중국에 대해서도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오는 12일(현지시간) 한국을 비롯해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멕시코, 유럽연합(EU) 회원국, 일본, 영국 등 트럼프 집권 1기 때인 2018년 철강제품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일부 예외를 적용했지만, 이번에는 모든 국가들에 일률적으로 25% 관세를 적용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세아제강, 휴스틸, 넥스틸, 알멕, 풍산 등 미국 공장을 보유한 일부 철강/비철금속 테마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트럼프-젤렌스키 광물 협정 결렬 속 우크라이나 종전 불확실성 등에 하락
▷지난 2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광물 협정 서명 및 우크라이나 종전 문제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지만, 백악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격렬한 공개 설전을 벌인 끝에 예정된 공동 기자회견과 광물 협정 서명이 취소됐음.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젤렌스키)이 합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빠질 것이다. 우리가 빠지면 당신은 (홀로) 끝까지 싸우게 될 것"이라며 군사지원 중단 가능성을 시사했음.

▷이와 관련, 블룸버그통신은 3일(현지시간) 익명의 미국 국방부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우크라이나의 지도자들이 ‘평화를 위한 성실한 약속’(a good-faith commitment to peace)을 입증했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판단할 때까지 미국이 현재 제공 중인 모든 군사원조를 멈추기로 했다고 보도했음.

▷이 같은 소식에 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이 약화되며 전진건설로봇, SG, 진성티이씨, 에스와이스틸텍, 대동, 대동기어, 대모, 현대에버다임, 범양건영, 에스와이 등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가 하락.

 


2차전지/전기차/자동차: 트럼프 대통령, 멕시코·캐나다 관세 현실화에 따른 피해 우려 등에 하락
▷지난 3일(현지시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TSMC의 대미 신규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전면 관세를 예정대로 4일(현지시간)부터 부과하겠다고 밝힘. 아울러 중국에 대해서도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공장을 보유하거나 건설 중인 국내 자동차/2차전지주 업체들의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음. LG에너지솔루션은 다국적 완성차업체 미스텔란티스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합작공장을 세웠으며, 지난해 말 배터리 모듈 양산을 시작했으며, 포스코퓨처엠도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사를 설립해 퀘벡주에 연산 3만t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건설 중임. 또한, 현대차그룹 부품 계열사 현대모비스와 현대트랜시스도 몬테레이 공장 인근에 생산 기지를 두고 현대차·기아 북미 생산 공장에 납품하고 있어 피해를 받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에코프로머티, 포스코퓨처엠,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비엠, 삼성SDI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하락. 또한, HL만도, 한온시스템, 현대차, 모티브링크, 삼성공조, 화신, 한국무브넥스 등 자동차 대표주/부품 테마도 하락.

 


반도체 관련주: 엔비디아(-8.69%) 급락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폭락 등에 하락
▷지난밤 美 증시에서 트럼프 대통령, 캐나다·멕시코 관세 강행 발언 속 무역전쟁 우려 부각, ISM 제조업 지표 부진 등에 3대 지수 모두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4.01% 폭락 마감했음. 특히, 엔비디아 수출에 대한 통제가 더욱 강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엔비디아(-8.69%)가 급락했으며, ARM(-8.04%), 브로드컴(-6.05%), TSMC(-4.19%), 인텔(-4.17%) 등 여타 반도체 업체들도 동반 하락.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조 바이든 전 행정부에 이어 대중국 반도체 통제를 강화할 예정인 가운데, 엔비디아가 제조하는 저사양의 AI 칩도 중국에 수출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미즈호 증권은 "엔비디아가 대중국 AI 칩 수출 허가와 관련해 상당한 새로운 제한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하반기 엔비디아 매출에 40억∼60억 달러의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밝힘.

▷한편, 지난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정부의 수출 금지에도 중국 업자들이 엔비디아의 최신 AI(인공지능) 전용칩 블랙웰을 말레이시아와 베트남, 대만 등을 통해 우회적으로 들여오고 있다고 보도했음. 말레이시아, 베트남, 대만 등에 있는 엔비디아 협력 업체가 엔비디아의 블랙웰을 구입하고 있으며, 이들 업체가 엔비디아 블랙웰을 수입한 뒤 일정 수량은 자체 소비하지만 나머지는 중국에 되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 이에 따라 엔비디아 수출에 대한 통제가 더욱 강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피에스케이홀딩스, 테크윙, 레이저쎌, 넥스트칩, 리노공업, 하나마이크론,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등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뉴로모픽 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화승코퍼레이션/화승알앤에이: 지난해 실적 개선에 급등
▷화승코퍼레이션,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69조원(전년대비 +3.93%), 영업이익 887.14억원(전년대비 +13.43%), 순이익 597.53억원(전년대비 +79.93%).
▷화승알앤에이,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071.30억원(전년대비 +3.89%), 영업이익 313.46억원(전년대비 -1.36%), 순이익 324.23억원(전년대비 +33.92%).
[종목]: 화승코퍼레이션, 화승알앤에이

 

한화손해보험(000370): 차별화된 신상품 출시에 따른 장기적 성장 전망 등에 소폭 상승
▷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차별화된 신상품 출시에 따른 장기적 성장 기대는 유효하다고 분석. 2024년 12월말 기준 CSM(보험계약마진)은 3조8,032억원으로 전년대비 3.15 감소했으나, 시장금리 하락 및 보험계혁회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우량 신계약을 통한 신계약 CSM 확보로 CSM 조정 폭은 어느 정도 방어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언급. 신계약 CSM은 7,410억원으로 전년대비 9.4% 증가했는데, 종합 및 SI, 그리고 여성보험 등 전략상품 차별화 및 채널 경쟁력 강화로 우량 신계약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특히, 여성보험의 경우 가치배수가 12.5배로 전년대비 2.8배p 증가했으며, 2024년 12월말 기준 동사의 K_ICS 예상비율은 경과조치전 및 경과조치후 각각 174%, 212%로 예상을 상회한 수준을 시현했다고 밝힘.
▷한편, 2024년 실적개선 흐름이 2025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배당가능이익 확보에도 다소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목표주가는 하향 조정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000원 -> 5,400원[하향]

 

에이피알(278470): 해외시장 확대로 외형 성장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유럽 시장에서 CPNP 인증을 획득하며 EU 27개국 진출을 본격화하고, 신규 유통망 확보를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힘. 미국 시장에서는 아마존을 비롯한 온라인 채널에서 강세를 보이며, B2B 매출 성장과 오프라인 진출을 병행할 예정이라고 언급. 이어 해외 시장 확대와 신제품 출시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경우 주가는 긍정적인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힘.
▷한편, 동사의 2024년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442억 원(+61% YoY), 영업이익 396억 원(+15% YoY)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시장기대치 389억 원에 부합하였다고 밝힘. 미국 시장에서는 매출 690억 원(+131%)을 기록하며 B2B 와 아마존을 중심으로 성장을 지속했으며, 2025년에는 미국 B2B 매출이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6,000원 -> 77,000원[상향]

 

롯데렌탈(089860): 롯데그룹, 어피니티와 동사 매각 본계약 체결 소식 등에 소폭 상승
▷지난 28일 롯데그룹은 다음달 11일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와 동사 매각계약을 체결한다고 밝힘. 동사의 매각 대금 100% 기준 2조8,000억원 규모로, 거래 대상은 호텔롯데와 부산롯데호텔이 보유한 롯데렌탈 지분 56.2%이며, 매각 금액은 1조6,000억원 규모임. 동사는 본계약 체결과 동시에 어피니티에서는 동사에 약 2,000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하며, 유상증자를 통해 유입된 자금은 대주주 변경에 따른재무구조 개선 등에 사용될 예정.
▷동사는 이날 언론을 통해 글로벌 대표 신용평가사 무디스로부터 투자적격등급인 ‘Baa3’을 재확인받고 ‘안정적’ 전망을 획득했다고 밝힘. 이번 재평가는 최대주주인 호텔롯데와 부산롯데호텔이 글로벌사모펀드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어피니티’)에 동사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매매가격 및 조건에 합의하고, 2주내 주식매매계약 체결 예정 공시에 따라 진행된 것임. 무디스는 동사의 투자적격등급 재확인 이유로 국내 최대 영업망과 뛰어난 경영실적, 우수한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및 이자비용 커버리지, 대규모 자산 기반 유동성 확보 능력 등을 꼽은 것으로 알려짐.
▷한편, 동사는 지난 28일 장 마감 후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 공시를 통해 최대주주 ㈜호텔롯데와 주요주주인 ㈜부산롯데호텔(㈜호텔롯데와 총칭하여 "최대주주 등")에 확인한 결과, 최대주주 등은 금일 각 사의 내부승인 절차를 진행하여 Careena Transportation Group Limited에게 최대주주 등이 보유하고 있는 당사 지분을 매각하기로 하였다고 밝힘.

 

티웨이항공(091810):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지난 28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53조원(전년대비 +13.94%), 영업손실 122.71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607.45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이와 관련, 한국투자증권은 유럽노선 부진에 더해 일회성 비용이 대규모로 반영되며 4분기 실적이 부진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000원 -> 3,500원[하향]
▷한편, 이 같은 소식에 동사의 최대주주인 티웨이홀딩스도 하락.

 

덴티움(145720): 4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93.53억원(전년동기대비 -3.91%), 영업이익 279.70억원(전년동기대비 -48.49%), 순이익 247.52억원(전년동기대비 -27.14%).
▷한편, 보통주 1주당 600원(시가배당율 0.97%)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금양(001570): 지난해 적자지속 및 관리종목 지정 우려 부각에 급락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537.30억원(전년대비 +1.11%), 영업손실 545.11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998.00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아울러 일부 언론에 따르면, 한국거래소가 금융감독원의 제동으로 4,5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철회한 동사를 불성실공시법인에 지정할지 여부를 놓고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는 지난해 10월 몽골 광산 개발 사업 관련 건으로 이미 공시의무 위반 벌점 10점을 받은 바 있으며, 이번 유상증자 철회와 관련된 벌점이 누적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음.

 

이엔플러스(074610): 자본잠식 50% 이상 사실 발생 속 관리종목 지정 우려에 급락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83.14억원(전년대비 +29.9%), 영업손실 223.84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802.96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자본잠식 50%이상으로 관리종목 지정 우려 예고 공시.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에코캡(128540): 지난해 호실적에 상한가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397.20억원(전년대비 +2.81%), 영업이익 141.95억원(전년대비 +259.31%), 순이익 207.87억원(전년대비 +899.96%). 이에 동사는 멕시코법인 등 연결법인의 생산 안정화, 수익구조 개선, 외화환차익 등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가 주요 원인이라고 밝힘.

 

파인테크닉스(106240):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에 상한가
▷지난 28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주)코데스 외 9인이 엄진성 외 1인에 보유주식 5,070,751주를 280.00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 예정일자:2025-03-27) 공시.

 

이니텍(053350):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에 급등
▷지난 28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케이티디에스, ㈜에이치엔씨네트워크가 로이투자파트너스㈜, 사이몬제이앤컴퍼니㈜에 보유주식 11,280,069주를 841.45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 예정일자:2025-03-31) 공시.

 

삼현(437730): 160.04억원 규모 신규시설 투자 결정에 급등
▷지난 28일 장 마감 후 160.04억원(자기자본대비 14.94%) 규모 신규시설 투자(신규수주품 생산을 위한 공장 신축 투자) 결정 공시.

 

차바이오텍(085660): 지난해 연 매출 1조원 돌파 소식에 강세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4조원(전년대비 +9.54%), 영업손실 596.38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25.24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해외 병원 사업의 성장과 세포 관련 사업의 선방으로 지난해 매출이 1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힘. 오상훈 대표는 “바이오 기업으로는 아주 의미 있는 연결 매출 1조원 돌파라는 성과를 냈고 R&D 가속화에 본격적으로 투자해 세포·유전자치료제 조기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겠다”며, “첨생법 개정에 따른 연구 파이프라인의 확대와 사업화에 집중해 회사의 또다른 성장동력의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힘.

 

보로노이(310210): 임상결과 기대감 등에 강세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5월 말 ASCO에서 공개할 것으로 예상했던 VRN11의 첫 임상 결과는 다음달 말 미국암학회(AACR 2025)에서 공개한다며, 다양한 학회에서 데이터를 발표한다고 밝힌 것을 고려했을 때 빠르게 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 지난해 1상 투약 환자를 50명에서 103명으로 대폭 확대한 데 이어 연초 투약 목표 용량도 최대 160mg에서 320mg 이상으로 증량했다며, 규제 기관의 변경 승인으로 볼 때 초기 코호트에서 우수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인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
▷아울러 매수 의견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기존 16만원에서 24만원으로 상향한다고 언급. 목표 주가 상향은 VRN11의 1차 치료제 가치를 반영했다고 언급. 1차 치료제 가치는 CNS 전이 환자 대상 가치만을 반영 했으며, 현재 CNS 전이에서 기존 치료제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점에서 가속 승인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 특히, 동사는 올해 AACR을 시작으로 VRN11, VRN07의 다수 임상 결과 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며 긍정적인 데이터 발표를 예상한다고 밝힘. 임상 데이터 공개는 강력한 주가 상승 모멘텀이 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60,000원 -> 240,000원[상향]

 

에이럭스(475580): 드론 사업 고성장 전망 등에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전문 드론을 중심으로 사업이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 특히, 러-우 전쟁으로 드론전에 대한 관심이 커졌는데, 글로벌하게 드론 비행 훈련에 대한 필요성도 높아지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동사 훈련용 드론 제품 수요가 크게 증가한 상태라고 분석. 아울러 동사의 드론 연간 생산 능력은 24년 말 기준 15만대, 25년 현재 50만대 수준이며, 올해 최대 30만대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힘. 현재 시점을 특정하긴 어렵지만, 교육 외 분야 고객사와도 제품 납품 협상 중인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향후 ASP 상승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전망.
▷한편, 드론은 향후 고성장할 사업이며, 특히 앞으로 주목해야 되는 분야는 방산용으로 판단하고, 저가/방산 드론 개발 과정에 주목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 이미 미국/국내 방산 업체들과 관련 비행체에 대해서 논의 중일 것으로 추정하며, 개발 성공 시 주가 리레이팅을 예상.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23,500원[신규]

 

앱클론(174900): CAR-T 세포치료제 `AT101` 기술이전 계약 체결에 상승
▷CAR-T 세포치료제 `AT101` 기술이전 계약 체결 공시. 계약 내용은 CAR-T 세포치료제인 'AT101'의 CD19 CAR서열, CD19 CAR-T 특화된 제조 공정 및 분석 방법, CMC 관련 기술이전을 통해 개발 및 상업화를 할수 있는 튀르키예 한정 독점적 권리 이전임.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28일(현지시간) 오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현지 기업 TCT헬스테크놀로지(TCT)와 AT101의 사업화를 위한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을 통해 동사는 튀르키예 혈액암 치료제 시장에 진출하며, 이를 기반으로 유럽 및 중동 시장 공략을 강화할 계획.
▷한편, AT101은 CD-19 카티 세포 치료제며 동사의 독자적 기술 플랫폼(NEST)을 기반으로 개발됐음. 기존 카티 치료제와 차별화된 항체(1218)를 적용해 높은 치료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임상 2상을 진행 중으로 올해 상반기 조건부 신속 허가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음.

 

제이스코홀딩스(023440): EVMDC와 디나가트 광산 B·C구역 '니켈 독점 판매권' 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필리핀 현지 파트너사 EVMDC(EV마이닝&디벨롭먼트)와 필리핀 디나가트(Dinagat) B, C 광산 구역에 대한 니켈 원광 독점판매권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을 통해 총 2,700헥타르 디나가트 니켈 광산 전체에 대한 독점판매권을 확보.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독점판매권 계약에 따른 총판권 권리대금은 마일스톤에 따른 비용지급의 방식으로 현재까지 동사가 필리핀 파트너사인 EVMDC로 권리대금을 지속적으로 분할지급했다"며, "분할 지급된 금액은 이번 B, C구역에 대한 독점판매계약 체결로 모든 권리관계가 명확히 확정됐다"고 언급. 이어 "현재 강안에 인접해 광산개발의 지리적 강점을 보유한 D구역부터 채굴을 진행하고 있다"며, "예정대로 이번 달에 니켈판매 본 계약 체결이 완료돼 선적이 이루어지면 독점판매권 계약에 따른 매출과 영업이익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힘.

 

기가비스(420770): 113.99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일본 반도체 기판 제조회사와 113.9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47%)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기판 검사 및 수리장비) 체결(계약기간:2025-02-28~2025-10-27) 공시.

 

크리스탈신소재(900250): 그래핀 복합 방열 도료 개발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그래핀 수성 아크릴산·폴리우레탄 이중 성분 수지 방열 도료(그래핀 복합 방열 도료)'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이 기술은 채굴 장비의 발열 문제를 해결해 전력 소비 절감을 유도하고, 보다 친환경적인 채굴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해당 복합 방열 도료 제품의 연구개발을 더욱 가속화할 예정이며, 중국 국내 주요 채굴기 및 채굴기 칩 생산 기업들과 협력해 더욱 집중된 그래핀 복합 방열 도료를 개발하겠다"고 설명.

 

메쎄이상(408920): 지난해 호실적 분석 등에 소폭 상승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4년 잠정 매출액 (연결) 672.2억원(+32.3% YoY), 영업이익 171.0억원(+53.1% YoY, OPM 25.4%), 당기순이익 134.8억원(+142.8% YoY)을 달성했다고 분석. 특히, 사상 최대 실적의 원인은 기존 전시회의 횟수 증가 등 전시용역매출 확대와 대형 신규 전시회(KADEX 2024, HIMSS APAC 2024 등) 개최 및 신규사업영역 진출 등 전시 용역 매출 확대에 기인한다고 설명.
▷아울러, 인도·대만 등의 해외 전시회, 신규 카테고리 발굴, 청주 오스코 위탁 운영 등이 2025년 성장 포인트라고 분석.

 

바이오니아(064550): 지난해 실적 부진에 소폭 하락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939.75억원(전년대비 +11.67%), 영업손실 134.64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74.44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차이커뮤니케이션(351870):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87.50억원(전년대비 +4.16%), 영업이익 35.19억원(전년대비 -59.09%), 순손실 1.67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코세스(089890): 지난해 적자전환에 하락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91.84억원(전년대비 -27.66%), 영업손실 56.09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97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앱트뉴로사이언스(270520): 지난해 적자지속에 하락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83.77억원(전년대비 -9.98%), 영업손실 77.99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73.03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한울소재과학(091440): 지난해 적자지속에 하락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3.38억원(전년대비 -53.88%), 영업손실 119.96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03.25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엑스페릭스(317770): 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속 하락
▷지난 28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센시오투자조합(특수관계인) 대상 1,660,577주(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011원, 상장예정:2025-05-21) 공시.

 

뱅크웨어글로벌(199480): 지난해 적자지속에 약세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02.00억원(전년대비 -31.15%), 영업손실 149.33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42.29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이에 동사는 금융시장 불확실성과 경기침체로 인한 전방산업 프로젝트 규모 축소 및 연기가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

 

카이노스메드(284620): 관리종목 지정사유 발생에 약세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90억원(전년대비 +120.85%), 영업손실 126.49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26.97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내부결산시점에 연결기준 자본잠식률 50% 이상으로 확인됨에 따라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사유 발생 공시.

 

하이로닉(149980):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16.28억원(전년대비 -6.23%), 영업이익 4.59억원(전년대비 -91.27%), 순손실 34.58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이노인스트루먼트(215790): 지난해 적자지속에 급락
▷지난 28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14.29억원(전년대비 -5.56%), 영업손실 243.17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337.03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