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3.05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3-05 13:09
- 조회수 :
- 228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셰일가스(Shale Gas), 건설기계, 양자암호/양자컴퓨팅, 딥페이크(deepfake), 우크라이나 재건, 강관업체(Steel pipe), 건설 대표주, 석유화학, 해운, 제대혈, 종합상사, 홈쇼핑, 편의점, LNG(액화천연가스), 요소수, 면세점, 농업, 모듈러주택, 피팅(관이음쇠)/밸브, 조선, 백화점, 남-북-러 가스관사업, 제4이동통신,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건설 중소형,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보안주(정보) 등...
약세 테마: 은행, 렌터카, 반도체 대표주(생산), 마리화나(대마), 음원/음반, 사료, 증권, 스포츠행사 수혜(올림픽, 월드컵 등), 통신, 토스(toss), 엔터테인먼트, 뉴로모픽 반도체,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등...
<특징 테마>
양자암호/양자컴퓨팅/ 보안주(정보): 中 연구팀, 슈퍼컴보다 1천조 배 빠른 양자컴퓨터 개발 소식 등에 상승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과학기술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초전도 양자컴퓨터 프로토타입(시제품) ‘쭈충즈(祖沖之) 3호’가 물리학 분야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Physical Review Letters)’에 지난 3일 공개됐다고 전해짐. '쭈충즈 3호는' 양자 컴퓨터 성능을 측정하는 주요 기준 중 하나인 ‘양자 난수 회로 샘플링’ 작업을 기존의 가장 강력한 슈퍼컴퓨터보다 1,000조 배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신화통신은 이번 성과를 두고 "중국이 글로벌 양자컴퓨팅 경쟁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고 밝힘.
▷아이씨티케이는 금일 언론을 통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PQC 알고리즘 정식 표준이 탑재된 i511DN 보안칩 출시와 양산을 시작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이정원 아이씨티케이 대표는 "아이씨티케이의 보안칩은 소프트웨어중심자동차(SDV) 및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과 같은 자동차 보안 뿐 아니라, 스마트폰, 금융 서비스, 암호화폐 보안 등의 안전, 안보, 금융 등 중요 분야에 선적용 돼야 한다"며, "이번에 출시한 i511DN(G5N)을 통해 PQC 전환 시대의 보안 표준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아이씨티케이가 상한가를 기록중이며, 에이엘티, 코위버, 엑스게이트, 케이씨에스, 한국첨단소재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상승. 아울러 핀텔, 엑스게이트, 샌즈랩 등 보안주(정보) 테마도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등: 美-우크라 광물 협정 임박 소식 속 종전 기대감 등에 상승
▷로이터통신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워싱턴)의 파행으로 인해 최종 타결 직전 불발된 양국 간 '광물협정'에 대해 양국 정부가 이르면 4일(현지시간) 이를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행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이날 오후 9시10분(한국시간 5일 오전 11시 10분) 시작하는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 때 협정 합의를 발표하길 희망한다는 뜻을 참모들에게 피력했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대동기어, 대동, SG, 전진건설로봇, 현대에버다임, HD현대건설기계, 범양건영, 에스와이, 대한유화, 애경케미칼 등 우크라이나 재건/ 석유화학/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가 상승.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원가율 개선에 따른 이익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24년 4분기 건설업종 실적에서 원가율 하향 방향성이 부각되며 '25년 2월 코스피200 건설 주가 수익률(MoM +2.3%)은 코스피 1개월 수익률을 +2.5%p 상회했다고 분석. 특히, 원가율 흐름의 경우, 국내외 현장에서 대규모 비용을 반영한 현대건설을 제외한 모든 건설사의 4Q24 연결 매출원가율이 QoQ 하향하면서 저수익 현장 비중 축소에 따른 구조적 이익 회복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밝힘. 아울러 커버리지 건설사의 '25년 연간 매출액이 둔화되는 흐름이 건설업종 내 공통된 현상이기 때문에 저수익 현장 종료에 따른 원가율 개선이 최소한 '25년 상반기까지의 업종 투자전략에 있어서는 지속적으로 주요한 투자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판단.
▷한편, 전국적으로 부진한 실적이 지속되고 있지만, 서울의 월별 누계 건축 허가 면적은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수도권 월별 누계 실적은 34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25년 1월 YoY +14% 회복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 전년도 기저효과와 그간 지연되어왔던 신규 사업 착수 영향으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는 인허가 지표회복이 감지되고 있으며, 이러한 회복세는 시차를 두고 비수도권 지역으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HDC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DL이앤씨, 동신건설, 범양건영, 일성건설 등 건설 대표주/중소형 테마 상승.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0.64%) 지수 반등 영향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 주식시장이 글로벌 관세 전쟁 심화 등에 하락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상승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9.13(+0.64%) 상승한 4,604.51를 기록. 엔비디아(+1.69%), AMD(+2.57%), TSMC(+4.06%), 마이크론 테크놀로지(+0.73%) 등이 상승.
▷번스타인은 보고서를 통해 엔비디아의 밸류에이션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매수 기회를 제공한다며, 엔비디아의 현재 주가는 향후 12개월 예상 순이익(NTM EPS)의 약 25배 수준에서 거래 중인데, 이는 1년 내 최저 수준일 뿐만 아니라 10년 내 최저 수준에 가깝다고 밝힘. 이어 AI 투자 사이클이 끝났다는 우려는 다소 성급하다며, AI 관련 투자 심리가 단기적으로 악화됐지만, 기업들의 투자 계획은 여전히 증가하는 추세로 신제품 주기가 이제 막 시작됐다고 밝힘. 이어 수 주 내 엔비디아의 그래픽 기술 컨퍼런스(GTC)가 열린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고 설명.
▷한편,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기업인 대만 TSMC는 미국에 1,000억 달러(약 146조원)를 추가 투자하기로 결정했음.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지난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한 뒤 1,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
▷이 같은 소식 속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SK하이닉스, 테크윙, 어보브반도체, 티에프이, HPSP, 원익홀딩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소매유통: 홈플러스 기업회생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홈플러스는 전일 오전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고 밝힘. 지난달 28일 공시된 신용평가에 온오프라인 매출 증가와 부채비율 개선 등 많은 개선사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신용등급이 하락했다고 설명. 이어 신용등급이 낮아져 단기자금 측면에서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단기자금 상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됐다며, 이번 회생절차 신청은 사전예방적 차원이라고 강조.
▷홈플러스는 잔여 계약기간 동안 모든 임차료를 계상한 리스부채를 제외하고, 운영자금 차입을 포함한 실제 금융부채가 약 2조원 정도라며, 이번 회생결정으로 금융채권 등이 유예돼 금융부담이 줄어들게 되면 현금수지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금융채권 상환은 유예되지만, 협력업체와 일반적인 상거래 채무는 회생절차에 따라 전액 변제되며 임직원 급여도 정상적으로 지급될 예정. 또한, 회생절차 신청과는 상관없이 홈플러스의 대형마트, 익스프레스, 온라인 등 모든 채녈 영업은 정상적으로 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반사수혜 기대감이 부각되며 이마트, 롯데쇼핑, 신세계, 지어소프트, 현대백화점 등 소매유통 테마가 상승.
화장품: K-뷰티 흥행 지속 전망 등에 상승
▷LS증권은 2025년 한 해 미국 화장품 시장의 경쟁 심화에도, K-Beauty의 흥행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 특히, 한국 화장품 시장은 전세계에서 가장 치열하고도 역동적인 시장이며, 역동적인 시장에서 나고 자란 K-Beauty 제품들은 따라오기 힘든 혁신성과 제품력, 가성비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 이러한 기초 체력이 미국 뷰티 시장 마케팅에서 중요한 틱톡에서 빛을 발하고 있고, 기존 없었던 새로운 카테고리도 만들어내며 양적으로도 확장하고 있다고 분석.
▷한편, 화장품 구매에 있어 전통 유통 채널은 다이소 대비 가성비가 떨어지고, 올리브영 대비 체험 및 구색에서 매력이 없으며, 이에 2개 업체 위주의 성장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 아울러 입점 브랜드들의 생산을 담당하는 ODM 업체들이 받는 수혜도 꾸준할 것으로 예상. 아울러 주요 이커머스 업체들이 최근 화장품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기 시작했으며, 오프라인과 온라인 모두 채널 확장 및 브랜드 탄생이 계속되면서 ODM 업체들에게는 유리한 환경이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한국콜마, 잉글우드랩, 클리오, 코스맥스, 제닉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롯데케미칼(011170): 4년 만에 흑자전환 기대감 등에 급등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예상 실적은 매출액 19.4조원, 영업이익 2,212억원(영업이익률 +1.1%), 지배주주 순손실 316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특히, 영업실적은 4개년 만에 흑자전환을 예상하고 있다고 언급(2022년 -7,626억원, 2023년 -3,477억원, 2024년 -8,948억원). 글로벌 에틸렌의 수급 개선 속에 유가하락 수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며, 2025년 1분기부터 적자폭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추정.
▷다만, 투자자산 지분율 축소(라인프로젝트 100%→51%,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53%→47%)를 반영해, 적정주가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20,000원 -> 200,000원[하향]
SK디스커버리(006120): 총 208.69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및 3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438,000주, 종류주 46,000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3-11) 공시. 소각예정금액은 208.69억원 규모이며, 소각예정일은 2025년3월11일임.
▷3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3-04~2025-09-04, 에스케이증권주식회사(SK Securities Co.,LTD.)) 공시.
한올바이오파마(009420): 바토클리맙(Batoclimab) 임상 3상 결과 발표 기대감 등에 상승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주요 신약 파이프라인 중 가장 핵심적인 후보물질로 꼽히는 Batoclimab의 중요 임상 결과가 3~4월에 발표될 예정이라고 밝힘. Batoclimab 임상 3상 결과가 성공적으로 나온다면 알부민 저하, LDL 콜레스트롤 증가 등 Batoclimab의 핵심 부작용을 해소한 대체 후보물질 IMVT1402의 향후 임상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전망.
▷아울러 동사는 3월4일 Batoclimab이 일본 후생노동성으로부터 TED(갑상선안병증)에 대한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고 발표한 가운데, 현재 일본에서 TED 3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 임상 3상 Topline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6,000원[유지]
덴티움(145720):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에도 올해 연간 실적 추정치 변동 미미 분석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 1,194억원(-3.9% y-y, +26.1% q-q), 영업이익 287억원(-47.2% y-y, +54.3% q-q)으로 컨센서스 대비 매출 부합, 영업이익은 16.2% 하회했지만, 4분기 실적 반영에도 2025년 연간 실적 추정치 변동은 미미하다고 밝힘.
▷글로벌 덴탈업체 2025년 매출 가이던스는 Straumann을 제외하면(높은 한 자릿수 성장), Envista(+1%~+3%), ZimVie(-1%~-2%), Dentsply Sirona(-2%~-4%) 수준으로, 이는 프리미엄 임플란트, 교정 및 장비 매출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고금리로 인한 내수 부진과 강달러로 인한 수출 부진이 주된 원인인 만큼, 매출 구성과 지역 노출도에서 상이한 덴티움 등 한국 업체의 상황과 구별될 필요가 있다고 밝힘. 또한, 올해 핵심은 여전히 중국 소비 경기 회복 가능성 및 VBP 시행 강도와 러시아에서의 한국 임플란트 입지 강화 추세이며, 밸류에이션 매력도 또한 유지 중이라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0,000원[유지]
디아이(003160): 193.93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Samsung Electronics (Suzhou) Semiconductor Co., Ltd.와 193.9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0%)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검사장비(DDR5용 차세대 BURN IN TESTER 및 차세대 BURN IN BOARD)) 체결(계약기간:2025-03-04~2025-05-30) 공시.
태영건설(009410): 1,296.66억원 규모 청주 사창 제2공구B블럭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수주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사창제2공구B블럭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과 1,296.6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87%) 규모 공급계약(청주 사창 제2공구B블럭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체결 공시.
▷풍문 또는 보도(2822억 규모 춘천 수처리시설 이전 사업 품을까)에 대한 해명 재공시로 당사가 시공사로 참여하는 춘천공공하수처리시설 이전 현대화 민간투자사업은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심의 통과 후 춘천시와 실시협약을 체결하였으며, 향후 실시설계 승인 과정을 거쳐 도급계약(계약예상금액 : 약 1,090억원 (예상총 공사비 2,535억 중 당사지분 43%))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힘.
▷한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총공사비 766억원 규모의 청주 다목적 실내체육관 신축공사를 수주했다고 밝힘. 동사는 삼보종합건설, 대화건설 등과 컨소시엄을 이뤄 이번 사업을 수주했으며, 동사 지분은 60%임.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클로봇(466100): 레인보우로보틱스와 제조물류로봇 사업 협력 강화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산업용 로봇 제조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와 제조 물류 로봇 산업 발전 및 공동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지난해부터 협력 사업을 진행해왔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2025년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시장 확장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할 계획. 동사는 자율주행 솔루션, 작업제어 시스템, 통합관제솔루션 개발을 담당하고,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자율이동로봇(AMR) 하드웨어 및 드라이버 개발을 맡을 예정.
▷김창구 동사 대표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AMR 로봇과 클로봇의 자율주행 솔루션(카멜레온) 및 클라우드 기반 관제 솔루션(크롬스)을 결합해 제조물류 산업의 자동화를고도화하겠다”며,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힘.
대성하이텍(129920): 유럽 및 이스라엘과 방위사업 부문 계약 체결 가능성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유럽과 이스라엘 등 공급을 추진 중이며, 국내 방산 대기업과도 수출용 제품의 공동 개발에 참여해 시제품 제작 마무리 단계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유럽 현지에서 단거리 미사일용 초정밀 부품과 타겟팅 정확도를 높이는 '핀(Fin)' 부품을 생산할 예정이며, 이스라엘의 유도탄 전문 기업과의 절충교역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올해 3년간 장기 부품 공급 계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짐.
휴먼테크놀로지(175140): 자회사 아고스, 차세대 기동형 안티드론 시스템 공개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아고스가 아시아 최대 드론 전문 전시회 ‘DSK 2025(드론쇼 코리아)’에서 ‘차세대 기동형 안티드론 시스템’을 최초 공개했다고 밝힘. 이 시스템은 초소형 드론 및 무인기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올인원(All-in-One) 솔루션으로, 탐지부터 식별, 추적, 무력화까지 모든 단계를 단 한 대의 차량에서 수행할 수 있다고 언급.
▷이와 관련, 아고스 관계자는 “이번 제품은 고정 설치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어 국가·군사 중요 시설 및 주요 인물 보호에 최적화됐다”며, “글로벌 안티드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힘.
라이프시맨틱스(347700): 최대주주 변경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주)스피어코리아에서 최광수 외 3인으로 변경됐다고 공시. 변경 후 최대주주 및 특별관계자의 지분율은 52.19%(20,091,847주)임.
글로벌텍스프리(204620): 미용의료 업사이클 수혜 분석 등에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세금환급(Tax Refund) 대행사업자로서 물품을 구입한 외국인 관광객에게 내국세 환급을 대행해주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며, 2024년 매출액 1,297억원(+38.9% YoY), 영업이익 218억원(+47% YoY)을 기록하며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힘. 최근 가파르게 증가하는 외국인 관광객 미용의료 시술 건 수 증가를 감안하면 ’25 실적 성장 역시 기대된다고 설명.
▷특히, 외국인 관광객의 미용의료 시술 증가는 ‘23년부터 눈에 띄게 성장했고 ‘24년 외국인 관광객의 피부과 소비 금액은 전년비 374% 증가했으며, 2025년 환급 건 수는 팬데믹 이전(2019) 보다 약 746%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동사의 미용의료 관련 매출 비중은 ‘23년 10%, ‘24년 10% 중 후반, ‘25년 초 20%를 넘어서기 시작했다며, 미용의료 업사이클의 숨겨진 수혜주를 찾고 있다면 동사가 좋은 투자처가 될 것이라고 밝힘.
녹십자웰빙(234690): 中 시장 진출 본격화 속 에스테틱 사업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한양증권은 동사에 대해 현재 주력 제품 ‘라이넥’의 용량 확대 및 제형 변경 임상을 진행 중이라며, 기존 2.5ml 앰플을 최대 10ml까지 확대하고 IV(정맥주사) 투여 용법을 추가해 적응증 및 사용처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에 따른 수량(Q)과 가격(P) 상승 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
▷아울러 에스테틱 사업부의 포트폴리오 다각화 및 수출 확대를 위해 2021년 약 750억 원을 투자해 증설을 시작했고 2023년부터 가동했다며, 올해 본격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특히, 중국 소비 활성화 정책으로 소비 심리가 회복됨에 따라 HA 필러 및 ‘라이넥’의 중국 진출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기존 유통망을 활용한 점유율 확대와 신시장 개척을 통해 2025년 실적은 매출액 1724.6억원(+28.9%, YoY), 영업이익 167.1억원(+9.7%,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헥토이노베이션(214180): 올해 1분기 실적 성장 지속 전망 등에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는 비수기이지만, 전년동기대비 각각 13.9%, 23.6%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IT정보서비스의 신규 서비스 매출 증가는 물론, 핀테크, 헬스케어 사업 부문도 실적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라고 분석.
▷한편, 지난해 4분기는 전 사업부문의 실적 성장으로 3개 분기 연속 최대 매출액 갱신과 함께 수익성 개선에도 성공했다고 밝힘.
▷다만, 목표주가 괴리율 부담으로 17,000원으로 하향 조정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9,000원 -> 17,000원[하향]
제이엘케이(322510): 뇌 경막하 출혈 검출 AI 솔루션 美 FDA 승인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CT 기반 뇌 경막하 출혈(Subdural Hemorrhage) 검출 솔루션에 대한 의료기기 승인(FDA 510(k))을 받았다고 밝힘. 동사는 AI 기반 SDH 솔루션을 활용하면 판독 속도가 기존 대비 약 30% 이상 향상될 것으로 보고, 응급 뇌출혈 환자 치료 골든타임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김동민 대표는 "동사는 하버드대학 등 글로벌 최상위 의료기관들과 임상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해온 결과 이번 FDA 승인을 얻게 됐다"며, "급박한 응급 환경에서도 경막하 출혈 검출 AI 솔루션을 활용하면 의료진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 환자의 긍정적 예후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비조영CT 영상을 분석해 SDH가 의심되는 경우 동사의 모바일 앱 스냅피를 통해 알림을 발송할 수도 있다"며, "SDH는 발생 후 치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예후가 달라지는 만큼 솔루션 활용 시 소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힘.
▷한편, 동사는 이번 승인을 통해 FDA 인증 제품을 7종으로 확대하며, 비용 대비 수익성이 높은 라인업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설 방침임.
쎄노텍(222420): 인도 바할라 케미컬과 원료 공급 계약 체결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도 최대 지르코늄 화학 제조 기업인 바할라 케미컬(Bhalla Chemical)과 원료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는 이차전지 및 ESS(에너지저장장치) 제조에 필요한 지르코늄 첨가제 공급을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며, 인도에서 생산된 고순도 지르코늄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계획임. 이를 통해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및 FEOC(해외 우려 기업법) 등 규제 변화에 대응한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임.
▷동사 관계자는 "이번 계약으로 원료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고객 맞춤형 2차 가공을 통해 품질을 극대화하겠다"고 밝힘. 또한, 동사는 기존 세라믹 비드 제조 기술을 활용해 나노 단위의 초미세 입자로 가공하는 공정 역량을 적극 활용할 예정임.
토탈소프트(045340): 29.1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8.1%)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MSC Mediterranean Shipping Company S.A.와 29.1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8.1%) 규모 공급계약(양적하 계획 프로그램(CASP)) 체결(계약기간:2025-02-28~2025-05-02) 공시.
딥노이드(315640): ISMRM 2025에서 퇴행성 뇌질환 연구 발표 예정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헤 국제자기공명의학회(ISMRM 2025)에서 연구 초록 3편을 공개한다고 밝힘. 동사는 이번 학회를 통해 치매 및 파킨슨병 등의 퇴행성 뇌질환의 정밀 진단을 위한 AI 기반 자기공명영상 분석 기술을 제안할 예정이며, 이중 MR 대비 향상을 통한 맥락총 분할 성능 개선 연구는 학회의 주요 연구 성과로 인정받는 구연 발표(Oral Presentation)로 선정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동사는 딥러닝을 활용한 제한된 영역에서의 자회율맵 강조 영상(SMWI) 신호 확장 연구, 복합 스윈 트랜스포머 기반 빠른 자회율맵 강조 영상(SMWI) 복원 연구를 발표할 예정으로 알려짐. ISMRM 2025는 현지시간으로 5월 10일부터 15일까지 미국 하와이에서 개최될 예정.
▷이와 관련, 동사 최우식 대표는 "이번 연구 초록 채택은 동사가 신경과학 AI 솔루션 분야로 연구 역량을 확장한 결과"라며 "추후 치매 및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의료 AI 솔루션을 통해 보다 정밀한 뇌 질환 진단을 지원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힘.
비에이치아이(083650): 호황 구간 지속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조원 내외의 신규 수주를 전망하며 올해 수주잔고 대비 매출액 3.1배, 신규수주대비 매출액 1.5배로 호황 구간 지속이 전망된다고 밝힘. 이어 26F P/E 15.7배로 최근 주가 상승으로 밸류에이션 부담 있으나, 27F P/E 8.9배로 점차 해소될 것으로 추정.
▷아울러 글로벌 가스발전소 설비 용량은 꾸준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분석. 가스발전소 설비용량 증가 이유는 러 – 우 전쟁 이후 가스 사용의 효율성 개선에 대한 필요성 증가, 재생에너지 투자 증가로 인한 부하 대응을 위한 백업 전원, 석탄발전소의 가스발전소의 전환에 따른 것으로 추정.
휴젤(145020): 올해 수출 중심 성장 기대감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는 수출 중심으로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올해 2분기부터 미국향 톡신 수출이 발생하고, 톡신 브랜드 가치 제고로 북미 이외 지역에서도 영업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 이어 하반기부터 필러에서 톡신과의 영업시너지가 발생할 전망이며, 타이트한 비용통제로 영업이익률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고 언급.
▷아울러 동사의 주가가 많이 상승해 단기 상승에 대한 부담을 배제할 수 없지만, 아직도 올해 추정이익 기준 PER은 현재 19.7배에 불과하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00,000원 -> 440,000원[상향]
GRT(900290): 남사과기와 AI 로봇 시장 진출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국 전자 산업 선도 기업인 남사과기와 함께 AI 로봇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힘. 동사는 남사과기가 애지봇(Agi Bot)과 협력해 전 세계 최초 오픈 소스 풀스택 로봇인 '링시X1'(犀X1)을 출시했다고 밝혔으며, 남사과기는 지난해 애지봇의 AI로봇 1,000대 이상의 생산을 지원했고, 향후 납품 수량을 더욱 확대할 예정. 동사는 AI로봇 생산 과정에서 필요한 고품질 기능성 필름·정밀 코팅 재료·경량화 고강도 소재 등 다양한 핵심 재료를 생산해 제공했음.
▷동사 관계자는 "남사과기의 협력은 글로벌 로봇 산업의 경쟁 구도에서 중요한 기준점으로 평가받고 있다"며, "화웨이, 테슬라, 애지봇(Agibot), 위슈로봇 등의 첨단 기술 기업들이 휴머노이드 AI 로봇의 산업화를 적극 추진하는 가운데, 남사과기의 기술 혁신과 마케팅 전략은 강력한 경쟁 우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밝힘.
제이씨현시스템(033320): 지난해 흑자전환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638.99억원(전년대비 +24.73%), 영업이익 36.42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0.75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셀루메드(049180): 집행판결청구소송 패소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Buechel-Pappas Trust, Biomedical Engineering Trust가 제기한 집행판결청구소송 인용 판결에 대한 반소 청구 각하 결정 공시. 판결·결정금액은 239.26억원으로 자기자본대비 82.0%임.
▷이번 판결은 현 경영진이 동사를 인수한 2018년 이전부터 진행된 소송으로, 공시된 판결금액 상당액은 이전 경영진이 부담해야 할 부분이라며, 현 경영진은 이전 경영진과의 협의를 통해 회사 부담분을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밝힘.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