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3.06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3-06 12:20
- 조회수 :
- 223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인터넷 대표주, 철강 주요종목, 강관업체(Steel pipe), 두나무(Dunamu),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자동차 대표주, 편의점, 면세점, 드론(Drone), 제대혈, 남-북-러 가스관사업,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일자리(취업), 스마트홈(홈네트워크), 영화, 마스크,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카카오뱅크(kakao BANK), 마켓컬리(kurly), 항공/저가 항공사(LCC), 은행, 항공기부품, 스마트카(SMART CAR), 딥페이크(deepfake) 등...
약세 테마: 의료AI, HBM(고대역폭메모리), 유리 기판, 온디바이스 AI, 3D 프린터, 뉴로모픽 반도체, 반도체 재료/부품, 마리화나(대마), LED장비, 밥솥, RFID(NFC 등),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반도체 장비, 리튬, 화이자(PFIZER), 3D 낸드(NAND), 광고, 사물인터넷, 반도체 대표주(생산), 2차전지(전고체), 2차전지(장비), NI(네트워크통합),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NFT(대체불가토큰) 등...
<특징 테마>
자동차/ 일부 2차전지 등: 美, 캐나다·멕시코산 車 관세 유예 소식에 상승
▷밤사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일(현지시간)부터 시행 중인 멕시코, 캐나다 대상 25% 관세 부과에서 자동차에 한해 1개월간 적용을 면제한다고 발표했음. 이와 관련,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우리는 '빅3' 자동차 업체와 대화했다"며,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자동차에 대해 1개월간 관세를 면제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USMCA와 연관된 업계의 요청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이 경제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관세 적용을 한 달 면제하는 것"이라고 언급.
▷이에 캐나다·멕시코에 공장을 보유하거나 건설 중인 국내 자동차/2차전지 업체들의 수출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일부 완화되는 모습.
▷한편, 이 같은 소식에 HL만도,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차, 성우하이텍, 화신 등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등 일부 2차전지 관련주가 상승.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美 우주 업체 주가 상승 영향 및 유럽 유텔샛, 우크라이나 전쟁서 스타링크 대체 협의 소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서 레드와이어(+12.87%), 비아샛(+12.57%), 로켓랩(+7.40%), 플래닛랩스(+6.71%), 인튜이티브 머신스(+4.75%) 등 美 우주 관련주가 강세를 보임.
▷외신에 따르면,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을 중단하겠다는 뜻을 밝히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위성통신 서비스 '스타링크' 역시 우크라이나 통신지원을 차단할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프랑스 위성통신업체 유텔샛이 스타링크를 대신해 우크라이나에서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해 유럽 국가들과 협의 중이라고 전해짐. 유텔샛은 이미 유럽 기관들과 우크라이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력을 시작했다며, 현재 두 가지 유형의 위성을 사용할 계획으로 하나는 저지구궤도(LEO) 원웹 위성이고 나머지는 정지궤도 위성인데 이는 러시아 진지를 공격하는 우크라이나 드론의 연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한편, 지난 26일(현지시간) 美 플로리다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된 무인 달 탐사선 '아테나'(노바-C)가 6일(현지시간) 달 남극 분화구 인근의 고원 '몬스 무턴'(Mons Mouton) 지역에 착륙을 시도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인텔리안테크, 쎄트렉아이, LIG넥스원, 컨텍, 제노코, 이노스페이스, AP위성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가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한-폴란드 외교장관 회담서 K2 전차 2차 이행계약 체결 가속화 및 유럽 방위비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외교장관으로서 18년만에 폴란드에 공식방문한 가운데, 라도스와프 시코르스키 폴란드 외교장관과 회담을 개최. 조 장관은 5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시코르스키 장관과 단독회담과 오찬회담을 열고 양국이 앞으로도 방산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가기로 했다고 밝힘. 특히, 양 장관은 현재 양국 간 협의 중인 K2 전차 2차 이행계약이 조속히 체결될 수 있도록 정부 간 협의를 포함한 가능한 모든 지원을 함께 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힘. 당초 2차 수출 이행계약은 지난해 말 마무리 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 등으로 지연되고 있음.
▷유럽 방위비 확대 기대감도 지속. 유럽연합(EU) 27개국이 6일(현지시간) 유럽 방위력 강화를 위한 자금조달 계획과 우크라이나 지원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특별 정상회의를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할 예정. 최근 유럽연합(EU)이 27개 회원국의 방위비 증액을 촉진하기 위해 최소 8,000억 유로(약 1,238조원)의 자금 동원 계획을 제시한 바 있음. 또한, 독일의 차기 총리 프리드리히 메르츠는 독일 헌법을 개정해 국방 및 안보 지출을 재정 지출 한도에서 면제할 것이라고 밝힘. 국방 및 안보 지출이 재정 지출한도에서 면제되면 방위비 지출이 수천억유로 추가될 수 있다고 전해짐.
▷한편,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제너럴 다이내믹스(+4.85%), 록히드마틴(+2.58%), 노스롭그루만(+2.24%), 레이시온(+0.73%) 등 美 방산주가 상승. 특히,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6.79%)는 윌리엄 블레어 분석가 루이 디팔마가 투자등급을 Underperform)서 Market Perform으로 상향 했다는 소식 등에 강세.
▷이 같은 소식 속 퍼스텍, 한국항공우주, 웨이브일렉트로, 풍산, LIG넥스원, 휴니드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아센디오(012170): 감자 후 변경상장 첫날 급등
▷감자결정에 따라 지난 2월14일부터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한편, 동사는 지난 1월 결손금 보전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 목적 90.00% 비율의 감자를 결정한 바 있음.
LG이노텍(011070):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전망 등에 급등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1Q 영업이익은 1,318억원(-46.8% qoq/-25.1% yoy)으로 종전 추정(860억원)과 컨센서스(945억원)를 각각 53.3%, 39.5% 상회하는 등 깜작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또한, 2025년 연간 영업이익은 7,405억원(4.9% yoy)로 종전대비 8.1% 상향, 주당순이익(EPS)은 9.5% 상향 조정.
▷1Q 및 올해 영업이익 상향은 애플의 아이폰 판매 증가보다는 평균공급단가(ASP) 상승, 믹스 효과로 인한 영업이익률 확대가 주효하다라며, 동사는 고부가 카메라 공급 비중이 높은데 애플의 아이폰 16 프로와 프로맥스 모델 판매 비중이 65%로 나타났고, 아이폰16e의 전면·후면 카메라를 단독 공급하며 고정비 부담이 경감한 것도 수익성 확대 요인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50,000원 -> 260,000원[상향]
농심(004370): 라면·스낵 가격 인상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3월17일부터 총 56개 라면과 스낵 브랜드 중 17개 브랜드의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한다고 밝힘. 인상되는 품목은 라면 31개 브랜드중 14개, 스낵 25개 중 3개 브랜드이며, 이번 가격인상은 2022년9월 이후 2년6개월만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그동안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원가절감과 경영효율화를 추진하는 등 인상압박을 견뎌 왔지만, 원재료비와환율이 상승함에 따라 가격조정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경영 여건이 더 악화되기 전에 시급하게 결정하게 됐다"고 밝힘.
코스맥스(192820): SSG닷컴과 신진 K뷰티 브랜드 발굴·육성과 판로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신세계그룹 계열 전자상거래 업체 SSG닷컴(쓱닷컴)과 신진 K뷰티 브랜드 발굴·육성과 판로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협약에 따라 동사는 뷰티 분야에서 성장 잠재력이 큰 국내 중소 브랜드를 추천하고, SSG닷컴은 해당 브랜드와 함께 성장할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다양한 지원책을 제공할 예정으로 전해짐.
NAVER(035420): 올해 커머스 매출액 전망치 상향 등에 상승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쇼핑 단위 시간의 감소가 이미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AI 추천 기능이 강화될 쇼핑 앱 별도 출시는 쇼핑 단위 시간 감소라는 트렌드에 부합한다고 밝힘. 이에 따라 지난 12일 신규 커머스 앱 출시로 검색부터 구매까지 이어지는 유저 동선 및 시간 단축, AI 기반 상품 추천 기능 고도화가 이어지면서 GMV 성장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24년 5%에 불과했던 GMV YoY 성장률은 12%까지 상승하면서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률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24년 19.6%까지 감소했던 동사의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 점유율은 올해 20.3%까지 회복할 것으로 보이며, 기존 커머스 유저의 UX/UI 최적화와 신규 광고 인벤토리 확장으로 올해 커머스 광고 YoY 성장세도 14%로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이에 올해 커머스 매출액 전망치를 2% 상향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90,000원 -> 310,000원[상향]
CJ(001040): 글로벌 사업 확장과 신성장 동력 확보 분석 등에 상승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연결 자회사인 CJ제일제당, CJ푸드빌, CJ ENM, CJ 대한통운 등의 글로벌 사업 확장과 OTT∙미디어 사업과 바이오∙대체단백질 등 신성장 동력을 확보했다고 분석. 특히, 4대 핵심 사업(식품/식품서비스, 생명공학, 물류/신유통, 엔터테인먼트/미디어)으로 다각화된 사업 구성과 우수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갖추고 있고, CJ제일제당(북미∙유럽 K-푸드 확산 및 슈완스 인수 효과, 헝가리∙미국 신규 공장 투자 진행), CJ푸드빌(미국 뚜레쥬르 매장 확대, 조지아주 생산공장 건설로 현지화 가속), CJ ENM(글로벌 콘텐츠 경쟁력 강화, 미국 내 제작 역량 확대), CJ대한통운(글로벌 스마트 물류 투자, 베트남∙인도 시장 공략)등 글로벌 사업 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가능하다고 설명.
▷아울러 4대 성장엔진(Culture, Platform, Wellness, Sustainability) 중심 선택과 집중을 통해 혁신 성장(CJ ENM의 OTT∙미디어 사업 확장, CJ제일제당의 바이오∙대체 단백질 사업 진출, CJ대한통운의 친환경 물류 및 AI 기반 물류 시스템 확대)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해가고 있고,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개선된 영업실적을 바탕으로 올해도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또한, 자회사를 통한 배당수익, 로열티, 임대수익 등 다양한 수익 기반 및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하고 있어, 동사의 지속적인 배당 가능성과 함께 추가적인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135,000원[신규]
한화엔진(082740): 2,160억원 규모 선박용 엔진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160.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5.3%) 규모 공급계약(선박용 엔진) 체결(계약기간:2025-03-05~2029-06-03) 공시.
HD현대마린솔루션(443060): 최근 주가 하락에 따른 상승여력 확보 분석 등에 상승
▷KB증권은 전일 동사에 대해 지난 1월22일에 투자의견을 기존 Buy에서 Hold로 하향조정한 가운데, 투자의견 하향조정 이후 동사의 주가는 32.4% 하락했고, 이는 같은 기간 조선 Big3(현대, 한화, 삼성)의 평균 상승률 22.7%를 크게 하회한 수치라고 밝힘. 이는 지난해 10월 이후 지속적 상승에 따른 밸류에이션 부담과 2대주주의 지분 일부 매각에 따른 수급상의 우려 등이 반영된 결과지만, 이러한 주가하락으로 인해 가격 메리트가 확대되어 다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고 밝힘.
▷아울러 글로벌 경제의 성장에 따른 선복량 증가와 이중연료엔진이나 암모니아 또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의 도입증가로 중장기 성장성은 견조하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HOLD -> BUY[상향], 목표주가 : 200,000원 -> 175,000원[하향]
금양(001570): 불성실공시법인 및 관리종목 지정 속 코스피200 퇴출 등에 급락
▷지난 4일 장 마감 후 공시번복(유상증자결정('24.09.27)의 철회('25.01.17))에 따른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및 관리종목 지정 공시. 이에 3월5일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아울러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에 따라 유가증권시장 상장 종목 중에서 우량한 기업들을 모아놓은 ‘코스피 200’에서도 퇴출됐음.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대진첨단소재(393970):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9,000원을 상회한 17,83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중. 한편, 동사는 2차전지 공정용 소재 전문업체로, 주요 제품으로는 배터리 제조공정 중 활성화 공정내 배터리 셀의 이동간 이물방지와 정전기 관리, 화재위험 방지 등에 필수적인 '대전방지 트레이', 배터리 제조 공정 중 스태킹 공정내 분리막의 이물관리와 대전방지기능이 부여된 'PET 이형필름', CNT의 개질분산 기술을 활용하여 영구적인 대전방지 기능을 구현한 대전방지 '코팅액' 등이 있음.
퓨리오사AI 관련주: 국회서 퓨리오사AI 매각 관련 질타 부재 소식 속 급등
▷전일 언론에 따르면, 윤건수 DSC인베스트먼트의 대표와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참고인으로 출석했지만, 부정선거 음모론 등 정치 관련 이슈로 주로 논의되면서 백준호, 윤건수 대표에게는 질의가 몰리지 않았다고 전해짐.
▷특히, 정동영 민주당 의원으로부터 "메타·TSMC가 (퓨리오사AI의) 인수 의향을 보이는 것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라는 질문에 윤건수 대표는 "굉장히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까지는 한국 자본으로 키울 수 있지만, 그 이상은 한계가 있다"고 언급. 이어 "회사 가치가 커지면 외국계 자본에 인수되거나 투자를 많이 받는 경향이 있다"며, "(이를 막고 싶다면) 한국의 모험자본 시장이 지금보다 더 많이 커져야 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DSC인베스트먼트, 엑스페릭스, TS인베스트먼트 등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DSC인베스트먼트, 엑스페릭스, TS인베스트먼트
제이투케이바이오(420570): 신규 원료물질 개발 라이브러리 플랫폼 론칭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신규 원료물질 발굴을 위한 라이브러리 플랫폼 'J2K METABIOME.ai(제이투케이 메타바이옴 에이아이)'을 론칭했다고 밝힘. J2K METABIOME.ai는 다양한 미생물과 물질을 조합해 인체에 흡수가 빠르고 효능이 뛰어난 신규 원료물질을 발굴하는 플랫폼이며, 해당 플랫폼을 통해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사업 경쟁력을 높일 계획. 아울러 이번 플랫폼 론칭을 통해 신규 개발한 원료 물질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향후 인공지능(AI) 기술도 도입할 예정.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J2K METABIOME.ai를 통해 보다 혁신적인 신규 물질을 발굴하고, 관련 물질에 기반한 신제품 개발을 통해 화장품 원료 사업의 성장을 주도해 나가겠다"며 "향후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 등 다양한 산업군에도 적용을 확대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힘.
유라테크/프럼파스트/대주산업: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대통령 집무실 세종시 이전 검토 지시 소식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강세
▷언론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지도부 회의에서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 가능성을 검토해 보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짐. 지난주 금요일 확대간부회의 비공개회의에서 이 대표가 대통령실 세종 이전에 대해 관련 지역구 의원에게 현황파악을 당부했다며, 단순하게는 차기 대통령 집무실 이전부터, 노무현 정부가 추진했던 행정수도 이전 차원까지 민주당의 로드맵을 전체적으로 정리해 달라는 주문이었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세종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유라테크, 세종시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프럼파스트, 세종시 인근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대주산업 등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유라테크, 프럼파스트, 대주산업
클래시스(214150): 볼뉴머, ‘2025 한국소비자 평가 최고의 브랜드’ 대상 선정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비침습 모노폴라 고주파(RF) 기기 볼뉴머가 지난 5일‘2025 KCAB 한국소비자 평가 최고의 브랜드’ 시상식에서 레이저 리프팅 의료기기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힘. 레이저 리프팅 의료기기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한 볼뉴머는 고주파 열에너지를 피부 진피층에 전달, 피부 속조직을 응고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기기이며, 2025년은 성장하는 볼뉴머의 열풍을 이어 가며 유럽 시장으로 확장하여 글로벌 시장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
SAMG엔터(419530):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1,405억원(+20.7%, YoY), 영업이익 177억원(흑전, YoY)으로 실적 턴어라운드를 예상. 이는 IP 확장으로 인한 탑라인 성장과 더불어, 비용 구조 개선으로 인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기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동사는 캐릭터 IP 산업을 영위하는 업체로 희석주식수 감안 시 2025F PER 19.7배, 2026년 13.1배로, 글로벌 캐릭터 IP Peer3사(Bandai Namco, Sanrio, Walt Disney) 29.7배 대비 저평가 국면에 놓여있다고 설명.
▷한편, 동사는 에스엠엔터테인먼트와 MOU를 체결했으며 지속적으로 에스엠의 여러 아티스트와 동사 다수 IP간 협업콘텐츠 및 MD를 출시할 예정. 특히, 시너지를 통해 아이돌 주요 소비층인 MZ세대로 소비 연령층 확대가 기대되며 이는 곧 동사 IP의 트렌드 강화로 이어질 전망.
더블유에스아이(299170): 자회사 이지메디봇, 의료용 로봇 미국에 이어 유럽 특허출원 완료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이지메디봇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로봇 자궁 거상기 '유봇(U-BOT)'의 특허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서도 출원했다고 밝힘. 이번에 출원한 특허는 '자궁거상기, 이를 포함하는 자궁 거상기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자궁 거상기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며, 이지메디봇은 미국, 유럽 각 2건씩 총 4건의 특허를 출원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2025년 제품 상용화 및 등록 완료 후 유럽 안전인증(CE)과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증을 준비할 계획"이라며, "이번 특허 출원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을 더욱 강화했다"고 밝힘.
펨트론(168360): 올해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반도체 검사장비 매출 증가로 2025년 실적은 매출액 941억원(+65.2% YoY), 영업이익 78억원(흑자전환 YoY)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 2024년 반도체 검사장비의 매출 비중이 14%대로 낮았지만, 2025년에는 매출 비중이 31%까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추정.
RFHIC(218410): 이탈리아 방산기업 '레오나르도'와 약 7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이탈리아 최대 방산업체이자 글로벌 방산기업인 레오나르도(Leonardo S.p.A)와 한화 기준 약 70억원 규모의 레이더용 고출력 전력증폭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을 통해 동사는 자사의 GaN(질화갈륨)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고출력 전력증폭기를 레오나르도의 차세대 레이더에 공급하며, 2025년 말까지 전량 납품을 완료할 예정.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본 계약은 당사의 GaN 기술이 해외 방산 시장에서도 인정받고 있음을 의미하며, 유럽 및 글로벌 시장 확대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힘.
듀켐바이오(176750): 치매 진단 시장 성장으로 올해 매출 600억원 전망 등에 상승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제조/판매 전문 기업으로, 치매 진단 시장 성장으로 올해 매출 60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 올해 기준 처방수 56,000도즈까지 확대가 기대되며, 180억의 매출 상승으로 600억원 매출이 기대된다고 분석. 이어 변동비는 로열티로 구성, 영업이익 200억원 이상 확보가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 레켐비, 2026년과 27년 사이 키순라 처방으로 진단시장 성장이 기대된다고 언급. 전체 9만 도즈 생산 시 360억원 매출 발생, 2027년 증설분 포함 시 21만 도즈로 최대 840억원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미코(059090): 지난해 호실적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404.08억원(전년대비 +39.51%), 영업이익 948.19억원(전년대비 +349.14%), 순이익 762.87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회사 측은 언론을 통해 "2024년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기차 등 첨단산업에서 반도체 수요의 큰 폭 증가에 기인했다"며, "반도체 세라믹파우더의 매출 증가, 특히 신사업은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 장비 부품의 매출 증가를 기록했다"고 설명.
모비데이즈(363260): 4년 연속 '구글 프리미어 파트너사' 선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2025년 구글 파트너 프로그램'에서 최상위 등급인 '2025 구글 프리미어 파트너'로 선정됐다고 밝힘. 구글 프리미어 파트너는 매년 국가별 상위 3% 이내 파트너사에만 부여되는 구글 파트너 프로그램의 최상위 등급이며, 동사는 구글 광고 운영 전문성을 통한 캠페인 성과 극대화와 실적의 성장세를 인정받아 지난 2022년 프리미어 등급 시행 이후 4년 연속 '프리미어 파트너'로 선정된 것임.
▷이와 관련, 이광수 마케팅 사업 부문 대표는 "구글 프리미어 파트너사에 4년 연속 선정된 것은 동사가 그간 쌓아온 캠페인 운영 역량과 전문화된 서비스의 결과"라며 "앞으로 구글과의 파트너십을 한층 강화하고, AI(인공지능) 기반의 에드테크 솔루션 고도화로 고객사의 지속적인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밝힘.
AP위성/에치에프알: 5G 기반 ‘지상·비지상 통신’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AP위성은 언론을 통해 에치에프알(HFR)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5(MWC 2025)에서 5G 기반 지상·비지상 통신시스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을 통해 위성과 지상 네트워크를 연계한 차세대 이동통신망 상용화를 공동 추진하며, MSS 네트워크 및 단말 프로젝트, 5G특화망솔루션의 적용, 해외 시장 확대 및 마케팅 협력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
▷이와 관련, 이성희 AP위성 대표는 “비지상 통신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할 것“이라며, “HFR과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5G 위성통신 시대를 앞당기겠다”고 밝힘.
[종목]: AP위성, 에치에프알
토비스(051360): 올해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도는 카지노 사업의 안정적 성장을 통한 수익성 확보와 전장사업부 CAPA 증설과 신규 고객사 및 모델 양산 본격화로 외형 확대 견인할 것으로 전망. 지난 12월 신규 시설투자 공시를 통해 서천공장 전장용 디스플레이 모듈 생산 CAPA를 1,000~1,500억원 규모로 추가 확보 예정이라고 밝힘. 이에 2025년 매출액은 7,326억원(YoY +17.4%), 영업이익은 721억원(YoY +23.5%)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또한, 중국 대련 공장(CAPA 3,000억원)은 지난 3Q24 내수 소비 부진에 따라 양산 물량이 기대 대비 저조했으나, 25년 하반기 신규 모델 양산 예정임에 따라 우려 보단 회복에 대한 가능성을 고려해야할 시점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에이프릴바이오(397030): 파트너사 임상 성공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단기 모멘텀 없지만 임상은 성공할 것으로 전망. 특히, 이제는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임상 성공에 베팅할 때이며, 이르면 올해 3분기에 룬드벡이 APB-A1의 갑상선안병증(TED) 환자 대상 임상 1b 상 중간 결과를 발표할 전망인데, 정성 평가 결과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 TED 발병 기전에 CD40/CD40L 신호전달이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 임상 적용 근거, 그리고 노바티스의 이스칼리맙 임상 결과를 참고해 분석한 결과이며, 효능 발현 속도도 경쟁약인 테파자와 유사할 것으로 추정.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3,000원 -> 35,000원[상향]
모티브링크(463480):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17.38억원(전년대비 -25.54%), 영업이익 17.21억원(전년대비 -61.90%), 순이익 17.53억원(전년대비 -58.78%).
SOOP(067160): 숏폼 확산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위축 전망 속 투자의견 매도 등에 약세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숏폼 유행 본격화에 따른 도파민 중독이 라이브 스트리밍 산업을 쇠퇴기로 이끌고 있다며, 트래픽 감소에 따른 탑라인 성장성 둔화가 불가피하다고 밝힘. 4분기 평균 MUV는 600만명(-17% YoY)으로 감소세가 가속화되었으며, 이는 1년만에 120만명이 감소한 수치라고 설명. 치지직과의 경쟁에서 뚜렷한 트래픽 우위를 보여주고 있지 못하기에 MUV는 1분기에도 YoY 10% 이상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Trading Buy -> 매도[하향], 목표주가 : 140,000원 -> 82,000원[하향]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