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3.07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3-07 13:25
조회수 :
222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철강 주요종목, 건설 대표주, 석유화학, 탄소나노튜브(CNT), 캐릭터상품, 카지노, 여행, 시스템반도체, 홈쇼핑, 2차전지(전고체), PCB(FPCB 등), 모듈러주택, SI(시스템통합), 면세점, 리튬, 폐배터리, 2차전지(생산), 육계, 콜드체인(저온 유통),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반도체 재료/부품, 갤럭시 부품주, 3D 낸드(NAND), 면역항암제,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비만치료제, 페라이트, 2차전지(소재/부품) 등...


약세 테마: 인터넷 대표주, 딥페이크(deepfake), 전선, 조선, 미용기기, 영화,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강관업체(Steel pipe),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자동차 대표주, AI 챗봇(챗GPT 등), 통신장비,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전력설비,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해운,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전자결제(전자화폐), 희귀금속(희토류 등), 드론(Drone), 은행 등...

 

 

 

 

<특징 테마> 

철강: 주요종목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현대제철에 대한 보고서에서 철강 업황에 대해 중국산 후판 반덤핑 관세 부과 및 중국의 철강 생산 감축을 통한 구조조정 그리고 중국의 경기부양에 의한 업황 개선을 전망. 특히,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철강 생산량 관리 및 산업 구조조정 발언에 조강 생산량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산업 구조조정과 규모 축소를 추진할 계획이 포함됐으며, 감축 규모를 명시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30년까지 1.5억톤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

▷한편, 중국은 전국인민대표회의 첫날 정부공작보고에서 올해 GDP 성장률 목표를 5% 내외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부양책도 발표. 부양책에는 GDP 대비 4%라는 역대 최고 수준의 재정 적자율, 1.3조위안 규모의 초장기 특별국채, 4.4조위안의 지방정부 특수목적채권 발행 등이 포함. 작년부터 이어지고 있는 경기 부양책은 올해 중국 철강 수요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현대제철, POSCO홀딩스, 포스코스틸리온, 세아베스틸지주 등 철강 주요종목 테마가 상승.

 


中 소비 관련주: 봉준호 감독 영화 '미키17' 中 개봉 속 한한령 해제 기대감 및 中 경기 부양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중국 문화계와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봉준호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영화 '미키 17'(중국명 '볜하오<編號> 17')은 이날 중국 전국 영화관에서 정식 상영을 시작했다고 전해짐. 미키17은 지난 2일 베이징에서 시사회가 열렸고, 동시에 중국 7개 도시에서 사전 상영됐다고 알려짐. 이에 시장에서는 중국이 2016년부터 비공식적으로 적용중인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을 완화하는 수순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음.

▷아울러, 중국은 올해와 내년 각각 한국과 중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개최를 앞두고 이르면 이번 달 한국에 문화사절단을 파견할 것으로 전망. 이에 시장에서는 중국이 문화 개방을 통해 상반기 내 드라마, K팝, 영화 등의 유통을 허용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음.

▷한편, 지난 4일부터 中 양회가 개최되고 있는 가운데, 리창 총리는 전인대 업무보고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지난해와 같은 5% 안팎으로 설정하고 경기 부양책을 발표,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 기대감이 지속되는 모습. 중국 정부는 우선 올해 재정적자율을 GDP의 4%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으로 이는역대 최대 수준. 또한, 중국 정부는 1조3,000억위안(약 260조원) 규모의 초장기 특별국채를 발행하며, 이 가운데 3,000억위안(약 60조원)은 소비 활성화를 위해 이구환신 정책에 배정할 예정. 지방정부 채무 상환 등을 위해 4조4,000억위안(약 880조원) 규모의 특별채권도 발행하며, 국영은행의 자본금 확충을 위해5,000억위안(약 100조원) 규모의 특별국채도 따로 발행해 기업과 가계에 더 많은 대출을 제공하기로 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스튜디오미르, 와이랩, JYP Ent., 에스엠, 덱스터, 미스터블루 등 영상콘텐츠/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웹툰 테마, 클리오, 잇츠한불 등 화장품, 롯데관광개발, 파라다이스, 참좋은여행, 모두투어 등 여행/카지노, 롯데케미칼, LG화학, 대한유화, 금호석유, 이수화학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美 브로드컴 호실적 발표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 장 마감 후 브로드컴은 회계연도 1분기(2024년 11월∼2025년 1월) 149억 2,000만달러의 매출과 주당 1.60달러의 조정 EPS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음. 이는 시장 예상치인 매출액 146억 2,000만달러, EPS 1.51달러를 모두 웃돈 수치로, 전년동기대비 EPS는 45%, 매출은 25% 증가. 또한, 브로드컴은 2분기 매출 전망을 149억달러로 제시하며 전년동기대비 19%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는 시장 예상치였던 147억1,000만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임.

▷이와 관련, 호크 탄 브로드컴 최고경영자(CEO)는 "AI 반도체와 인프라 소프트웨어 사업이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며, "1분기 AI 반도체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77% 증가한 41억달러를 기록했고 인프라 소프트웨어 매출도 47% 증가한 67억달러를 달성했다"고 언급. 이어 "2분기에도 AI 반도체 매출이 44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이퍼스케일 기업들의 AI XPU 및 데이터센터 연결 솔루션 투자 확대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힘.

▷이에 정규장 거래에서 6.33% 하락하며 179.45달러에 거래를 마친 브로드컴 주가는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거래에서 12.82% 급등 마감.

▷이 같은 소식 속 퀄리타스반도체, DB하이텍, 리노공업, 케이씨텍, 하나머티리얼즈, 아이에이, 에이직랜드 등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등 테마가 상승.

 


유리 기판: 삼성전자, 유리 인터포저 개발 착수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이 차세대 패키징 소재인 ‘유리 인터포저’ 개발에 착수했다고 전해짐. 최근 삼성전자는 유리 인터포저를 개발하기 위해 소재 회사 켐트로닉스, 장비기업 필옵틱스로부터 합동제안서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음. 삼성전자는 코닝의 유리를 활용해 이들 회사에게 유리 인터포저 생산을 맡기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짐. 삼성전자가 삼성전기의 유리기판에만 의존하지 않고 직접 유리 인터포저까지 개발하는 배경에는 적극적인 내부 경쟁을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겠다는 의지가 깔렸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켐트로닉스, 필옵틱스를 비롯해 나인테크, 피아이이, 기가비스 등 유리 기판 테마가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폴란드 대통령, 한국산 무기 극찬 및 유럽 방위비 확대 수혜 기대감 속 일부 관련주 상승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본부를 찾아 한국산 무기를 공개 호평을 한 것으로 전해짐. 두다 대통령은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과 공동 기자회견에서 폴란드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미국·한국산 무기를 대규모 구매한 것을 언급. 두다 대통령은 "우리가 왜 한국산 무기를 샀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 파트너들이 굉장한 최신 무기를 수개월 안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고 밝힘. 이어 폴란드가 구매한 한국의 K2 주력전차, K9 자주포 및 다연장 로켓인 천무의 명칭도 일일이 호명하면서 "한국산 무기는 주문한 뒤 배송되기까지 시한이 1년"이라며 "유럽의 다른 파트너들의 경우 인도까지 수년이 걸린다고 했다"고 언급.

▷최근 유럽에서 자강론이 힘을 받는 가운데, 유럽연합(EU)은 회원국들의 국방비 증액을 촉진하기 위해 재정준칙 적용을 한시적으로 유예하고 EU 예산을 담보로 1,500억 유로(약 230조원)의 대출을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 중임. 이에 유럽 각국이 요구하는 '시급성'을 고려하면 한국 방위산업에도 유럽 수출 확대 기회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한화시스템, 풍산, 비츠로테크, 한화, 휴니드 등 일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美 민간 달 탐사선, 달 착륙 속 상태 파악 불가 및 스페이스X, 스타십 8차 시험 발사 실패 등에 하락
▷AP통신과 CNN 등 보도에 따르면, 미국 민간 우주기업 인튜이티브머신스(IM)의 달 탐사선 '아테나'는 6일(현지시간) 달 남극에서 약 160㎞ 떨어진 고원 '몬스 무턴'(Mons Mouton) 지역에 착륙을 시도했으나, 이후 교신에 문제가 생겨 어떤 상태로 착륙했는지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IM의 스티브 알테무스 CEO는 "아테나가 목표 착륙 지점 인근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도 "사전에 지정한 착륙 타원지(landing ellipse) 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는 아직 모르겠다"고 밝힘.

▷아울러 6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달·화성 탐사를 목표로 개발한 대형 우주선 스타십(Starship)의 8차 지구궤도 시험비행이 또다시 실패로 돌아갔음. 스페이스X는 6일(현지시간) 오후 5시 30분(미 중부시간) 미국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스타십을 발사했으며, 발사 후 약 3분 만에 스타십의 1단 로켓 부스터와 2단 우주선이 순조롭게 분리됐지만, 2단 우주선이 궤도 비행을 이어가다가 갑자기 화면에서 사라졌음. 시험비행을 중계한 스페이스X 엔지니어들은 "스타십이 회전하기 시작한 뒤 자세 제어 기능을 상실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교신이 끊겼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퍼스텍,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인텔리안테크, 이노스페이스, 루미르, 쎄트렉아이, 컨텍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롯데케미칼(011170): 6,500억원 규모 PT LOTTE CHEMICAL INDONESIA 주식 처분 결정 속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주식 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 목적으로 PT LOTTE CHEMICAL INDONESIA 주식 394,900,000주를 6,500.00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후지분율:24.0%, 처분예정일:2025-03-20) 공시.
▷中 경기 부양 기대감 속 석유화학 관련주들이 상승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이마트(139480): 1분기 호실적 전망 및 홈플러스 반사이익 기대감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427억원(+956억원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내수 소비심리 부진에도 불구하고, 할인점과 SCK컴퍼니 중심의 전사 고정비 절감, G마켓글로벌의 지분법 손익 분류에 따른 영업적자 및 PPA 상각비 축소(257억원) 등에 기인한다고 언급.
▷또한, 주력 경쟁사(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개시와 영업력 약화에 따른 반사 수혜도 기대된다고 밝힘. 경쟁사가 유동성 악화와 주요 공급 업체에 대한 협상력 약화로 인해 시장 점유율 하락이 불가피 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라고 분석.
▷투자의견 : Marketperform -> BUY[상향], 목표주가 : 68,000원 -> 130,000원[상향]

 

유안타증권(003470): 최대주주 장내매수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등 소유주식변동신고서 전자공시. 최대주주인 Yuanta Securities Asia Financial Services Private Limited가 10,500주(0.01%)를 장내매수했다고 밝힘.
▷아울러 보통주 1주당 200원(시가배당율 7.8%), 종류주 1주당 250원(시가배당율 8.7%)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PI첨단소재(178920): 중화권 수요 회복 및 AI 시장 확대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 607억원(+10% QoQ, +17% YoY), 영업이익 70억원(+160% QoQ, +183% YoY), opm 12%으로, 시장 컨센서스(66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연말 재고 조정 이후 고객사들의 재고 축적 수요가 재차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 효과에 힘입어 중화권 중심의 수요 회복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1월 중화권 OEM 업체들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2,900만대(+41% YoY, +18% YoY)로 급증한 가운데, 1분기에 방열시트용 PI 필름의 장기공급 계약 또한 완료될 것으로 전망. 올해 장기공급 계약의 규모는 지난해 대비 약 25% 성장하며, AI 디바이스 시장 확대와 함께 방열시트용 PI 필름의 수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2분기 매출액 771억원(+27% QoQ, +5% YoY), 영업이익 171억원(+144% QoQ, -4% YoY), opm 22%으로, 초극박 PI 필름의 신규 공급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하반기 아이폰17 에어(가칭) 모델의 출시가 예정된 가운데, 동사의 초극박 PI 필름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 초극박 PI 필름은 동사를 포함한 두 업체만 생산 가능한 진입 장벽이 높은 제품으로, 일반 PI 필름 대비 ASP가 약 2.5배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4,000원[유지]

 

STX엔진(077970): 837.74억원 규모 호주 레드백 장갑차용 디젤엔진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PENSKE AUSTRALIA PTY LTD와 837.7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29%) 규모 공급계약(호주 레드백 장갑차용 디젤엔진) 체결(계약기간:2025-03-06~2027-12-31) 공시.
▷이와 관련, 이상수 동사 대표는 "이번 협력은 STX엔진의 기술력이 국제적으로 신뢰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맞춤형 동력 솔루션을 통해 해외 방산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농심(004370): 2분기부터 가격 인상 효과 본격화 전망 등에 소폭 상승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부터 가격 인상 효과가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올해 연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조 7,372억원(+8.7% yoy), 2,119억원(+29.9% yoy)으로 전망되며, 가격 인상분을 반영하여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대비 14.7% 상향했다고 설명. 특히, 시장 내 기존 재고를 고려하면 2분기부터 가격 인상 효과가 본격화 될 전망이며, 가격 인상 적용 제품의 매출 비중이 약 71%이고, 유럽과 동남아 등 수출 제품은 제외되었음을 고려하면 이번 가격 인상으로 올해 국내 매출이 약 780억원, 영업이익은 270억원 증가하는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
▷한편, 미국을 비롯한 각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라 향 후 미국과 중국 등 해외 법인의 제품 가격 인상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파악. 이는 중국 법인은 일부 원재료를 미국에서 조달하고 있으며, 미국 법인에서도 캐나다 등으로 제품을 수출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50,000원 -> 500,000원[상향]

 

유한양행(000100): 간질환 치료제 후보 물질 기술 반환 소식에 하락
▷베링거인겔하임과 체결한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舊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 기술이전 계약 해지 및 권리 반환 공시. 해당 계약의 최대 기술수출금액은 US$ 870,000,000이나, 동사는 총 US$ 50,000,000를 수령하였으며, 기 수령한 계약금 및 마일스톤 US$ 50,000,000는 반환하지 않는다고 설명.
▷한편, 동사의 자회사 면역항암제 개발 전문기업 이뮨온시아는 언론을 통해 한국거래소의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이뮨온시아는 증권신고서 제출을 위한 준비를 마친 후 본격적인 기업공개(IPO) 절차에 돌입할 예정.

 

삼부토건(001470): 회생절차개시 결정 속 거래재개 첫날 하한가
▷전일 장 마감 후 서울회생법원으로부터 회생절차 개시결정 공시. 이에 회생절차개시를 신청했던 지난달 24일부터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엠디바이스(226590):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8,350원을 상회한 18,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중임. 한편, 동사는 SSD 전문업체로, 메모리 반도체(DRAM, NAND)와 시스템 반도체(SSD Controller)가 결합된 SSD(Solid State Drive)를 설계-제조-조립·검사-판매·유통의 전과정을 직접 수행하며 기업용 SSD, 소비자용 SSD, BGA(Ball Grid Array) SSD 등 SSD 관련 모든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시노펙스(025320): 국내 5개 상급병원서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 테스트 성공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5개 상급병원에서 혈액투석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환자 사용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힘. 이번 임상시험은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국내 5개 상급 병원에서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투석)기 품목허가 후 4차 환자임상으로 진행됐으며, 특히 동사의 '시노플럭스' 성능 테스트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업의 최고 등급 제품과 비교평가를 함께 진행했음. 이번 임상 데이터를 집계 분석한 후 향후 공식 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
▷동사 인공신장사업부 이진태 본부장은 "국산 제품으로 처음 진행한 환자 적용 임상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며, "결과는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김동기 교수팀을 중심으로 임상을 진행한 5개 상급병원과 CRO 업체 데이터 집계와 분석, 논문 작성 과정을 거쳐 향후 국제적 학술지를 통해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어 "이번 환자 임상 최종 결과가 나오면 국책과제로 개발한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가 글로벌 제품과 동등한 수준 품질과 기술력을 확보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현재 국내외 시장에서 진행 중인 마케팅 활동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밝힘.

 

대원산업(005710): 지난해 호실적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314.73억원(전년대비 +19.62%), 영업이익 749.82억원(전년대비 +58.50%), 순이익 725.33억원(전년대비 +102.94%).
▷보통주 1주당 200원(시가배당율 3.3%)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바이젠셀(308080): 식약처, 급성골수성백혈병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VT-Tri' 치료목적 사용승인 소식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개발중인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VT-Tri’가 지난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AML) 환자에 대해 치료목적 사용승인을 받은 것으로 전해짐. 치료목적 사용승인은 생명이 위급하거나 중대한 상황에 처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치료옵션이 없는 환자에 한해 연구개발 중인 약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제도이며, VT-Tri는 동사의 암 항원 특이적 세포독성 T세포(CTL) 치료제 플랫폼 ‘바이티어(ViTier™)’를 적용해 개발중인 치료제임.

 

투비소프트(079970): 주요주주 특별관계자 장내매수 속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주식 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전자공시. 주요주주인 벨에어조합2호의 특별관계자가 431,020주(3.94%)를 장내매수했다고 밝힘.

 

에스엠씨지(460870): 스팩합병 상장 첫날 강세
▷금일 키움제7호스팩과의 스팩합병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가 강세를 기록중임. 한편, 동사는 포장용 유리용기 제조업체로 유리용기 기반의 화장품용 용기 전체 패키지(Full package)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중임.

 

엘티씨(170920): 지난해 흑자전환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769.73억원(전년대비 +144.33%), 영업이익 241.84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44.29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위메이드 그룹주: 위믹스 해킹 관련 후속 조치 발표에 상승
▷위메이드는 위믹스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WEMIX 재단 보유 물량으로 탈취된 WEMIX 수량을 전량 복구한다고 밝힘. 지난달 28일 위믹스 플레이 브릿지 볼트가 해킹당하는 사고가 발생한 지 6일 만으로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WEMIX 시장 매수도 추진한다고 발표. 앞서 위믹스 플레이 브릿지 볼트의 해킹 피해액은 당시 시세 기준 약 90억원으로 추정되고 있음.
▷이와 관련, 위메이드는 “투자자 보호책의 일환으로 단기 시세 차익 거래자가 아닌 WEMIX 보유자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구체적인 계획은 추후 안내드리겠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 등 위메이드 그룹주가 상승.
[종목]: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

 

이노시뮬레이션(274400):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육군용 무기체계운용 훈련개발 계약 체결에 상승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11.4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8%) 규모 공급계약(육군용 무기체계운용 훈련개발) 체결(계약기간:2025-03-05~2028-04-28) 공시.

 

피에스케이(319660): 매출성장 지속 전망 등에 소폭 상승
▷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매출액 800억원(YoY +2.9%, QoQ-24.0%), 영업이익 171억원(YoY -19.8%, QoQ +33.4%. OPM +21.4%), 2025년 연간 매출액 4,170억원(YoY +4.7%), 영업이익 905억원(YoY+5.1%, OPM +22%)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지역별로 지속적인 중국의 비중 축소에 따른 매출 감소 우려가 있으나,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고객의 개선이 예상. 특히, 국내 전방산업의 하반기 업황 개선 기대감 및 파운드리 향 물량 증가로 인한 전년대비 매출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한편, 최근 섹터의 주가조정으로 인한 멀티플 하락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25,000원으로 하향조정하나, 24년 연말에 완료 예정이었던 Metal Etch의 개발완료는 2025년에 완성도 높은 성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장비의 연구개발이 진행 중으로 외형 확대에 대한 기대감은 유효하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9,000원 -> 25,000원[하향]

 

일진파워(094820): 163.20억원 규모 혁신형SMR종합효과시험장치 제작 및 설치 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한국원자력연구원(재)와 163.2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8.55%) 규모 공급계약(혁신형SMR종합효과시험장치제작및설치) 체결(계약기간:2025-02-25~2026-12-31) 공시.

 

피아이이(452450): 신규 산업 분야 성과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배터리 산업 외 신규 산업 분야의 성과가 기대된다고 밝힘. 동사는 기존 이차전지 기업들 외에도 올해부터는 자동차, 제약, PCB, 반도체 등으로 고객사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각 산업 주요 고객사와 현재 스펙 협의 및 PoC 단계가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분석.
▷또한, 올해 내로 초음파, X-ray/CT 검사와 같은 비파괴 검사 솔루션 상용화도 기대된다고 밝힘. 유리기판 산업 내에서도 동사의 솔루션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유리기판의 관통 공정 시 전수 검사 및 유리 인터포저의 기포를 통한 균열 검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한편, 차별화된 실적과 신규 산업 진출을 통한 중장기 성장성을 주목하나, 상장 이후 높아진 단기 주가 변동성에 대한 유의가 필요하다고 밝힘.

 

중앙첨단소재(051980):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86.91억원(전년대비 -28.91%), 영업손실 77.98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771.91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이와 관련, 경기불황에 따른 수주감소 및 예정되었던 납품지연으로 매출 감소했다고 밝힘. 이어 매출감소로 고정비를 충당할 수 있는 마진을 확보하지 못하였고 이익율이 높은 사업의 수주감소에 따라 영업이익이 적자로 전환되었고 파생상품 평가를 반영하여 손손실이 증가했다고 밝힘.

 

한일단조(024740):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393.79억원(전년대비 -21.77%), 영업이익 82.88억원(전년대비 -45.35%), 순이익 66.85억원(전년대비 -13.83%).

 

에이치브이엠(295310):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454.54억원(전년대비 +9.64%), 영업손실 70.59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84.79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