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3.10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3-10 13:22
조회수 :
215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정유, 반도체 대표주(생산), 인터넷 대표주, 사료, 2차전지(생산), 윤활유, LPG(액화석유가스), 카카오뱅크(kakao BANK), 유리 기판, 손해보험, 생명보험, 스마트카(SMART CAR), 남-북-러 가스관사업, 미용기기, 철강 중소형, 강관업체(Steel pipe),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보톡스(보툴리눔톡신), LED장비, 전자결제(전자화폐), 건설 대표주,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비만치료제, AI 챗봇(챗GPT 등), 비철금속 등...

 

약세 테마: 일자리(취업), 영화, 철강 주요종목, 모듈러주택, 피팅(관이음쇠)/밸브, 탄소나노튜브(CNT), CCTV&DVR, 면역항암제,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카메라모듈/부품, 캐릭터상품, 원자력발전, 제대혈, 우크라이나 재건,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타이어,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초전도체, 소매유통,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석유화학, 유전자 치료제/분석, 건설 중소형, 조선 등...

 

 

 

 

<특징 테마>  

정유: 러시아 대형 정유소 시설 손상 소식에 상승
▷지난 주말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 인근에 있는 대형 정유공장인 키리시 정유소의 시설이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 시도로 손상된 것으로 전해짐. 알렉산드르 드로즈덴코 레닌그라드주 주지사는 텔레그램에서 "방공부대가 공장 근처로 다가오는 드론 1대를 격추했고, 다른 1대는 공장 상공에서 파괴했다"고 밝힘. 이어 드로즈덴코 주지사는 "드론 파편이 추락하면서 정유공장의 저장탱크 외부 구조에 손상이 갔다"고 언급했음. 한편, 키리시 정유소는 연간 2만t 규모를 처리할 수 있는 러시아 2대 정유소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S-Oil, Sk이노베이션, GS 등 정유 테마가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약 9조원 규모 K2 전차 폴란드 2차 수출 계약 체결 기대감 및 신냉전 돌입에 따른 방위비 지출 확대 본격화 전망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9조원에 달하는 K2 흑표 전차의 폴란드 2차 수출 계약이 이르면 내달 체결될 것으로 전해짐. K2 전차 폴란드 2차 수출 계약 규모는 2022년 8월에 체결된 1차 계약 때와 마찬가지로 180대로, 금액으로는 60억 달러대(약 9조원)로 알려졌으며, 수출 계약이 최종 성사되면 폴란드와의 방산 협력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BNK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분쟁의 강도는 심화되고 있고 잠재적 요인도 많은 상황이라며, 몇몇 전쟁이 종전되더라도 신냉전 돌입으로 인해 군사적 긴장과 군비 경쟁은 심화될 것으로 분석. 특히, 미국의 저관여 정책은 각국의 방위비 지출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힘. 한국의 방산 수출 수주는 ’24년 100억 달러 미만, ‘25년으로 이연된 수출 수주 물량은 약 94억 달러로 추산된다며, ’25년 방산 수출 수주는 지난해 이연된 수주를 감안할 때 사상최고치 경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방산 수출 수주가 3년차부터 수출로 반영된다고 가정해서 추정해보면 2027년 점유율 6%를 넘어서면서 글로벌 무기수출 4위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국내 방산 5개사는 역대 최고치 실적을 경신했다며, ’24년 매출액 +18%, 영업이익 +100% 성장했다고 밝힘. 높아진 수익성대비 대체로 저평가 상황으로 판단된다며, PER로는 현대로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저평가, PBR로는 국내 방산 5사 모두 저평가 영역에 있다고 분석.

▷이에 금일 한화, 한화시스템, 대성하이텍, 한국항공우주, 쎄트렉아이, 현대로템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음식료업종/ 사료: 中 정부, 美 농산물 관세 부과 및 美 계란 가격 폭등 영향 등에 상승
▷중국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10+10%'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응해 이날부터 미국산 농축산물을 대상으로 10∼15% 보복 관세를 부과. 미국산 닭고기·밀·옥수수·면화에 대한 관세를 15% 인상하고, 수수·대두·돼지고기·쇠고기·수산물·과일·채소·유제품에 대한 관세는 10% 높일 예정. 또한, 중국 국무원 관세위원회는 오는 20일부터 캐나다산 유채씨오일과 오일케이크, 완두콩에 대해서도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며, 캐나다산 수산물 및 돼지고기에도 25% 추가 관세를 부과할 예정.

▷외신에 따르면, 최근 미국에서는 조류 인플루엔자 여파로 계란 공급이 줄면서 계란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가운데, 유럽과 아시아 국가 등에 계란 수입을 타진하고 있음. 전 세계 2위 계란 수출국인 폴란드를 비롯해 프랑스, 인도네시아 등의 가금류 단체들은 미국 농무부와 현지 미국 대사관으로부터 수출용 계란에 대한 문의를 받았다고 전해짐. 미국이 계란 공급 부족을 해소하려면 앞으로 한두 달 안에 7,000만~1억개의 계란을 수입해야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미래생명자원, 신송홀딩스, 에르코스, 미트박스, 한탑, 케이씨피드 등 음식료업종/사료 테마가 상승.

 


증권: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미래에셋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4일 출범한 대체거래소에서 지난 4일 간 거래된 9개 종목의 합산 거래대금은 동 종목들의 한국거래소 합산 거래대금의 약 30%에 달하며, 점진적인 종목 확대를 거쳐 오는 2분기부터는 총 800여개 종목으로 늘어날 계획인 가운데, 현재의 거래대금 기조가 이어진다면 증권사 입장에서는 전체 거래대금의 약 30% 증가하는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물론 6개월 평균 거래대금이 거래소의 15%를 상회할 경우 거래가 제한되는 규제가 있지만, 반대로 오는 3분기까지는 제한이 없다는 의미이고, 규제도 실제 거래대금을 반영해 완화될 것으로 예상.

▷더욱이 당사 커버리지 증권사들은 전부 모든 시장에 참가하는 14개 증권사가 포함되었으며, 14개 증권사의 3Q24 누적 기준 거래대금 점유율은 73.5%이기 때문에 실제 수혜는 단순히 거래대금이 증가하는 것 이상일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 단기적으로 모든 시장 참가 증권사들 중심의 수혜가 클 전망이라며, 이를 반영해 커버리지 증권사의 2025년 지배주주순이익 추정치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

▷1분기는 증시 환경도 우호적이라고 분석. 작년과 달리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연초 이후 견조한 상승세를 기록 중이기 때문이며, 2월 초에도 월초와 월말 두 차례의 강한 하락이 발생했으나, 그만큼 다시 상승 추세를 되찾는 양상이라는 점은 그만큼 저점 매수에 대한 수요가 강함을 방증한다고 설명. 국내 증시 호조는 직접적으로는 레이팅 및 상품성의 개선을, 그리고 간접적으로는 브로커리지 회복까지도 기대할 수 있는 요인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분석.

▷한편, 언론에 따르면, 김동준 키움프라이빗에쿼티(PE) 대표가 키움증권 등기이사로 선임돼 이사회에 본격 합류하면서 2세 경영이 본격화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키움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증권, 다올투자증권 등 증권 테마가 상승.

 


철강 주요종목: 美, 25% 철강 관세 임박 소식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해 25% 관세를 오는 12일 0시(현지시간)부터 부과한다고 전해짐.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지난 9일(현지시간) NBC '밋더프레스(Meet the Press)'에 출연해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가 3월12일부터 부과될 예정인지를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하면서 관세 부과를 예정대로 12일부터 시작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음.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부과한 관세 중 한국산 제품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사례로, 대미 수출 차질이 처음으로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특히, 미국은 일본, 인도 다음의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 철강의 3개 수출 시장으로 한국 철강 기업에 타격이 예상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현대제철, POSCO홀딩스, 동국제강, KG스틸, 대한제강 등 철강 주요종목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고려아연/영풍/영풍정밀: 주총 앞두고 경영권 분쟁 재점화 등에 급등
▷고려아연, 지난 7일 장 마감 후 주식회사 영풍 및 주식회사 한국기업투자홀딩스가 제기한 의안상정가처분신청(주주제안권) 소송 기각 판결 공시. 주식회사 영풍이 제기한 주주총회결의 효력정지 가처분, 직무집행정지가처분 소송 일부 인용 판결 공시.
▷영풍, 지난 7일 장 마감 후 신규법인 (유)와이피씨 설립을 통한 고려아연(주)의 사업내용을 지배관리하는 지주사업을 위한 취득 목적으로 유한회사 와이피씨 (YPC Limited) 주식 877,075주를 3.92조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5-03-07) 공시. 신규법인 유한회사 와이피씨 설립을 위한 현물출자 목적으로 고려아연(주) 지분(5,262,450주) 전량을 3.92조원에 양도하기로 결정(양도예정일:2025-03-07) 공시. 또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정책 안내(자기주식 소각 및 액면분할 계획) 공시.
▷언론에 따르면, 법원이 지난 7일 고려아연 임시주총에 대한 가처분 판결에서 영풍·MBK파트너스 측 손을 들어주면서 이달 말 예정된 정기 주총에서 정면 대결이 불가피해진 가운데, 영풍이 새로운 특수목적법인(SPC)을 신설하고 보유 중인 고려아연 지분 전량을 현물출자 해 순환출자 고리를 끊어내면서, 지난 1월 임시주주총회서 사라졌던 의결권이 되살아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종목]: 고려아연, 영풍, 영풍정밀

 

HD현대마린엔진(071970):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HD현대미포 캡티브 물량으로 2024-2026년 매출은 +136% 성장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HD한국조선해양으로부터 가르침과 시너지로 이후에도 추가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HD한국조선해양은 HHI EMD의 고압/대형 엔진 제작을 늘리기 위해, HD현대미포의 중형 엔진을 맡기기 위해 동사를 인수한 가운데, 동사가 2025년 준비해서 2026년에 HD현대미포의 50%만 담당해도 매출은 0.86조원으로 성장(2024-2026 +136%)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45,000원[신규]

 

한화엔진(082740): 엔진 업황 초호황 전망 등에 강세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2년부터 CAPEX 중 추가로 802억원의 시설투자를 결정한 이유는 중국의 대형 컨테이너선 수주에 따른 대형 엔진 수요 때문이라며, 기존 Q 정체의 답답함을 MIX(대형 엔진) 개선으로 돌파하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2024년 중국에서 0.64조원을 수주했는데, 올해 벌써 0.9조원의 중국(추정) 물량을 수주했다며, 2024년에 중국 민영 조선사만 192척의 대형 컨테이너선을 수주해서 수주POOL은 충만한 상황이라고 밝힘. 이에 지금 엔진 업황은 2005~2007년과 같은 초호황 상황이라고 언급.
▷과거 호황기 물량을 건조한 2010~2011년에 13.9~14.9%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바 있다며, 업황 초호황에 따라 2027~2028년에는 16.7~19.4%로 과거 최고보다 더 좋은 수익성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0,000원 -> 37,000원[상향]

 

제이에스코퍼레이션(194370): 주가 저평가 기대감 등에 강세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얏트호텔 인수 완료 후 주가는 저점을 경신하고 있는데 호텔 인수에 따른 이자비용은 영업이익의 26%에 불과하다며, 호텔 자체는 영업흑자(OPM 8.8%)로 호텔 인수가격 대비 시장가치(7,300억원 vs. 1조원 이상)는 장기적으로 매각차익을 기대해볼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밝힘. 이어 호텔가치는 마이너스 요인이 아니며, 본업의 압도적 이익체력과 배당메리트를 감안하면 의미있는 바텀피싱 가능 구간이라고 분석.
▷올해, 내년 예상 PER 2.7, 2.1배(희석시총 기준 3.1, 2.4배)로 의류 OEM 평균 대비 절반을 하회하는 극단적 저평가라며, 2024년 연간(중간+기말) 배당 1,000원, 배당수익률 7.2%으로 향후 영업이익 증가에 따라 배당 상향 계획으로 여러모로 의미있는 저점이라고 판단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5,200원 -> 25,000원[하향]

 

강원랜드(035250): 보통주 1주당 1,170원(시가배당율 7.3%) 현금배당 결정 속 상승
▷지난 7일 장 마감 후 보통주 1주당 1,170원(시가배당율 7.3%)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4-04) 공시.

 

DL이앤씨(375500): 소형원자로(SMR) 수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비우호적 주택업황에 따른 실적 부진과 지나치게 소극적인 경영 스탠스로 인해 오랜 시간 주식시장에서 소외돼왔다며, 4세대 SMR 표준화 경쟁에서 앞서가고 있는 ‘X-에너지’와의 협력이 주가에 전혀 반영되지 않은 상태라고 밝힘.
▷특히, 동사가 X-에너지의 설계·조달·시공(EPC) 파트너로서 초기 단계부터 협력해오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2023년 1월 2천만달러에 X-에너지 전환사채(CB)를 인수하고 노르웨이, 인도네시아 등에서 사업을 공동 추진하고 있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3,000원 -> 63,000원[상향]

 

삼성SDI(006400): 1분기 적자폭 확대 전망 등에 소폭 하락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매출액은 3.0조원(QoQ -20.5%, YoY -41.8%), 영업손실 4,186억원으로 적자폭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 주요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북미 Stellantis JV 공장 가동으로 인해 Stellantis향 xEV 전지 생산 거점을 이전(헝가리→북미)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일시적인 헝가리 공장 생산 공백도 판매량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
▷아울러 신규 공장의 Ramp up 효과는 점진적으로 나타날 예정이나, 비우호적인 EV 시장 환경으로 인해 기대감이 다소 희석되는 상황이라고 밝힘. 이에 46파이 출시와 ESS가 당장의 수요 부진을 방어할 핵심이 될 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00,000원 -> 270,000원[하향]

 

HS효성첨단소재(298050): 1,535.4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41%) 규모 공급계약 해지에 하락
▷지난 7일 장 마감 후 한화솔루션(주)(HANWHA SOLUTIONS CORPORATION)와 체결한 1,535.4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41%) 규모 공급계약(탄소섬유) 해지(계약기간:2021-04-01~2027-03-31) 공시.

 

금양(001570): 코스피200 등 주요 지수 제외에 약세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사는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으로 금일부터 코스피100, 코스피200 등 코스피 19개 주요 지수에서 제외됨.
▷한편, 동사는 지난 4일 유상증자 결정 공시 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에 지정되며 벌점 7점이 부과됐고, 누계 벌점 17점으로 관리종목에 지정된 바 있음.

 

삼부토건(001470): 주가조작 의혹에 급락
▷금융감독원은 이날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로 주목받은 뒤 주가조작 의혹이 제기된 동사와 관련해 대주주 등 이해관계자가 낸 100억원대 차익이 어디로 흘러갔는지 자금을 추적 중이라고 밝힘. 금감원 관계자는 "대주주 측의 시세차익 자금이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측에 흘러 들어갔는지, 자금추적 중"이라며, "이 과정에서 200여개 계좌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힘.
▷한편, 이종호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의 주요 인물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에도 연루된 것으로 알려짐.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팬엔터테인먼트(068050):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흥행 기대감 등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지난 7일 첫 회가 공개된 가수 아이유, 배우 박보검 주연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가 넷플릭스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것으로 전해짐. '폭싹 속았수다'는 전일 기준 넷플릭스 전 세계 TV쇼 부문 6위에 올랐으며, 국가별 순위에서는 한국을 포함해 홍콩, 태국, 베트남 등 10개국에서 1위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이에 '폭싹 속았수다'의 제작사로 참여한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더라미(032860): 지난해 흑자전환에 급등
▷지난 7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697.76억원(전년대비 +36.87%), 영업이익 16.17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4.77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2023년10월 화장품사업부문 합병에 따라 매출 및 이익이 증가했다고 밝힘.

 

로보티즈(108490): 테슬라 등 글로벌 빅테크 레퍼런스 보유 및 주가 저평가 구간 분석 등에 강세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수출 비중이 3Q24 기준 약 76%로 NASA, Disney 등 다수의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고객사로 테슬라가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 프로토 타입에도 동사의 다이나믹셀이 탑재되면서 높은 기술력을 입증했다고 밝힘. 이어 Google은 로봇 개발 기업 ‘앱트로닉’ 시리즈 A 펀딩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인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 진출한 상황인데, Google의 딥마인드와 스탠포드 대학이 협력하는 피지컬 AI ‘알로하 프로젝트’에 동사의 다이나믹셀를 사용하면서 굵직한 레퍼런스를 확보 중이라고 설명.
▷또한, 지난 4일 로봇 업계에 따르면, 2대주주인 LG전자의 로봇선행연구소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위해 제품 구입 및 연구 테스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대기업의 전략적 지분 투자를 받은 기업들의 기술 개발 및 비즈니스 확장 개연성이 높은 만큼 높은 밸류에이션을 부여 받는데(PSR: 레인보우로보틱스 300배 이상, 두산로보틱스 80배 이상, 유일로보틱스 20배 이상) 동사는 PSR 10배 수준으로 저평가 구간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는 신규 제품 출시를 통한 액추에이터 부문 약 30% 성장, 자율주행 로봇 200대를 가정하면 보수적으로 추정해도 매출액 약 450억원, 영업이익 흑자전환을 이룰 것으로 전망.

 

싸이버원(356890): 조달청과 37.46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강세
▷조달청(수요기관:지역정보개발원)와 37.4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5.18%) 규모 공급계약(2025년 지자체 정보통신기반시설 정보보호 컨설팅) 체결(계약기간:2025-03-07~2025-12-31) 공시.

 

루닛(328130): AI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활용한 대규모 다기관 전향적 연구결과가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고 밝힘. 이번 연구는 한국이나 미국처럼 한 명의 영상의학 전문의가 유방촬영술을 판독하는 '단독 판독(Single Reading)' 환경에서 AI의 활용 효과를 검증한 세계 최초의 대규모 전향적 연구로, AI가 진단 정확도를 높이면서도 불필요한 재검사는 늘리지 않는다는 점을 입증했음.
▷이와 관련, 서범석 동사 대표는 "이번 단독 판독 환경에서 진행한 대규모 전향적 연구를 통해 루닛 AI 솔루션의 실질적인 유방암 진단 효과를 입증할 수 있었다"라며, "이를 통해 한국과 미국처럼 의사 1인이 단독으로 판독하는 국가에서 루닛 AI 솔루션을 활용할 중요한 근거를 제시하게 됐다"고 밝힘.

 

쏠리드(050890): 43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지난 7일 장 마감 후 43.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3-07~2025-12-06, 신한투자증권(Shinhan Securities Co., Ltd).) 공시. 이번 신탁계약으로 취득한 자기주식의 50%는 향후 소각할 예정임.

 

누보(332290): 일본 종합상사 이토추와 코팅비료 공급 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일본 최대 상사 이토추(ITOCHU)와 5년간 최대 2,800억원 규모의 코팅비료 공급 협약을 도쿄 이토추 본사에서 체결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동사가 보유한 CRF(Controlled Release Fertilizer, 용출제어형 완효성코팅비료)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각 국가별 작물별 맞춤 비료 개발을 통해 2024년에도 20개국에 비료를 수출, 그 중 일본 수출액은 451만 달러(약 62억원)를 기록했다며, 앞으로 이토추가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해외농업 관련 사업과 연계하여 일반 CRF 및 농촌진흥청과 협업 개발 중인 생분해 수지 적용 CRF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힘.

 

넥스트아이(137940): 33.7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9.03%)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지난 7일 장 마감 후 小川精機株式社(오가와세이키 주식회사)와 33.7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9.03%) 규모 공급계약(OCA용 자동검사장치) 체결(계약기간:2025-03-06~2025-11-30) 공시.

 

바이오플러스(099430): 올해 고성장 전망 등에 상승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4년 전사 연결 매출액은 유통 구조조정에 따라 전년대비 2.1% 성장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4분기에는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80.0%, 영업이익이 114.5% 증가하면서 올해 영업실적도 대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필러(HA 기반) 수출이 빠르게 성장 중이라고 언급. 올해 필러 매출은 지난해보다 52.3% 늘어난 766억원으로 전망한다며, 메디컬 디바이스와 화장품 성장까지 더해 동사의 올해 전체 매출은 938억원, 영업이익은 4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각각 41.3%, 70.9% 증가할 것으로 추정.
▷투자의견 BUY[신규], 목표주가 : 10,000원[신규]

 

넥스트바이오메디컬(389650): '넥스피어에프' 임상 결과 통증 완화 효과 입증 및 국제 학술지 게재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속분해성 관절염 통증 색전 치료재 '넥스피어에프'의 임상 연구 결과가 영상의학과 국제 학술지(JVIR, Journal of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에 게재됐다고 밝힘. 이번 임상 연구 결과, 모든 치료 그룹에서 심각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색전 부위의 통증이 7일 이상 지속된 비율은 5.8%로 경쟁 제품에 비해 매우 낮았다고 전해짐. 또한, NRS(Numerical Rating Scale) 기반 통증 평가에서도 '넥스피어에프' 치료 그룹이 평균 67%의 통증 감소를 보여 다양한 관절 질환에서도 효과적인 통증 완화 효과를 제공함을 입증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세계적인 권위자인 오쿠노 박사의 임상을 통해 '넥스피어에프'의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되어 매우 뜻깊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럽 시장에서 판매를 강화하고, 퇴행성 관절염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절 질환에 대한 임상 결과를 확보하기 위한 추가 임상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힘.

 

SDN(099220): 지난해 적자지속에 소폭 하락
▷지난 7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43.60억원(전년대비 +11.45%), 영업손실 65.04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84.72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엔젯(419080):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지난 7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62.59억원(전년대비 -48.14%), 영업손실 65.33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35.98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이와 관련, 고객사 PO 지연에 따라 매출이 이월됐다고 밝힘. 이어 사업 다각화 및 내부 RnD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에 따라 비용이 증가했다고 밝힘.

 

HLB 그룹주: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 루머 속 하락
▷언론에 따르면, HLB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앞두고 미승인 루머가 떠돌고 있는 가운데, HLB가 그룹 공식 블로그를 통해 루머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혔음. HLB는 "신약승인과 관련하여 많은 악성루머들이 돌고 있습니다. 신약승인일이 다가올수록 루머는 더 기승을 부릴것이라 생각됩니다. FDA는 아직 어떠한 결정도 내린게 없으며, 결정통보가 오는 즉시 유튜브를 통해 공지할 계획이니 루머에 휘둘리지 않으시길 당부드립니다. 특히 지금은 미국이 일요일입니다"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HLB와 HLB글로벌, HLB바이오스텝, HLB생명과학, HLB이노베이션, HLB제넥스, HLB제약, HLB테라퓨틱스, HBL파나진 등 HLB 그룹주가 하락세를 기록중.
[종목]: HLB, HLB글로벌, HLB바이오스텝, HLB생명과학, HLB이노베이션

 

다보링크(340360):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속 거래재개 후 약세
▷지난 6일 장 마감 후 불성실공시법인지정(공시불이행 1건, 공시번복 1건) 공시. 이에 지난 7일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인콘(083640): 80% 비율의 감자 결정에 급락
▷지난 7일 장 마감 후 80% 비율의 감자 결정(기준일:2025-04-25, 상장예정:2025-05-16) 공시.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