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3.10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3-10 15:15
- 조회수 :
- 217
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강세 테마: 정유, 반도체 대표주(생산), 2차전지(생산), 윤활유, LPG(액화석유가스), 인터넷 대표주, 사료, 손해보험, 낙태/피임, 카카오뱅크(kakao BANK), 비만치료제, 미용기기, 생명보험,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유리 기판, 2차전지(소재/부품), 콜드체인(저온 유통), 건설 대표주, 희귀금속(희토류 등), 폐배터리, 비철금속,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스마트카(SMART CAR), 의료기기 등...
약세 테마: 영화, 일자리(취업), CCTV&DVR, 철강 주요종목, 피팅(관이음쇠)/밸브,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모듈러주택, 소매유통, 탄소나노튜브(CNT), 조선, 초전도체, 카메라모듈/부품, 우크라이나 재건, 면역항암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엔터테인먼트, 온디바이스 AI, 원자력발전, 음원/음반, 렌터카, 미디어(방송/신문), 창투사 등...
<특징 테마>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3.16%) 지수 급등 영향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지난 주말 뉴욕 주식시장이 파월 Fed 의장 경제 낙관론 등에 상승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등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1.74(+3.16%) 상승한 4,629.59를 기록. 엔비디아(+1.92%), AMD(+1.48%), TSMC(+0.71%), 마이크론 테크놀로지(+4.13%) 등이 상승. 특히, 브로드컴(+8.64%)은 실적 호조에 큰 폭으로 상승. 브로드컴은 6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 마감 후 2025 회계연도 1분기(작년 11월~지난 1월) 실적을 공개했으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149억1,600만 달러로 집계됐으며, 월가 추정치(146억1,000만 달러)를 상회. 주당순이익(EPS) 1.60달러는 월가 추정치(1.49)를 웃돌았음.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빅테크들의 2025년 CapEx 계획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정부의 중화권에 대한 GPU 규제 강화 리스크, 관세 상향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 등 AI 사이클에 대한 의구심은 2026년향 HBM 계약이 완료되는 2Q25에 해소될 것으로 전망. 또한, AI CapEx 확대 국면에서 엔비디아의 Blackwell 본격화와 ASIC 진영의 하이엔드 HBM 수요 증가가 채용량 증가를 동반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구간은 HBM 전망치가 상향되는 국면이라고 분석.
▷한편, 더불어민주당이 반도체 산업 52시간 근로제 예외에 반대하며 반도체특별법 통과가 지연되는 가운데, 예외 적용 찬성 여론이 반대의 두 배가 넘는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음.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의 의뢰를 받아 지난 5∼7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50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2.5%포인트)에 따르면, 반도체 분야 연구·개발 인력에 52시간 근로제 예외 적용에 찬성한 응답자는 57.8%, 반대는 27.1%로 집계됐음.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DB하이텍, 하나마이크론, 에이직랜드, 테스, 라온테크, 주성엔지니어링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정치/인맥(우원식): 우원식 국회의장, '트럼프 측근' 케빈 매카시와 회동 예정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측근인 케빈 매카시 전 하원의장이 3월14일 우원식 국회의장과 한미의원연맹 공동회장인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을 만나는 것으로 알려짐. 우원식 의장과 조 의원은 이 자리에서 동맹 관계를 부각하며 관세 문제 및 조선·원전 산업에서 미국과의 협력 강화를 제안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국회 관계자는 "매카시 전 의장이 국회에 방문할 예정"이라며, "한미의원연맹 결성 취지를 설명하고, 미한의원연맹 설립에도 속도를 내달라고 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코오롱모빌리티그룹, 한국정밀기계, 뱅크웨어글로벌, GH신소재 등 정치/인맥(우원식) 테마가 상승.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포스코퓨처엠(003670): 단기 되돌림 수요 기대 분석 등에 상승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매출액은 8,346억원(QoQ +15.4%, YoY -26.7%), 영업손실 131억원(QoQ 적자축소, YoY 적자전환)을 예상한다고 언급. 근본적인 업황 회복은 요원하나, 4Q24 급감한 판매량이 일부 되돌림되며 양극재와 음극재 부문의 실적이 다소 호전될 것으로 전망. 특히, 양극재 부문은 기존 북미 Ultium cells향 판매량 반등에 신규 SPE향 초기 구매 수요가 더해져 판매량이 점증하는 구간으로, 올 하반기에 2024년 수준의 판매량 정상화가 기대된다고 분석.
▷다만, 2026년 EBITDA 5,133억원에 Target multiple은 2024년 이후 평균인 38.5배를 적용해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20,000원 -> 180,000원[하향]
엠씨넥스(097520): 1분기 및 연간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384억원(17.6% yoy/13.4% qoq), 162억원(6.7% yoy/-12.1% qoq)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되며 2분기 연속 높은 성장을 전망한다고 밝힘. 1Q25 실적 호조는 갤럭시S25 등 삼성전자 스마트폰내 카메라모듈과 구동계(액츄에이터)에서 점유율(M/S) 증가, 믹스 효과(고가 비중 확대) 등 수량(Q) 및 가격(P)이 동시에 상승했기 때문이라며, 카메라모듈 및 구동계 등 휴대폰 매출은 2,684억원으로 19.1%(yoy), 21.9%(qoq)씩 증가할 것으로 추정. 이어 전장부품의 매출(678억원)도 9.5%(yoy/-10.5% qoq) 증가 추정 등 안정적인 수익성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
▷아울러 올해 실적은 전체 매출(1.33조원)과 영업이익(602억원)은 각각 26.1%(yoy), 35.7%(yoy) 증가할 것으로 전망. 삼성전자내 중견 카메라모듈 업체 중 가장 높은 성장을 예상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3,000원 -> 34,000원[상향]
LG에너지솔루션(373220): 원통형 전지 판매 확대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원통형 전지 판매량은 3Q24 저점 이후 점증하는 중이며, Model Y 및 ‘2170+’ 러닝체인지 양산 대응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2Q25까지 양호한 판매량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신형 Model Y의 유럽 포함 글로벌 인도 일정이 당초 예상 대비 앞당겨짐에 따라(중국 2월, 유럽 3월) 3~4월 신제품 초기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추정.
▷또한, 가시권에 진입한 46파이 배터리 양산은 상반기 국내 오창 공장(8GWh)을 시작으로, 애리조나 공장(36GWh)이 가동하는 2026년까지 이어지며 소형 전지 부문의 지속적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2026년은 신규 CAPA, 고객사, 어플리케이션 등 사업 포트폴리오가 본격적으로 확장되는 초입이며, 향후 배터리 수요와 업황이 지난 2024년보다 악화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분석.
▷다만, 2026년 EBITDA 8.9조원에 Target multiple은 2024년 이후 평균인 14.7배를 적용해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90,000원 -> 450,000원[하향]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대진첨단소재(393970): 美 엑셀시오 추진 ESS 프로젝트에 대전방지 트레이 공급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신재생 에너지 전문 글로벌 사모펀드 운용사 미국 엑셀시오 에너지 캐피탈이 추진하고 글로벌 이차전지 배터리 기업이 담당하는 7.5GWh 규모 'ESS(에너지저장장치) 프로젝트'에 ESS 공정용 대전방지 트레이를 공급한다고 밝힘. ESS 공정용 대전방지 트레이는 기존 트레이 대비 더 큰 크기로 제작돼 ESS 공정 최적화에 따라 신규 발주(P/O)가 발생하고 있으며, 기존 트레이에서 재생 수지를 확보해 원가 절감, 수익성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유성준 동사 대표이사는 "ESS 시장은 신재생 에너지 확대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ESS시장에서 대진첨단소재는 미국 생산 인프라와 대전방지 기술력에 따라 주목받고 있다"며, "이번 납품을 시작으로 북미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글로벌 ESS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높일 계획"이라고 밝힘.
투비소프트(079970): AI 기반 스마트팩토리 등 신사업 추진 본격화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대주주 변경과 함께 본격적인 사업 다각화에 나선다고 밝힘. 오는 31일 정기주주총회를 앞두고 사업 다각화를 위한 정관 변경을 발표했으며, 이번 정관 변경을 통해 자동화 장비 컨설팅업, 기계설비공사업, 정보통신 솔루션 및 서비스 컨설팅업, 산업자동화설비 제조업, 산업용 제어기기 및 자동제어시스템 제조 및 판매업, 산업용 자동화시스템 용역개발업, 공장 자동화 장비 및 시스템 개발·제조·판매 및 도매업 등을 사업 목적에 추가하며, 스마트팩토리 및 산업 자동화 관련 신사업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 예정이라고 언급.
▷특히,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업 인사이트까지 제공하는 스마트 대시보드 솔루션 '넥사보드'를 결합하여 진정한 스마트 제조를 실현한다는 계획으로, 동사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그대로 녹여낸 넥사보드를 스마트제조 및 MES 등과 연동하여 최적의 데이터를 도출하고 의사결정까지 가능한 형태로 시너지를 극대화할 예정이라고 밝힘.
엠디바이스(226590): HBM 하이브리드 본딩 사업 진출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반도체 공정에서 핵심으로 꼽히는 HBM 하이브리드 본딩(Hybrid Bonding)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힘. 특히, 고다층으로만 쌓아 해결할 수 없는 적층 방법을 개선해 단위면적당 용량의 증대와 데이터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으며, 지난 2월 기계도입 전 BVH(Buried Via Hole) 공법에 대한 특허 출원했고, 기계장치 도입 후 성공적인 제조라인 설치를 완료하고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에 HBM 제조를 위한 샘플 업체 등록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잔는 “업체 등록이 완료되면 실질적인 제품 생산을 시작할 예정으로 현재는 기계 설비에 대한 특장점을 파악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
현대ADM(187660): 최대주주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모회사 씨앤팜, 항암제 가짜내성 실체 규명 플랫폼형 신약 ‘페니트리움’ 개발 소식 속 급등
▷동사 최대주주인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홈페이지를 통해 모회사 씨앤팜이 세계 최초로 가짜내성의 실체를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근원적으로 해결할 플랫폼형 신약 ‘페니트리움(Penetrium)’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힘. 그동안 세계 의학계와 제약업계는 항암제 반복 투약시 치료효과가 감소하면 이를 항암제 내성이 생겼다고 오판해 왔지만, 이는 암세포의 변이로 발생하는 진짜내성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항암제가 암조직에 전달되지 못하는 가짜내성 때문이었다고 설명.
▷씨앤팜은 각종 실험을 통해 세계 최초로 가짜내성의 실체를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플랫폼형 신약 ‘페니트리움’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강조했으며, 현대바이오와 동사는 오는 4월 중순 플랫폼형 신약 페니트리움의 연구 결과와 글로벌 임상 추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언급.
이노시뮬레이션(274400): 국내 주요 방산기업과 XR 기반 방산 시뮬레이터 분야 확장 소식 등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주요 방산기업과 손잡고 확장현실(XR) 기반 방산 시뮬레이터 분야로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고 밝힘.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7년 만에 시뮬레이터 개발 협업을 재개하며, 항공훈련 시스템 분야의 기술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고 언급. 최근 공군 제16전투비행단의 TA-50 시뮬레이터(SIM, CPT) 개발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주했으며, 올해 KF-16 시뮬레이터 업그레이드 사업을 위해 한국항공우주산업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힘.
▷또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도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며, 지난 1월과 2월 무기체계 운용훈련을 위한 XR 기반 시뮬레이터 개발 사업을 연이어 계약한 데 이어, 최근 12억5,000만 원 규모의 육군용 무기체계 운용훈련을 위한 XR 기반 시뮬레이터 제작 사업을 수주했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협력을 통해 국내 사업 뿐만 아니라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 진출의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KAI가 수출하는 고정익 항공기 FA-50 시뮬레이터뿐만 아니라, 수리온 등 회전익기 시뮬레이터 개발 사업에서도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힘.
쿠콘(294570): 4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4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3-10~2025-09-10, NH투자증권(NH INVESTMENT & SECURITIES CO.,LTD.)) 공시.
GST(083450): 연내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솔루션 상용 제품군 출시 계획 소식에 상승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연내 출시를 목표로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솔루션 상용 제품군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힘. 지난 2022년 하반기 데이터센터 서버 액침냉각 솔루션 개발에 착수한 가운데, 이듬해를 시작으로 두 개의 기술검증(PoC) 장비를 출하한 데 이어 현재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LG유플러스와 세 번째 PoC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유지보수, 확장성, 원가 절감 등을 고려해 모듈 방식으로 제품을 준비 중에 있다”며 “2027년 상반기 이후 액침냉각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맞춰 제품을 출시하고 선제적으로 고객사를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브레인즈컴퍼니(099390): 딥러닝 기반 이상징후 예측 및 탐지 솔루션 ‘Zenius AI’ 출시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딥러닝 기반의 IT 이상징후 탐지 및 예측 솔루션 ‘Zenius AI v2.0’을 출시했다고 밝힘. 이 솔루션은 IT 운영 환경에서 발생하는 이상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장애를 사전에 예방하는 기능을 제공. 특히, Zenius AI는 Amazon Web Services(AWS)의 DeepAR 딥러닝 시계열 예측 모델을 포함한 14개의 예측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며, 최적의 예측 모델을 자동 추천하는 AutoGluon 자동화 머신러닝(AutoML)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심재걸 부사장은 “Zenius AI는 실시간 데이터 분석과 AI 기반 이상징후 탐지를 통해 운영자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이라며 “이미 대형 공공기관에서 도입되어 안정적인 운영을 이어가고 있으며, 다수의 기관과 기업에서도 운영 환경 최적화와 장애 예방을 위해 도입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힘.
테스(095610): SK하이닉스와 90.50억원 규모 반도체 제조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SK하이닉스와 90.5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16%)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제조장비) 체결(계약기간:2025-03-09~2025-03-17) 공시.
컨텍(451760): 15.81억원 규모 지상체 해외지상국 운용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15.8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00%) 규모 공급계약(지상체 해외지상국 운용) 체결(계약기간:2025-03-10~2027-12-31) 공시. 계약 상대방은 비밀유지 요청으로 유보.
에스넷(038680):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서 인프라 모니터링 솔루션 공개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12일부터 14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리는 ‘AW 2025(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자사의 인프라 모니터링 솔루션 ‘IMS(인프라스트럭처 모니터링 솔루션)’를 선보인다고 밝힘.
▷이번 전시에서는 세계 최대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문기업인 로크웰 오토메이션과 협력해 IMS를 소개하며, 스마트 공장 구축을 위한 최적화된 모니터링 솔루션을 강조할 예정이라고 언급.
아나패스(123860):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24년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1,822.09억원(전년대비 +154.95%), 영업이익 200.43억원(전년대비 +348.44%), 순이익 188.99억원(전년대비 +605.28%).
삼성스팩9호(468510): 합병 추진 기업 케이지에이(KGA), 美 로볼리전트·모빌로보틱스와 휴머노이드 배터리 전력 시스템 개발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와 합병을 추진 중인 케이지에이(KGA)는 언론을 통해 미국 ‘로볼리전트’, ‘모빌로보틱스’와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일체형 배터리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케이지에이는 맞춤형 배터리 제조 장비를 포함해 양·음극 전극극판 공급, 배터리 생산 공정 기술 지원 등을 수행할 예정이며, 모빌로보틱스는 구조 일체형 배터리의 제작 및 지원 등을 담당할 방침임.
▷이와 관련, 케이지에이 관계자는 "휴머노이드는 일반 로봇과 달리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맞춤형 배터리 설계, 경량화, 소형화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며, "배터리 분야에서 쌓아온 당사의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두 회사와 긴밀히 협력해 휴머노이드 배터리 전력 시스템에 최적화된 차세대 배터리를 개발할 것"이라고 언급. 이어 "이번 협력을 통해 급성장이 예상되는 휴머노이드 배터리 전력 시스템 시장을 선점하고, 국내외 휴머노이드 산업 생태계의 핵심 일원으로 자리 잡겠다"고 밝힘.
에스바이오메딕스(304360): 4월 AD/PD 2025에서 파킨슨병 임상 데이터 발표 예정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4월 1일부터 5일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AD/PD™(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Conference) 2025'에 현장 발표 기업으로 선정돼 참석한다고 밝힘. AD/PD™ 컨퍼런스는 알츠하이머병 및 파킨슨병 관련 세계 최대 규모이자 가장 권위있는 학회이며, 다음 달 5일 AD/PD™ 2025에서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 주요 관계자를 대상으로 현재 개발되고 있는 파킨슨병 치료제인 ‘TED-A9’의 임상 1/2a상 환자 전체인 12명에 대한 1년 추적관찰 중간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
▷이와 관련, 동사는 지난 11월 TED-A9 6명 환자에 대한 우수한 중간 데이터 결과를 발표했다며 이에 전체 환자인 12명에 대한 데이터도 긍정적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설명.
와이랩(432430): 독점 작품 '참교육'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로 제작 소식에 소폭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넷플릭스에 공급하는 독점작품이 네이버웹툰 원작 '참교육'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올해 들어 '스터디그룹(티빙)'과 '선의의경쟁(U+모바일tv)'을 선보이며 IP(지식재산권)·제작 부문에서 경쟁력을 입증한 동사는 내년 공개를 목표로 한 참교육을 통해 넷플릭스발 글로벌 공략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라고 알려짐.
현대힘스(460930): HD현대삼호와 102.21억원 규모 항만크레인 부산신항 2-6단계공사 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에이치디현대삼호와 102.2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40%) 규모 공급계약(항만크레인(DTQC) 부산신항 2-6단계공사) 체결(계약기간:2025-03-07~2025-09-03) 공시.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그간 축적해온 선박 제조 기술력과 제작 노하우가 항만 인프라 분야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HD현대삼호에서 올해 초 수주한 여수광양항 DTQC 메인 구조물제작에 대한 계약에 대해서도 협의 중으로 부산신항 2-6단계 DTQC 제작이 마무리 되면 바로 이어서 여수광양항 DTQC 메인 구조물 제작도 시작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항만 인프라 구축 트렌드에 발맞춰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