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3.11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3-11 13:17
조회수 :
217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사료, 영화,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등...

 

약세 테마: 렌터카, 조선, 자동차 대표주, 여행, 해운, 뉴로모픽 반도체, 모듈러주택, 전선, 탄소나노튜브(CNT), 딥페이크(deepfake), LNG(액화천연가스),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2차전지, 원자력발전, LED장비, 온디바이스 AI, AI 챗봇(챗GPT 등), 셰일가스(Shale Gas), 조선기자재, 마리화나(대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아이폰, 항공기부품, 카메라모듈/부품, 인터넷 대표주,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철강 주요종목,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폐배터리, 리튬 등...

 

 

 

 

<특징 테마>  

사료/ 음식료업종/ 육계: 中 농산물 보복관세 발효 및 美 계란값 폭등 여파 지속 속 일부 관련주 상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2일(현지시간)부터 외국산 농산물에 대한 관세를 부과할 예정인 가운데, 중국 정부는 전일 0시를 기해 앞서 4일 공고대로 미국산 닭고기·밀·옥수수·면화를 포함한 총 29개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5% 인상하면서 보복관세를 개시했음. 동시에 수수·대두·돼지고기·쇠고기·수산물·과일·채소·유제품을 포함한 711개 미국산 수입품 관세 역시 10% 높인다고 발표.

▷최근 미국에서는 조류 인플루엔자 여파로 계란 공급이 줄면서 계란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가운데, 유럽과 아시아 국가 등 에 계란 수입을 타진하고 있음. 전 세계 2위 계란 수출국인 폴란드를 비롯해 프랑스, 인도네시아 등의 가금류 단체들은 미국 농무부와 현지 미국 대사관으로부터 수출용 계란에 대한 문의를 받았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미래생명자원, 케이씨피드, 고려산업, 한일사료, 한탑, 체리부로, 하림, 마니커 등 일부 사료/음식료업종/육계 테마가 상승.

 


2차전지/전기차 등: 테슬라(-15.43%) 주가 급락 영향 및 美 경기 둔화 우려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추진하다 보면 경제가 일시적으로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고 언급하는 등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급락한 가운데, 테슬라(-15.43%)가 약 5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 UBS그룹이 테슬라의 1분기와 연간 매출 예상치를 모두 하향 조정. UBS는 1분기 테슬라가 이전 예상치보다 16% 감소한 36만7,000대의 차량만 인도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올해 인도량은 작년보다 적어지면서 5% 감소할 것으로 전망.

▷美 경기 둔화 우려도 악재로 작용.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수장이 미국 경기둔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美 경기 둔화 우려가 촉발됐음. 트럼프는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하는 일은 미국에 부를 다시 가져오는 과정"이라며 "일정한 과도기적 시기가 필요하다"고 밝힘. 이어 일시적인 경기 둔화 가능성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관세 인상이 미국 경제에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 케빈 해셋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경제에 대해 매우 낙관적이지만, 1분기 GDP 감소도 염두에 두고 있다"며 일시적인 경기 둔화를 용인하겠다는 의사를 드러냈음.

▷이 같은 소식 속 삼성SDI, 금양,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 엘앤에프, POSCO홀딩스, LG에너지솔루션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하락.

 


반도체 관련주/ IT 대표주/ 인터넷 대표주 등: 美 대형 기술주 급락 등에 하락
▷지난밤 美 증시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추진하다 보면 경제가 일시적으로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고 언급하는 등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급락 마감했음.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각각 2.08%, 2.70% 급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4.00% 폭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4.85% 폭락. 특히, 나스닥지수는 인플레이션 충격이 최고조에 달했던 2022년 9월13일(-5.16%) 이후 2년 6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음.

▷특히, 애플(-4.85%), 엔비디아(-5.07%), 마이크로소프트(-3.34%), 아마존(-2.36%), 알파벳A(-4.49%), 메타(-4.42%), 테슬라(-15.43%) 등 M7 종목들이 일제히 급락.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리노공업, 하나마이크론, 네패스, NAVER, 카카오 등 반도체 관련주/ IT 대표주/ 인터넷 대표주 등의 테마가 하락.

 


비만치료제: 노보 노디스크(-9.43%) 차세대 비만치료제 임상시험 실망감 등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10일(현지시간)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의 차세대 비만 치료제 ‘카그리세마’가 두 번째 3상 임상시험에서도 시장 기대를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짐. 이번 3상 임상시험에서 카그리세마를 투약한 약 1,200명의 참가자들은 68주간 평균 15.7%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지만, 노보 노디스크가 목표로 했던 체중 감량률 25%에 미치지 못했음. 아울러 지난해 12월 발표된 첫 번째 3상 임상시험의 22.7%보다도 낮은 수치를 기록.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카그리세마가 젭바운드를 능가할 것으로 기대했던 투자자들에게는 상당히 아쉬운 결과"라며, "향후 시장 점유율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삼천당제약, 펩트론, 라파스, 디앤디파마텍, 제넥신, 대웅제약, 압타머사이언스, 한미약품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하락.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비트코인 8만달러 하회 속 美 가상화폐 관련주 급락 영향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 증시가 경기 둔화 우려 속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고조되며 3대 지수 모두 급락.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11시 경 24시간 전 대비 3% 넘게 하락한 7만9,300달러 부근에서 거래중. 업비트와 빗썸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1억1,880만원선 부근에서 거래중.

▷지난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일부 암호화폐를 미국 외환 보유고에 포함시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음. 다만, 형사 및 민사 사건의 자산 몰수 절차 과정에서 압수돼 연방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으로만 준비금이 조달된다는 점, 준비금으로 예치된 비트코인을 판매하지 않는다는 방침 등으로 인해 시장에선 실망감이 나타나는 모습.

▷지난밤 美 증시에서는 사이퍼 마이닝(-20.82%), 로빈후드(-19.79%), 코인베이스 글로벌(-17.57%), 마이크로스트래티지(-16.68%), 마라 홀딩스(-16.29%), 테라울프(-14.72%), 아이렌(-14.03%) 등 가상화폐 관련주들이 급락 마감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컴투스홀딩스, TS인베스트먼트, 티사이언티픽, 우리기술투자, 엠게임, 위메이드, 위지트, 네오위즈홀딩스, SBI인베스트먼트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코아스(071950): 49.99억원 규모 애니젠 주식 신규 취득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추진중인 바이오분야 신규사업 진출과 관련한 시너지 효과 목적으로 애니젠 주식회사 주식 822,503주를 49.99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8.85%, 취득예정일:2025-03-19) 공시.

 

유니드비티플러스(446070): 2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3-14~2025-09-13, 삼성증권(SAMSUNG SECURITIES)) 공시.

 

DB금융투자(016610):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1주당 400원(시가배당율 6.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3-31) 공시.
▷보통주 500,000주(28.75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3-11~2025-06-10) 공시. 보통주 430,650주(24.76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3-10~2025-03-12) 공시.
▷한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영업이익이 급증한 호실적을 바탕으로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추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힘. 동사의 지난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은 61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90%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529억원으로 323% 늘었음.

 

범양건영(002410): 1,237.8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2.50%) 규모 공사 계약 해지 등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주식회사 삼진앤컴퍼니와 체결한 1,237.8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2.50%) 규모 공급계약(부산시 강서구 미음동 물류창고 신축공사) 해지(계약기간:2022-12-01 ~ ) 공시.
▷종속회사 (주)범양플로이, 107.4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8.90%) 규모 건축공사업 영업정지(영업정지일:2025-03-07) 공시. 종속회사 (주)삼진앤컴퍼니, 161.83억원 규모(자산총액대비 8.39%)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처분 결정(처분예정일:2025-03-10) 공시.

 

KG모빌리티(003620): 80% 비율 무상감자 결정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액면가 5,000원의 보통주를 액면가 1,000원으로 감액하는 80% 비율의 무상감자 결정(기준일:2025-04-11, 상장예정:2025-05-09) 공시.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티로보틱스(117730): 레인보우로보틱스와 대규모 로봇 및 물류자동화 시장 공략을 위한 MOU 체결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5일 레인보우로보틱스와 대규모 로봇 및 물류자동화 시장 공략을 위한 공동 사업 추진 목적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동사의 중대형 자율이동로봇(AMR) 개발 및 공급 경험과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기술 및 솔루션 개발 역량을 결합하여, 고객 맞춤형 로봇 기술 및 솔루션을 개발하고 운영할 계획임.
▷이와 관련, 안승욱 동사 대표는 "양사는 스마트공장 물류자동화 분야에서 각각의 강점을 갖고 있어 협력을 통해 제품경쟁력 향상과 시장확대가 기대된다"며, "동사의 중대형 AMR 개발 및 공급경험과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기술 및 소프트웨어개발역량을 결합하여 물류로봇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목표"라고 밝힘.

 

소니드(060230): 최대주주 변경 속 자회사 디펜스코리아, 이동형 무인로봇 NDT시스템 양산 기대감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주)에이치엘로보틱스로 변경 공시. 변경후 소유비율은 16.58%임. 26.00억원 규모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 및 9.00억원 규모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 공시.
▷금일 9.00억원 규모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 공시.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인한 최대주주 변경으로 최대주주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담보제공 계약 해제ㆍ취소 공시.
▷한편, 동사의 자회사 디펜스코리아가 이동형 무인로봇 방사선 비파괴검사(NDT)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 체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짐. 디펜스코리아 방사선 비파괴검사 무인로봇은 폴란드 국영기업 피아프(PIAP) 로봇과 미국 회사의 X-레이 발생장치, DR 패널을 조합해 개발했으며, 디펜스코리아 관계자는 "사람이 수행하던 방사선 비파괴검사 업무를 로봇이 대신함으로써 방사선 피폭 위험을 낮추고 검사 정밀도와 운영상 편의성을 높였다"고 언급.
▷아울러 동사는 자회사 소니드에이아이를 통해 우크라이나 재건을위한 ‘AI 전방 경계시스템’ 개발에도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대봉엘에스(078140): Shilpa사와 비만 치료제 '리라글루티드' CDMO 협력 강화 소식 속 내년 국내 독점 출시 기대감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4일 '2025 기술사업화 비즈니스 교류' 행사를 개최하며, 인도 실파 파마라이프사이언스(Shilpa Pharma Lifesciences Limited, 이하 실파)와의 기술사업화 협력을 한층 강화했다고 밝힘. 이번 협력을 통해 동사의 고도화된 합성 펩타이드 기술력과 실파의 펩타이드 의약품 제조 역량이 결합될 경우 비용 절감, 수율 향상, 높은 순도 및 품질 개선 측면에서 상당한 이점이 예상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융합기술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협력을 통해 동사의 특허 기술이 적용된리라글루티드는 2026년 한국 시장에 자사만의 특허공법을 적용한 API를 통해 독점 공급이 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고 언급. 이어 "양사의 협력으로 국내에서 비만 치료제 시장 런칭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해외 진출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동사는 비만 치료제 및 합성 펩타이드 개발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옴니시스템(057540): 지난해 실적 호조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90.89억원(전년대비 +19.31%), 영업이익 59.53억원(전년대비 +1,850.46%), 순이익 67.16억원(전년대비 +1,042.52%). 이와 관련, 연결대상 종속회사(베트남 법인)의 실적 개선에 따라 매출액 및 이익이 증가했다고 밝힘.

 

와이씨켐(112290): 차세대 HBM용 스핀 코팅 소재 본격 상업생산 착수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3E부터 사용되는 차세대 스핀 코팅용 소재(Spin-on Hardmask, SOC)의 글로벌 반도체 기업 양산 평가를 최종 통과하고 본격적인 상업 생산에 착수했다고 밝힘. 동사는 이번 양산을 계기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공략을 본격화할 계획. 특히, 첨단 반도체 공정 전반으로 기술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여 시장 경쟁력을 높여나갈 방침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상업 생산 착수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 당사의 차세대 SOC 소재를 공식적으로 채택했다는 의미"라며, "향후 HBM뿐만 아니라, 첨단 반도체 공정 전반으로 기술 적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애니젠(196300): HLB그룹으로 피인수 소식 등에 강세
▷HLB그룹은 전일 장 마감 후 국내 유일 펩타이드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인증 공장을 보유한 동사를 인수했다고 밝힘. HLB그룹은 7개 계열사가 150억원 규모인 동사의 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고, 50억원의 전환사채(CB)를 인수한다고 설명. 이와 별도로 재무적 투자자(FI)도 50억원 유상증자에 참여하고 35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인수한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는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에이치엘비 주식회사 등 대상 40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8,509원, 전환청구일:2026-04-08 ~ 2028-03-08) 공시. 또한, 3,290,011주(19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정정공시. 제3자배정 대상자가 기존 ㈜KD홀딩스, ㈜청담파트너스에서 에이치엘비제넥스, 에이치엘비생명과학 등 HLB그룹으로 변경.
▷언론에 따르면, 자금난에 시달렸던 동사가 HLB그룹의 인수로 600억원의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고 전해짐. 이에 따라 기존 GLP-1 비만치료제 대비 약효와 약동(PK)을 크게 개선한 신규 GLP-1 비만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으며, 특히 장기지속형 주사제로 비만치료제를 개발중인 HLB제약과의 협업 시너지도 기대되고 있음.
▷아울러 美 cGMP 허가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인텔리안테크(189300): 원웹향 반사 수혜 기대감 등에 강세
▷리딩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저궤도 위성서비스 시장의 새로운 판도에 유리한 기업으로써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원웹(OneWeb)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미국과 우크라이나와의 마찰로 인한 군 사지원 중단으로 미국 스타링크(Starlink)의 우크라이나 서비스가 중단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원웹의 스타링크 대체 가능성이 높아져 원웹에 납품을 하고 있는 동사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분석.
▷또한, 동사의 게이트웨이(Gateway)용 안테나 매출도 올해에는 1,000억원 이상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며 유텔셋향 매출 증대 외에도 텔레셋(TELESAT)과 SES, 그리고 A사향 중궤도,저궤도 위성서비스 관련 신규 사업자향 매출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올해 본업인 위성형 평판 안테나의 매출 증가로 인해 외형과 영업이익의 증가가 예상된다며, 상반기보다 하반기 실적이 급격하게 좋아지면서 전반적인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추정.

 

클리오(237880): 1분기 실적 정상화 기대감 등에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첫 관문, 실적 정상화가 기대된다고 전망. 특히, 국내와 일본 사업 실적이 회복하면서 실적 턴어라운드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하며, 국내 사업 매출이 YoY 4% 증가를 예상. 아울러 해리포터 콜라보와 SS 신제품 매쉬 글로우 쿠션 판매 호조로 국내 H&B 매출 전분기 대비 25% 이상 성장이예상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에센셜 립치크 탭 히트로 YoY 10% 매출 성장이 가능 할 전망. 인플루언서 바이럴 확대로 드럭스토어 입점까지 빠르게 늘고 있으며, 동남아 매출도 QoQ 30% 개선이 가능해 보인다고 분석. 또한, 전분기 재고소진으로 1분기 재고확충 수요가 클 것으로 보이며, 해리포터 콜라보 매출이 추가적으로 기대.
▷한편, 현재주가는 12MF PER 11배로 밴드 하단에 위치해 있으며, 국내 최대 색조 브랜드 기업으로 2020년 이후 연평균 12% 견조한 외형 성장과 브랜드 인지도를 감안하면 상당히 저평가 상태라고 분석. 아울러 2025년 일본을 비롯한 미국, 유럽, 동남아 등지 본격적인 해외 사업 확대 전략은 실적 가시성이 높다고 전망.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26,000원[신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사유 발생에도 올해 현금 유동성 충분 해명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사유 발생 및 관리종목 지정우려 관련 안내 공시. 2024 사업연도 외부감사 결과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는 법인세비용차감전손실이 확인될 경우 상장규정 제53조 및 동시행세칙 제49조에 따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고 밝힘.
▷동사는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최근 BBT-877의 임상 2상 완료 및 사업개발 활동과 맞물려, 자본 확충이 적절 시기에 이루어지지 못하여 관리종목 지정 우려 사유가 발생하게 됐다고 밝힘. 다만, 올해 초 기준 현금 유동성은 올해 말까지 주요 연구개발 과제들을 이끌어 나가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문제가 없으며, 핵심과제인 BBT-877 및 BBT-207의 본질 가치에도 영향이 없다고 언급.
▷이어 다음 달 확보될 BBT-877의 임상 2상 톱라인 데이터를 발판 삼아 신속하게 글로벌 기술이전을 이루어 재무구조를 강화하고 관리종목 탈피 사유를 마련함과 동시에, 미래 성장을 위한 파이프라인 보강 등 기업 본질 가치의 제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

 

플레이디(237820):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예정 속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주)나스미디어와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주)케이티가 (주)숲에 보유주식 9,027,140주를 734.98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공시.

 

넥슨게임즈(225570): 분기 적자 확대 전망 등에 약세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기존작 부진과 인건비 부담으로 분기 적자 확대가 전망된다고 밝힘. 지난해 4분기 동사의 매출 및 영업이익은 483억원(+0.4% YoY)과 21억원의 영업적자로 매출은 당사 기대치에 미달했으나 부진한 성과로 인건비가 QoQ 감소하며 적자는 예상 수준에 부합했다고 언급. 이어 동사는 올해 500억원대의 적자 전환이 예상된다며 퍼디, 블루아카이브 모두 예상 대비 부진한 가운데, 7월 1주년 업데이트까지 큰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분석.
▷아울러 합병 후 900명 수준이던 인력은 현재 1,400명까지 증가하며 본격 현금 소진 구간에 진입한다고 밝힘. 합병 전 순수 개발 회사였을 때 평균 시총을 개발에 대한 가치로 가정, 개발가치와 자산 가치를 합산하여 적정주가와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 -> SELL[하향], 목표주가 : 32,000원 -> 10,000원[하향]

 

레드캡투어(038390): 배당락 여파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배당락이 금일 실시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13,400원임. 한편, 동사는 지난 2월 보통주 1주당 2,000원(시가배당율 22.4%) 현금배당(결산배당)을 결정(배당기준일:2025-03-12)한 바 있음.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