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3.17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3-17 15:07
- 조회수 :
- 220
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강세 테마: 반도체 대표주(생산), 드론(Drone), 3D 낸드(NAND), HBM(고대역폭메모리), 그래핀, LED장비, 캐릭터상품, 조선, 마리화나(대마), 온디바이스 AI,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뉴로모픽 반도체, 반도체 재료/부품,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시스템반도체, 자전거, 항공기부품, IT 대표주,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반도체 장비, 마이크로 LED 등...
약세 테마: 렌터카, 엠폭스(원숭이두창), 정유, 셰일가스(Shale Gas), 2차전지(생산), 의료AI, mRNA(메신저 리보핵산), 게임, CCTV&DVR, 모바일게임(스마트폰), 콜드체인(저온 유통), 핵융합에너지,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탈모 치료, 홈쇼핑,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석유화학, 전선,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유전자 치료제/분석, 원자력발전 등...
<특징 테마>
미용기기/ 의료기기/ 보톡스(보툴리눔톡신): 견조한 실적 성장세 전망 등에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용의료기기 업종이 설 연휴로 인한 MoM 및 YoY 기저 효과를 감안하더라도 견조한 수출을 기록했다고 밝힘. 2024년 외국인 관광객 미용 성형 의료 용역에 대한 부과세 환급은 103만건으로 YoY +169% 증가했으며, 2025년2월 전체 의료관광 소비 금액 및 피부과 소비 금액은 각각 953억원과 488억원으로 YoY +61%, +105% 증가했다고 언급.
▷아울러 2025년3월 여행 성수기 돌입과 함께 의료 관광 소비 금액 MoM 증가가 기대된다며, 2025년에도 해외 진출 국가 확대에 따른 매출 성장과 함께 인바운드 의료 관광객 증가에 따른 매출 증가가 동반되며 국내 미용 의료기기 업체들의 실적 성장 기대가 가능하다고 설명.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제테마, 휴온스글로벌, 휴메딕스, 동방메디컬, 에이피알 등 미용기기/ 의료기기/ 보톡스 등 테마가 상승.
정치/인맥(이재명 등): 尹 대통령 탄핵 선고 임박 속 상승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이번 주 20~21일에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헌재는 이번 사건처럼 정기 선고일이 아닌 별도의 특별기일을 지정해 선고하는 경우 통상 2∼3일 전 선고일을 당사자들에게 알려왔는데, 이날 또는 18일 중 헌재가 선고일을 발표하고, 이번 주 후반에는 사건을 매듭지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고 전해짐.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남녀 1,501명을 대상으로 여야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6.9%로 1위를 기록.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전주 대비 0.8%p 하락한 18.1%로 2위를 기록했으며, 뒤이어 홍준표 대구시장 6.5%,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6.3%, 오세훈 서울시장 6.2%,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2.4%의 지지도를 나타냈음.
▷이 같은 소식 속 오리엔트정공, 오리엔트바이오, 에이텍, 에이텍모빌리티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가 상승. SG글로벌 등 정치/인맥(김동연), 평화홀딩스, 평화산업 등 정치/인맥(김문수), 진양화학, 진양폴리, 진양산업 등 정치/인맥(오세훈), 디티앤씨알오, 태양금속, 오파스넷 등 정치/인맥(한동훈) 등 테마도 상승. 또한, 안철수 의원이 이명박 전 대통령을 답방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써니전자, 안랩 등 정치/인맥(안철수) 테마도 상승.
화장품: 방한 관광객, K-뷰티 결제율 상승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언론에 따르면, 한국을 찾은 외국인 여행객 11% 가량이 한국에서 K-뷰티 제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음. 비자(Visa)는 ‘비자, 글로벌 트레블 인사이트’ 보고서를 통해 자국에서는 쉽게 구할 수 없는 해외의 특정 상품을 구매하는 여행 트렌드가 증가하고 있다며, 그 예로 K-뷰티와 두바이초콜릿을 꼽았음.
▷지난해 4분기 기준 비자 카드를 소지한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11%가 한국 내 오프라인 화장품 및 스킨케어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 및 결제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2022년 4분기(9.4%)보다 약 1.6%P(포인트) 증가한 수치임. 한국과 인접한 아시아 국가를 비롯해 일부 중동 국가 여행객의 K-뷰티 선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지난해 4분기 기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한국을 방문한 여행객의 22%가 오프라인 뷰티 스토어에서 제품을 구매했고, 필리핀(21%)과 인도네시아(20%) 여행객 5명 중 1명이 한국에서 화장품 및 스킨케어 제품을 구입한 것으로 전해짐.
▷또한, 中 경기 부양 및 한한령 해제 기대감도 지속. 봉준호 감독 '미키17' 中 개봉 및 중국의 APEC 정상회의 준비기구인 중국아태협력중심이 이르면 이달 한국에 문화사절단을 파견한다는 소식 등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이날 오후 재정부, 상무부, 인민은행 등이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소비 진작 관련 상황을 소개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비엘팜텍, 에스엠씨지, 애니젠, 네오팜, 인크레더블버즈, 잉글우드랩 등 일부 화장품 테마가 상승.
석유화학: 업황 둔화 국면 지속 전망 등에 하락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석유화학산업의 둔화 국면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석유화학제품의 저조한 스프레드는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 2027년까지 증설 사이클이 지속됨에 따라 글로벌 가동률(수급 밸런스)은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고 밝힘. 미국 석유 증산 정책, OPEC+ 감산 종료, 러우 전쟁 종결 등 원재료 가격의 하향 안정화 요인이 존재하나 악화된 수급 상황 속 원재료 가격 하락 시 제품 가격이 동반 하락하며 스프레드가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 유가가 하락하는 구간이 아니라 바닥에서 반등하는 시점에 본격적인 스프레드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
▷롯데케미칼에 대해서는 1분기 매출액 5.2조원(+5.7% q-q), 영업적자1,192억원(적자지속q-q, 영업이익률-2.3%)으로 시장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할 것으로 예상. 다만, 2분기는 유가하락에 따른 역래깅 영향으로 적자폭이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롯데케미칼, SK이노베이션, SKC, 태광산업, 그린케미칼, 애경케미칼 등 석유화학 테마가 하락.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HDC현대산업개발(294870): 약 4,36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4%) 규모 단계주공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시공사 선정에 소폭 상승
▷약 4,36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4%) 규모 단계주공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공시.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데브시스터즈(194480): 쿠키런: 킹덤 4주년 맞이 특별전 누적 관람객 11만 명 돌파 소식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스튜디오킹덤에서 개발한 모바일 RPG 쿠키런: 킹덤이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쇼룸에서 열린 ‘진리와 거짓의 게임’ 특별전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힘. ‘진리와 거짓의 게임’ 특별전은 쿠키런: 킹덤이 4주년을 기념해 기획된 전시로 게임 속 세계관을 색다르게 경험할 수 있도록 전통문화 아트 콜라보 작품과 체험 프로그램을 결합한 형태로 진행됐으며, 전시기간 동안 현장에는 총 11만 명이 넘는 관람객을 맞이했다고 밝힘.
▷조길현 대표는 “유저가 쿠키런: 킹덤 안에서 가장 재미 있게 플레이하는 요소 하나하나를 게임 밖에서도 즐길 수 있도록 경험 확장에 힘을 쏟고 있다”며, “앞으로도 쿠키런 IP에 걸맞은 규모감과 다양한 형태로 오프라인 경험을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HLB 그룹주: 간암 1차 치료제 병용요법, 美 FDA 승인 임박 등에 급등
▷HLB의 간암 1차 치료제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리보캄렐)' 병용요법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여부가 오는 20일(현지시간) 결정될 예정인 가운데, 승인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이번에 FDA 승인을 받게 되면, 국내 기업이 기술 수출 없이 자력으로 모든 임상과 개발을 완료한 뒤 항암제 승인을 받는 첫 사례가 된다고 전해짐.
▷HLB는 지난해 5월 FDA로부터 병용요법 허가와 관련해 보완요구서한(CRL)을 받은 뒤 지난해 9월 재심사를 요청한 바 있음. 당시 FDA가 지적한 것은 항서제약의 캄렐리주맙 제조품질관리(CMC) 문제와 일부 임상 현장에서 실사를 하지 않은 문제였고, HLB는 FDA가 지난해 11월 임상병원 등현장실사(BIMO)를 진행한 결과 ‘보완할 사항 없음(NAI)’ 판정을 내린 만큼 품목허가가 나올 것으로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HLB제약, HLB생명과학, HLB, HLB테라퓨틱스, HLB바이오스텝 등 HLB그룹주가 상승.
[종목]: HLB제약, HLB생명과학, HLB, HLB테라퓨틱스, HLB바이오스텝
현대ADM(187660): 현대바이오와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 연구 발표 예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현대바이오와 오는 4월25일부터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5년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에서 '가짜내성(Pseudo-Resistance)을 진짜내성(True-resistance)으로 잘못 인식해 온 80년 항암치료 역사상 최대 오류를 세계 최초로 과학적으로 실증하고 가짜내성을 치료하는 '페니트리움(Penetrium)의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힘. 아울러 가짜 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의 신속한 상용화를 위해 현대바이오는 췌장암과 전립선암을, 동사는 삼중음성유방암과 폐암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을 신속히 진행할 예정.
▷진근우 현대바이오 연구 총괄 부문장은 "가짜내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은 지난 80년간 지속되어 온 항암치료의 최대 오류를 밝혀낸 것"이라며, "가짜내성을 해결하는 페니트리움을 개발한 것은 새로운 항암치료의 장을 여는 역사적 성과"라고 밝힘.
파인텍(131760): 삼성 디스플레이 베트남 법인과 65.20억원 규모 OLED 제조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SAMSUNG DISPLAY VIETNAM CO., LTD.와 65.2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4.57%) 규모 공급계약(OLED 제조장비) 체결(계약기간:2025-03-14~2025-09-30) 공시.
클로봇(466100): 인천공항과 청소로봇 실증사업 본격화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해 12월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공모한 신기술테스트베드 사업에 선정되어 올해부터 인천공항제2터미널에서 청소로봇 운영 중이라고 밝힘. 이번에 인천공항에 투입된 청소로봇은 'R3 Scrub Pro' 모델로, 인천공항과 같은 초대형 실내공간에서 자율주행 청소로봇을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한 필수 사양인 3D Lidar(라이다)가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박상균 서비스로봇사업부장 상무는 "청소로봇은 청소 품질과 자율주행품질을 동시에 확보해야 하는 기술적 난제가 있다"며 "이번 인천공항 실증 사업은 동사의 청소로봇 기술력을 입증할 수 있는좋은 기회"라고 밝힘.
RFHIC(218410): 69.13억원 규모 K2전차 수신전단기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주)큐니온과 69.1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20%) 규모 공급계약(K2전차 수신전단기) 체결(계약기간:2025-03-14~2026-05-05) 공시.
웹케시(053580): 기존 서비스의 수수료 인상 및 신제품 출시 등으로 인하여 매출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1분기를 저점으로 연속 3분기 동안 전년동기대비 매출 성장세 지속은 긍정적이라고 밝힘. 아울러 기존 서비스의 수수료 인상 및 신제품 출시 등으로 인하여 매출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
▷실적이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기존 고객을 중심으로 수수료 인상 및 경리나라 신상품 라인 출시, 경리나라 기반 '전산 경리'자격증 제도 시행 등의 효과로 실적 성장을 기대하고 있고, 신제품인 'WeHub', 'AI CFO' 등의 신제품 출시로 중장기적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 등으로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1,000원 -> 13,000원[상향]
에이비엘바이오(298380): Grabody B 플랫폼 및 파이프라인 성과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는 Grabody B 플랫폼 및 파이프라인 성과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올해 상반기에는 ABL001 및 ABL111의 임상 데이터 공개, 하반기는 ABL301의 임상 1상 결과 발표와 Grabody B의 신규 기술이전 계약 체결이 예정되어 있다고 언급. 특히, 2022년 사노피에 기술이전 이후 두번째 기술 이전 계약이 체결된다면 기업가치가 큰 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0,000원[유지]
이노스페이스(462350): 305.99억원 규모 제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및 발사체 '한빛' 발사대 독자개발 성공 소식 등에 소폭 상승
▷지난 14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아이엠엠 Growth 벤처펀드 제2호 등 대상 기타주식(기명식 전환우선주) 1,490,860주(305.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20,525원, 상장예정:-) 공시.
▷금일 동사는 언론을 통해 위성 발사체 '한빛-나노(HANBIT)' 발사의 핵심 인프라인 발사대를 독자 개발하고, 발사대-발사체 체계연동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힘.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친 발사대는 브라질 발사장 알칸타라 우주센터로 오는 4월2일 해상 운송을 시작할 예정이며 5월 브라질 발사장에 도착 후 설치 및 현지 환경에서의 최종 점검을 거쳐 발사 운용 준비를 완료할 계획임.
▷이와 관련, 김수종 동사 대표이사는 "발사대-발사체 체계연동시험은 '한빛-나노' 발사를 위한 중요한 개발 마일스톤으로, 이번의 성공적 시험 완료는 동사의 독자적인 기술력과 발사 운용 역량을 입증하는 중요한 성과"라고 언급. 이어 "자체 개발한 발사대 검증시험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발사 준비에 돌입한 만큼, 앞으로 남은 절차를 철저히 점검하며 신뢰성 높은 발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
우림피티에스(101170): 지난해 적자전환에 소폭 하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17.66억원(전년대비 +25.14%), 영업손실 15.99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71.39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