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3.21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3-21 11:47
조회수 :
217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반도체 대표주(생산),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온디바이스 AI, LED장비, 편의점, 폐기물처리, 뉴로모픽 반도체,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밥솥, 아이폰, 면세점, 3D 낸드(NAND),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육계, 반도체 장비, 시스템반도체, 캐릭터상품, 반도체 재료/부품, 카지노, 소매유통, PCB(FPCB 등), HBM(고대역폭메모리), 음원/음반, 건설 중소형, 여행 등...

 

약세 테마: 일자리(취업), 전선, 콜드체인(저온 유통), 리튬, 2차전지(전고체), 2차전지(생산), 면역항암제, CCTV&DVR,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마리화나(대마), 줄기세포, 유전자 치료제/분석, 비만치료제,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전력설비, 양자암호/양자컴퓨팅, 그래핀, mRNA(메신저 리보핵산), 의료AI, 철강 주요종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석유화학, 강관업체(Steel pipe), 치매,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등...

 

 

 

 

<특징 테마>  

반도체 관련주: 美 마이크론 실적 호조, 국내 반도체 수출 증가세 지속 등에 상승
▷미국 최대 컴퓨터 메모리 칩 제조업체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20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마이크론의 2025 회계연도 2분기(12~2월) 매출은 38% 증가한 80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79억1000만 달러)를 웃돌았으며, 조정 주당순이익도 1.56달러로 시장 예상치(1.43달러)를 상회했음. 특히, HBM 매출이 1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이는 강력한 실행력과 AI 수요 증가라고 설명.

▷아울러 마이크론은 2025 회계연도 3분기(3~5월) 매출 가이던스를 86억달러에서 90억달러로 제시. 당초 월가에서 기대했던 84억7,000만달러를 상회했으며, 회계연도 3분기 EPS 중간값도 1.57달러로 시장 기대치 1.52달러보다 높았음. 이와 관련, 산제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최고경영자(CEO)는 "회계연도 3분기에 데이터센터 등을 중심으로 D램과 낸드 플래시 수요가 증가해 사상 최대의 분기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 이에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뉴욕증시 시간외 거래에서 상승세를 보임.

▷한편, 관세청에 따르면, 3월1~20일까지 수출액이 355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5%(15억3,000만 달러) 증가한 가운데, 반도체 수출은 11.6% 증가한 것으로 전해짐. 반도체 수출 비중은 19.9%로 1.3%포인트 상승했음.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하나마이크론, 네오셈, 이오테크닉스, 미래반도체,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어보브반도체, 심텍, 제주반도체, 칩스앤미디어, 에스티아이 등
반도체 대표주(생산)/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재료/부품/ 반도체 장비/ 뉴로모픽 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테마가 상승.

 


中 소비 관련주: 중국인 단체관광객 '한시 비자면제' 3분기 시행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 비자면제를 오는 3분기 중 시행할 예정. 이와 관련, 문화체육관광부는 20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경제부총리 주재로 경주에서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런 내용의 '방한관광 시장 글로벌 성장전략'을 발표했으며, 우선 전담여행사가 모집한 중국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시 비자면제 시행계획을 다음 달 중 발표할 계획임.

▷정부는 베이징·상하이 등 중국 1선 도시를 중심으로는 20∼30대 개별관광객을 유치하고 2·3선 도시를 겨냥해 스포츠, 미식, 뷰티, 종교, 문화예술 등 테마형 관광상품을 개발해 단체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힘쓸 계획을 내비쳤음. 또한, 일본인 관광객의 경우 기존 방한 핵심층인 20∼30대 여성 외에도 타 연령층과 남성 관광객 유치에 힘쓰기로 했으며, 일본인의 3대 선호 테마인 쇼핑·미식·뷰티를 집중적으로 홍보하는 것에서 나아가 미래세대는 수학여행, 남성은 패션과 스포츠, 중장년층은 미식과 자연 등으로 세분화해 맞춤형 홍보를 펼칠 계획임.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콜마비앤에이치, 마녀공장, 한국화장품, 롯데관광개발, 글로벌텍스프리, 호텔신라 등 일부 화장품/면세점/여행/카지노 등 중국 소비 관련 테마가 상승.

 


제약/바이오 관련주: HLB 간암 1차 치료제 美 FDA 승인 재차 불발 속 바이오 투자심리 위축 등에 하락
▷HLB그룹의 간암신약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이 다시 한번 보완요청서(CRL)를 발급, 승인이 불발됐음. HLB, 간암 1차 치료제(리보세라닙, 캄렐리주맙 병용요법) FDA로부터 보완요구서한(CRL, Complete Response Letter)수령 공시. 리보세라닙은 캄렐리주맙과 병용요법으로 사용하므로, 캄렐리주맙이 승인요건을 갖출때까지 결정을 보류한다고 밝힘. 이에 HLB의 미국 내 종속회사 Elevar Therapeutics, Inc.는 상기 보완사항에 대해신속히 보완하여 FDA에 재승인 신청을 진행할 예정.

▷진양곤 HLB 회장은 이날 오전 유튜브를 통해 미국 FDA가 간암 1차 치료제로 신약 허가를 신청한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의 병용요법에 대해 다시 한번 보완 요청서, 즉 CRL을 보내왔다고 밝힘. 이어 "작년 5월 1차 CRL은 캄렐리주맙의 CMC(제조·품질관리)와 BIMO(임상 현장 실사) 두 가지였으나 이번 CRL은 캄렐리주맙 CMC 지적 사항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이유 하나"라며 "CRL에는 미비점이 무엇인지 적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항서제약은 FDA와 빠르게 접촉해 보완할 내용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파악한 후에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제약/바이오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되며 대화제약, 유한양행, 아이큐어, 메드팩토, 오스코텍, 올리패스, 앱클론, 한올바이오파마 등 제약업체, 면역항암제, 유전자 치료제/분석,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등 전반적인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하락.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60조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여파 등에 하락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5,950,500주(3.60조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605,000원,1주당 약 0.10주 배정,청약예정:2025년06월03일~2025년06월04일(구주주),상장예정:2025-06-24) 공시. 이번 유증을 통해 해외 지상 방산, 조선해양, 해양 방산 거점을 확보해 글로벌 방산, 조선해양, 우주항공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밝힘.

▷이와 관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향후 수년간 얼마를 벌게 되겠지만, 문제는 투자의 시급성으로 유럽의 라인메탈 등 상당수 경쟁 기업이 최근 투자에 들어가고 있다며, 남은 2∼3년을 골든 타임이라고 생각하고 이번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안다고 밝힘. 이에 대해 금감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규모가 크고 1999년 이후 첫 유상증자인 점을 고려해 중점심사 대상으로 심사할 계획임.

▷메리츠증권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해 공격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면서도 연간 투자 목표액이 한해 2조원을 초과하지 않기에 연간 영업이익이 2조원을 웃도는 회사의 이익체력만으로 가능했을 것이란 아쉬움이 존재한다고 밝힘. 또한, 다올투자증권은 유럽과 중동 방산 현지화와 미국 전투함 시장 진출을 위한 투자 당위성은 공감하지만 자금조달 방식은 아쉽다면서도 회사가 제시하는 긴박한 투자 환경과 전략의 성공 가능성에 동의한다면 유증 충격에 따른 주가하락을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

▷이 같은 소식 속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 한화시스템 등 한화 그룹주를 비롯해 HJ중공업, 쎄트렉아이, RF시스템즈, 한국항공우주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가 하락.

 


양자암호/양자컴퓨팅: 엔비디아 '양자의 날' 행사 속 美 양자컴퓨팅 관련주 급락 영향 등에 하락
▷지난밤 엔비디아 '양자의 날' 행사에서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유용한 양자 컴퓨터가 나오는 데에는 20년은 걸릴 것이라고 했던 자신의 지난 1월 발언에 대해 사과했음. 젠슨 황 CEO는 1월 발언과 관련, "내 첫 반응은 '그들이 상장기업인지 몰랐다. 양자컴퓨팅 회사가 어떻게 상장기업일 수 있지'였다"며, 자신의 발언으로 주가가 급락한 부분에 대해 미안함을 나타냈음. 이어 "나는 컴퓨팅 플랫폼을 구축해 온 사람으로, 엔비디아를 설립하고 쿠다(CUDA)를 개발해 현재의 컴퓨팅 플랫폼으로 만드는 데 20년이 넘게 걸렸다"며, "5, 10, 15, 20년이라는 범위는 나에게 그리 긴 시간은 아니다"라고 덧붙였음. 다만, "이 기술은 엄청나게 복잡해 성숙해지는 데 수년이 걸린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며, 자신의 발언을 굽히지는 않았음.

▷이에 지난밤 아이온큐(-9.27%), 디 웨이브 퀀텀(-18.02%), 퀀텀 컴퓨팅(-11.71%), 리게티 컴퓨팅(-9.24%) 등 양자컴퓨팅 관련주들이 급락했음.

▷이 같은 소식에 딥마인드,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엑스게이트, 케이씨에스, 라닉스, 한울소재과학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하락.

 


정치/인맥(이재명 등): 오는 24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선고에 따른 尹 대통령 탄핵심판 지연 가능성 등에 하락
▷헌법재판소는 전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선고를 오는 24일 오전 10시에 진행한다고 발표. 한 총리 탄핵심판은 지난달 19일 변론을 마치고 선고만 남겨둔 상태로 법조계에서는 한 총리 탄핵이 기각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어, 한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조만간 복귀할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함.

▷언론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심판 선고일을 윤석열 대통령보다 먼저 지정하면서 정국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고 전해짐. 윤 대통령 사건은 변론 종결 후 23일 넘게 선고기일을 잡지 못하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26일) 전후에 선고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음. 다만, 26일 고교 3학년 전국 모의고사가 예정돼 있는 점도 변수로 서울시교육청은 선고 당일 헌재 인근 초중고교를 모두 휴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어 26일 선고가 이뤄진다면 모의고사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전해짐. 이에 4월 초중순까지 선고가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오리엔트정공, 오리엔트바이오, 디젠스, 형지I&C, 동신건설, 일성건설 등 정치/인맥(이재명), 평화홀딩스, 대영포장 등 정치/인맥(김문수), 디티앤씨알오, 오파스넷 등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등이 하락.

▷반면, NE능률 등 일부 정치/인맥(윤석열) 테마는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이마트(139480):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기대감 등에 강세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7조2,724억원(+0.9% YoY), 영업이익은 1,446억원(+206.9% YoY, OPM +2.0%)으로 매출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고 영업이익은 31.9% 상회할 것으로 전망. 컨센서스에 PPA 상각비(분기 240억원) 제외 효과가 일부만 반영되어있는 걸로 보이며, 이를 고려해도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걸로 추정한다고 분석.
▷아울러 현재 홈플러스의 파산 가능성을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회사가 체질 개선을 하는 과정에서 부실 점포 폐점과 할인 축소 등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고, 이는 산업 내 경쟁 완화 요인이기 때문에 동사에 긍정적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90,000원 -> 115,000원[상향]

 

현대글로비스(086280): 올해 실적 성장 및 배당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최근 관세인상과 USTR 제재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주가가 조정받았지만, 1분기 호실적을 통해 관련 우려들은 해소될 것으로 전망.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28% 증가한 4,930억원으로 예상되며, 연간 가이던스 상단을 초과달성하는 페이스라고 밝힘.
▷아울러 앞서 동사는 2025년 영업이익 가이던스를 시장 컨센서스 2조원에 못 미치는 1.8~1.9조원(vs. 2024년 1.75조원)으로 제시했지만, 올해 환율 가정이 1,320원으로 낮게 반영되어 있어 1천억원 이상의 업사이드 요인이 존재한다고 밝힘. 이어 작년에도 실제 영업이익은 가이던스 상단을 상회했음을 감안해 보수적인 공시기조에 대해 걱정하기보단 작년 6월말 인베스터 데이에서 약속했던 올해 배당확대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85,000원[유지]

 

한화 그룹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6조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등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5,950,500주(3.60조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605,000원,1주당 약 0.10주 배정,청약예정:2025년06월03일~2025년06월04일(구주주),상장예정:2025-06-24) 공시.
▷다올투자증권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해 유럽과 중동 방산 현지화, 합작법인(JV)을 위한 미국 전투함 시장 진출을 위한 투자 당위성은 공감한다면서도 자금 조달 방식은 아쉽다고 밝힘. 이어 희석요인을 반영해 적정주가를 70만원으로 하향해 투자의견을 HOLD로 낮추고, 현 적정 PER 20배를 유지할만한 대단한 투자가 집행되는지 지켜보려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 -> HOLD[하향], 목표주가 : 780,000원 -> 700,000원[하향]
[종목]: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 한화오션, 한화엔진, 한화비전, 한화생명, 한화시스템, 한화솔루션, 한화갤러리아

 

이엔플러스/윌비스/인스코비/큐라티스: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
[종목]: 이엔플러스, 윌비스, 인스코비, 큐라티스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디에이치엑스컴퍼니(031860): 투자주의환기종목사유 일부해제에 상한가
▷전일 장 마감 후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사유 해소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사유 일부해제 공시.

 

앤디포스/THE E&M/푸드나무/대한광통신/소프트센: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급등
▷앤디포스/THE E&M/푸드나무/대한광통신/소프트센, 전일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한편, 푸드나무, 자본잠식률 50% 이상 및 최근 3사업연도중 2사업연도 자기자본 50%초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으로 관리종목 지정 공시.
[종목]: 앤디포스, THE E&M, 푸드나무, 대한광통신, 소프트센

 

심플랫폼(444530):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5,000원을 상회한 21,05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중. 한편, 동사는 산업용 AIoT(지능형 사물인터넷 기술 및 서비스) 전문업체로 산업용 장비 연계를 통한 데이터 수집과 산업용 AI의 결합을 통해 산업용 AIoT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산업용 AIoT 플랫폼인 'NUBISON AIoT'를 운영.

 

캐리/베셀/KD: 투자주의환기종목 해제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캐리,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사유 해소 등, 계속기업 불확실성에 의한 한정 사유 해소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해제 공시.
▷베셀/KD,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사유 해소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해제 공시.
[종목]: 캐리, 베셀, KD

 

티움바이오(321550): 100억원 규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NH투자증권 주식회사 등 대상으로 100.00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36,000원, 교환청구일:2025-08-07 ~ 2029-02-27) 공시.

 

크라우드웍스(355390): 中 딥시크와 한국형 LLM 공동 개발 소식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한국 진출 첫 파트너로 동사를 선택했다고 전해짐. 동사와 딥시크는 이달 중 한국형 LLM 공동 개발 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할 예정으로 딥시크는 이번 동사와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할 전망이라고 알려짐.
▷딥시크의 AI모델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주제나 한국어 지원 제한 등의 한계가 존재했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동사로부터 한국 특화 데이터를 받아 활용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한국 시장에 최적화된 저비용, 고성능 LLM을 개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전해짐.

 

케이피에스(256940): 中 FMM 제조사와 34억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국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부품·소재 기업인 중링(Zhejiang Zhongling Technology Co.,Ltd)과 약 34억원 규모의 공정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은 중국 저장성 소재 중링에 기존 6세대 및 차세대인 8세대 OLED 공정장비를 납품하는 것으로, 계약기간은 오는 9월30일까지임.
▷한편, 중링은 OLED 패널 제조에 필수적인 파인메탈마스크(FMM) 기술 개발에 주력하는 곳으로 일본 다이니폰프린팅(DNP)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8세대 FMM 시험 생산에 성공한 바 있음. 기술 국산화를 위해 정부의 막대한 지원을 바탕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FMM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음.

 

코오롱티슈진(950160): 골관절염 치료제 TG-C, 무릎 골관절염 근원 치료제(DMOAD) 승인 기대감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골관절염 치료제인 TG-C의 무릎 골관절염 근원치료제(DMOAD) 승인이 기대된다고 밝힘. TG-C는 2028년 무릎 OA 치료제로 FDA 승인을 획득한 후 2032년 DMOAD로 확장할 것으로 추정. DMOAD 확장을 위해서는 연골 재생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 관건인데 TG-C 연골 재생 효과를 드러내는데 유리한 분석법을 적용하고, 환자 수 확대, 관찰 기간 연장을 적용해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며, 4월 말 공개될 장기 추적 임상 결과가 골관절염 DMOAD 승인기대감을 고조시킬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100,000원[신규]

 

CJ프레시웨이(051500):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상승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연결 기준 매출액은 7,848억원(+7.3%yoy). 영업이익 116억원(+10.6%yoy, OPM 1.5%)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 이중 식자재유통 부문은 1Q25 매출 +8.0%yoy, 영업이익 +15%yoy가 전망된다며, 외식 경기 침체로 인한 어려운 영업 환경 속에서도 프랜차이즈/O2O향 매출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 특히, 지난 4Q25 온라인 매출액은 260억원으로 1Q25에도 QoQ 증가하고있으며 2025년 1,000억원(vs. 2024년 약 600억) 이상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푸드서비스 부문은 1Q25 매출 +6.1%yoy, 영업이익 +10.6%yoy가 전망된다며, 푸드서비스 런치플레이션 영향으로 꾸준한 신규 수주 확보하였으나, 지난해 병원 파업 영향으로 인한 식수 감소, 이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로 쉽지 않은 한 해를 보내고 있다고 설명. 다만, 중소형병원 시장 영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아파트 신경로 확대, 레저/컨세션 부문의 인천공항 4개 사이트 수주(4개 사이트 매출 규모 약 450~500억 규모, 1Q25 1개 오픈, 3Q25 2개 오픈, 2026년 1개 오픈) 등 신규 수주 지속 확대됨에 따라 올해 지속적인 회복 곡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1,000원[유지]

 

대진첨단소재(393970): 독일 보쉬 자회사와 16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독일 로버트 보쉬 유한회사(보쉬)의 자회사 BSH 홈 어플라이언스(BSH)와 160억원 규모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계약 품목은 가전 제품용 플라스틱 부품이며, 동사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유럽 완성차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할 계획임.
▷이와 관련, 유성준 동사 대표는 "이번 수주는 포트폴리오 다각화 측면에서 그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사례로 향후 성장 동력이 확인된 것"이라며, "대규모 설비 능력을 갖춘 폴란드 법인을 중심으로 유럽 시장 및 가전,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힘.

 

아이디스(143160): 3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199,733주(3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3-21~2025-06-20) 공시.

 

마녀공장(439090):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엘앤피코스메틱 주식회사가 케이뷰티홀딩스 유한회사에 보유주식 8,494,598주를 1,900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예정일:2025-04-30) 공시.

 

KB제28호스팩(476470): 상장예비심사 승인 속 거래재개 첫날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주식회사 뉴키즈온과의 상장예비심사 승인 공시. 이에 지난해 10월31일부터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한편, 동사는 지난해 10월 주식회사 뉴키즈온으로 피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 대 0.1784440, 합병기일:2025-06-16, 신주상장예정:2025-07-02)한 바 있음.

 

DXVX(180400): 관리종목 지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최근 3사업연도중 2사업연도 자기자본 50%초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으로 관리종목 지정 공시.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드래곤플라이(030350): 1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에이치케이 2호 조합 대상으로 1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096원, 전환청구일:2026-03-21 ~ 2028-02-21) 공시.

 

셀루메드(049180): 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인더머니 대상으로 878,734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138원, 상장예정:2025-04-16) 공시.

 

올리패스(244460): 716.94억원 규모 유형자산 양수 결정 철회 등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716.94억원 규모 유형자산(수원 팔달10구역 장기임대아파트 130동(241세대)) 양수 결정(양수기준일:2025-03-31) 철회 및 채무인수결정 철회 공시.
▷아울러 [투자주의]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공시.

 

서울전자통신(027040): 관리종목 지정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자본잠식률 50% 이상으로 관리종목 지정 공시.

 

아이씨디/한주에이알티/비케이홀딩스: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속 급락
▷아이씨디, 전일 장 마감 후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공시.
▷한주에이알티, 전일 장 마감 후 5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발생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공시.
▷비케이홀딩스, 전일 장중 5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발생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공시.
[종목]: 아이씨디, 한주에이알티, 비케이홀딩스

 

하이퍼코퍼레이션(065650): 관리종목지정 사유 발생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사유(자본잠식률 50% 이상) 발생 공시.

 

HLB 그룹주: HLB 간암신약 美 FDA 승인 재불발에 급락
▷HLB, 간암 1차 치료제(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 FDA로부터 보완요구서한(CRL,Complete Response Letter)수령 공시. 미국 내 종속회사 Elevar Therapeutics, Inc.는 간암 1차 치료제(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의 FDA 심사를 진행하였고, 현지시간 2025년 3월20일 보완요구서한(CRL,Complete Response Letter)을 수령했다고 설명. FDA는 CRL을 통해 리보세라닙은 캄렐리주맙과 병용요법으로 사용하므로, 캄렐리주맙이 승인요건을 갖출때까지 결정을 보류한다고 언급.
▷이와 관련, 진양곤 HLB 회장은 "1차 CRL은 캄렐리주맙의 제조·품질관리(CMC) 등 두 가지였으나 이번 CRL은 캄렐리주맙 CMC 지적 사항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이유가 하나이고, CRL에는 미비점이 무엇인지 적시되지 않는다"며, "항서제약은 FDA와 빠르게 접촉해 보완할 내용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파악한 후에 대응할 것"이라고 언급. 이어 "지난 10개월간 좋은 성과를 만들기 위해 쉼 없이 노력해 왔기에 이번만큼은 주주 여러분께 기쁜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을 것이라 믿고 있었으나 다시 한번 실망스러운 소식을 전하게 되어 마음이 아프다"며, "좌절하지 않고 잘 극복해 내겠다"고 밝힘.
[종목]: HLB, HLB제약, HLB파나진, HLB제넥스, HLB글로벌, HLB글로벌, HLB생명과학, HLB테라퓨틱스, HLB이노베이션, HLB바이오스텝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