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4.03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4-03 11:37
조회수 :
216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4대강 복원, 일자리(취업), 미디어(방송/신문),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인터넷 대표주, 강관업체(Steel pipe), 화이자(PFIZER), 창투사, DMZ 평화공원, 요소수, 출산장려정책, 모더나(MODERNA), 핀테크(FinTech), 토스(toss), 남-북-러 가스관사업, 야놀자(Yanolja) 등...

 

약세 테마: 아이폰, 타이어, 2차전지(생산), IT 대표주, 은행, 무선충전기술, LPG(액화석유가스), 3D 낸드(NAND), 정유, 증강현실(AR), 스마트카(SMART CAR), 종합상사, 갤럭시 부품주, 핵융합에너지, 온디바이스 AI, 윤활유, HBM(고대역폭메모리),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자동차 대표주, 카카오뱅크(kakao BANK), 마이크로 LED, 카지노, 캐릭터상품,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탄소나노튜브(CNT), PCB(FPCB 등), 뉴로모픽 반도체, 공기청정기, 반도체 대표주(생산) 등...

 

 

 

 

<특징 테마>  

정치/인맥(이재명& 김문수& 한동훈 등)/ 일자리/취업/ 출산 등: 尹 대통령 탄핵심판을 하루 앞두고 상승
▷헌법재판소는 오는 4일 오전 11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을 선고할 예정. 탄핵소추안이 지난해 12월14일 국회에서 국회의원 재적 300명 중 204명이 찬성하며 가결된 이후 111일만에 인용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탄핵심판 선고일은 마지막 변론 기일 기준으로는 38일만임. 이번 탄핵심판에서 윤 대통령이 탄핵당할 경우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하며, 이에 따라 21대 대선은 6월 3일 이전에 실시될 예정임.

▷이 같은 소식 속 형지I&C, 오리엔트정공, 동신건설, 오리엔트바이오 등 정치/인맥(이재명), 대상홀딩스, 오파스넷 등 정치/인맥(한동훈), 평화홀딩스, 평화산업 등 정치/인맥(김문수), 넥스트아이 등 정치/인맥(이준석), 써니전자 등 일부 정치/인맥(안철수), 진양산업 등 정치/인맥(오세훈) 등 테마가 상승. 또한, 과거 윤석열 정부와 마찰을 빚었던 카카오, 카카오페이 등 일부 카카오 그룹주도 상승. 정책주로 부각되는 대성창투, 오픈놀 등 일자리(취업), 꿈비, 메디앙스, 아가방컴퍼니 등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테마를 비롯해 iMBC, YTN 등 미디어(방송/신문) 테마도 상승. 아울러 유라테크, 프럼파스트 등 세종시 관련주도 상승.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성장 사이클 구간 진입 분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망을 Positive로 유지한다고 밝힘. 중국, 환율, 관세 등 외부 환경이 우호적이라는 점을 차치하더라도, 산업 자체가 성장 사이클의 긍정적인 구간에 진입해 있는 것으로 추정. 이와 관련, 연초 이후 엔터 산업 주가는 낮은 관세 위협이 주는 안정감, 고환율 환경에 따른 수혜, 그리고 실적 턴어라운드에 대한 기대감이라는 삼박자가 어우러지며 대체로 우상향하는 흐름을 이어왔다고 언급. 한동안 주가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밸류에이션에 대한 우려가 점차 높아져온 차에 공매도가 재개되면서 현재 엔터 산업 주가는 조정을 겪고 있지만, 이러한 단기 조정을 오히려 비중을 늘리는 기회로 활용할 것을 권고한다고 분석.

▷한편, 2일(현지시간) 도널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10%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대미 흑자국에 추가로 징벌적 관세를 얹는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가운데, 엔터 등이 관세 영향을 받지 않는 '관세 무풍지대'로 부각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디어유, 노머스, 큐브엔터, 카카오, YG PLUS, 에스엠, 하이브 등 일부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가 상승.

 


희귀금속(희토류 등): 트럼프, 중국 상호 관세율 34% 부과 등 美-中 갈등 심화 속 일부 관련주 상승
▷트럼프 대통령은 2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Make America Wealthy Again) 행사에서 상호 관세 방침을 전격적으로 발표. 이번 상호 관세는 기본 관세와 이른바 ‘최악 국가’에 대한 개별 관세로 구성돼 있으며, 중국 등에는 기본 관세 이상인 34%를 부과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중국이 전 세계 희토류 공급량의 60%, 정제된 희토류 공급량은 90%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미중 갈등 악화 전망 등에 유니온, 유니온머티리얼, 노바텍, 성안머티리얼스 등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가 상승.

 


반도체/기술주 등: 美 상호관세 발표 속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확산 등에 하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오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행한 연설에서 상호 관세 방침을 전격적으로 발표. 국가별 관세율은 한국 25%를 비롯해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이며, 태국에는 3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영국 10%,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을 적용. 다른 나라의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에 따라 미국 기업이 받는 차별을 해소한다는 명목의 이번 상호관세는 기본관세(5일 시행)와 이른바 '최악 국가'에 대한 개별 관세(9일 시행)로 구성돼 있음. 한국에 더해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대만 등 미국의 주요 무역상대국에도 기본관세 이상의 상호관세가 부과됐음. 다만,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힘.

▷이에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가 커지면서 지난밤 뉴욕증시 시간외거래에서 엔비디아가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으며, AMD,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등 반도체 업종이 약세를 보임. 또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대형 기술주도 급락세를 기록.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테크윙, 피에스케이, 한미반도체, 하나마이크론 등 반도체 관련주 및 LG전자, LG디스플레이, 삼성에스디에스 등 IT 대표주, 웹젠, 위메이드맥스, 넷마블, 엔씨소프트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등 기술/성장주가 하락.

 


자동차/2차전지 등: 美 상호관세 발표 속 트럼프 대통령, 한국 자동차 비관세 장벽 비판 등에 하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오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행한 연설에서 상호 관세 방침을 전격적으로 발표한 가운데, 국가별 관세율은 한국 25%를 비롯해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영국 10%,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을 적용. 백악관이 2일(현지시간) 발표한 상호관세는 기존에 발표된 자동차와 철강 관세에는 합산되지 않는다고 밝힘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자동차 비관세 장벽을 비판했음.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진행한 상호 관세 발표에서 다른 나라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언급하면서 "한국, 일본과 다른 매우 많은 나라가 부과하는 모든 비(非)금전적 (무역) 제한이 어쩌면 최악"이라고 밝힘. 아울러 "이런 엄청난 무역장벽의 결과로 한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81%는 한국에서 생산됐으며, 일본에서 자동차의 94%는 일본에서 생산됐다"고 밝힘. 그러면서 "도요타는 외국에서 만든 자동차 100만대를 미국에 파는데 GM은 일본에서 거의 팔지 못하고 포드도 매우 조금만 판다"며 "여러 경우 무역에 관해서는 적보다 우방이 더 나쁘다"고 언급.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에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오는 3일(현지시간)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HL만도, 경창산업, 코리아에프티, 금호타이어, 넥센타이어 등 자동차 대표주/부품/타이어 및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에코프로머티, SK이노베이션, 엘앤에프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하락.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美 상호관세 발표 후 비트코인 가격 급락 영향 등에 하락
▷지난밤 비트코인은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강도조절에 대한 기대감으로 1억3,000만원대까지 반등했지만, 발표 이후 1억2,200만원대로 급락했음. 달러기준으로는 8만8,000달러를 상회하기도 했지만, 이내 8만2,000달러대까지 급락.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한국시간 10시30분 기준 비트코인은 83,500달러대에서 거래중이며, 업비트 기준으로는 1억2,400만원대에서 거래중.

▷이 같은 소식에 컴투스홀딩스, 티사이언티픽, 우리기술투자, 한화투자증권, 다날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1분기 호실적 전망 및 美 관세 영향 제한적 분석 등에 강세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실적은 매출액 1조1,1877억원(+25.4% yoy), 영업이익 3,290억원(+48.7% yoy), OPM 27.7%로 실적 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 호실적 주요 요인은 1-3공장 풀가동 지속, 4공장 매출 기여도 상승, 고환율 추세 지속, 바이오시밀러 기존 제품 매출 확대, 2월 신제품(스텔라라bs) 미국 출시 효과로 추정된다고 분석.
▷아울러 동사의 지역별 매출실적을 보면, 지난해 기준 대부분이 유럽향(65%) 매출이며, 미국향 매출 비중은 약 25%에 불과하다고 언급. 또한, 현재 공급 계약에 따르면, 관세는 대부분 고객사 부담 항목이라며, 추후 구체적인 관세 정책은 지켜봐야 하나, 동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추정.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300,000원[유지]

 

LIG넥스원(079550): 美 AI 방산기업 안두릴과 미래 무기 개발 협력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2일 서울사무소에서 美 AI 방산기업 안두릴과 '미래전 무기체계 개발협력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유도무기, 무인잠수정을 비롯한 유무인복합체계(MUM-T, Manned-Unmanned Teaming), AI 기반 운영시스템을 중심으로 기술 협력 및 글로벌 시장 개척 등 협업 활동을 추진할 예정.
▷이와 함께 안두릴의 무인체계 플랫폼에 센서를 비롯한 동사의 임무 장비를 탑재하는 협력 방안을 검토하며, 동사의 무기체계에 안두릴의 AI 기반 운영시스템 'Lattice'를 적용, 자율 임무 수행 역량을 대폭 강화하는 기술협력도 모색할 예정.

 

유한양행(000100): Lazertinib의 처방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주가 부진은 우려가 과도하게 반영되었다고 판단하며, Lazertinib의 처방 확대가 기대된다고 전망. 특히, MARIPOSA 임상 3상에서의 mOS 데이터 발표에도 Lazertinib의 미국 처방은 아쉬운 상황이나, 알러지 치료제의 Part 2에서 Dupixent 이상의 효과 확인이 기대되며, 2Q25 Amivantamab SC의 미국 승인 시 투약 편의성 개선 및 부작용 완화로 처방이 확대될 것으로 분석.
▷한편, 최근 알러지 치료제의 긍정적 임상 결과 발표에도 기술 이전 시점 불확실,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의 계약 반환 등의 이유로 주가가 부진했다고 언급.
▷투자의견 : HOLD -> BUY[상향], 목표주가 : 130,000원[유지]

 

두산퓨얼셀(336260): 최근 약 8,200억원 규모 계약 취소 및 1분기 영업이익 적자전환 전망 등에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태영건설과 체결한 722.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3.13%) 규모 공급계약(연료전지 시스템) 해지(계약기간:2023-10-06 ~ ) 공시. ZKRG Smart Energy Technology (Foshan) Co. Ltd. (이하 "ZKRG")와 체결한 3,469.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0.95%) 규모 공급계약(연료전지) 해지(계약기간:2022-11-18~2026-12-31) 공시. 지난 3월31일 한국전력기술㈜, 금호건설㈜, LS일렉트릭㈜과 체결한 3,988.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4.56%) 규모 공급계약(연료전지 시스템) 해지 공시.
▷이와 관련, 신한투자증권은 최근 약 8,200억원 규모의 계약 취소 공시가 있었으나 제대로 진행이 되고 있지 않던 사업들로 선수금 반납, 수주 잔고 감소 등과 같은 재무적인 영향은 없다고 밝힘. 다만, 큰 규모로 인해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끼친 상황으로 분석.
▷아울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977억원(+208.3% YoY), -56억원(적자전환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CHPS 물량 납품 본격화에 따라 연료전지 주기기 매출액 675억원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CHPS 입찰 특성 상 P 하락, 고정비 부담 증가(SOFC 공장 신증설, 전극 PAFC 관련 전극 사업부 인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5,000원 -> 23,000원[하향]

 

태영건설(009410): 972.10억원 규모 공급계약 해지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전주바이오그린에너지(주)와 체결한 972.1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73%) 규모 공급계약(전주바이오그린에너지(주) 연료전지발전소 건설공사) 해지 공시.

 

강원랜드(035250): 배당락 여파 속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배당락 기준가격 안내 공시(적용일:2025-04-03). 기준가격은 16,500원임.

 

지누스(013890): 美 인니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피해 전망 등에 급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오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행한 연설에서 상호 관세 방침을 전격적으로 발표. 국가별 관세율은 한국 25%를 비롯해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영국 10%,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을 적용.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미국에 수출하는 매트리스 물량 대부분을 인도네시아에서 생산해 최근까지 트럼프발 관세 이슈에서 빗겨나 있었다고 전해짐.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 등 국가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하자 증권가에선 지누스가 관세 정책의 반사수혜를 볼 것이란 예측이 나오기도 했다고 알려짐. 지난 3년간 동사의 전체 매출액 중 미국 비중은 2022년 83.2%, 2023년 82.2%, 2024년 79%임.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에이유브랜즈(481070):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만6,000원을 상회한 28,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중. 한편, 동사는 패션 잡화 전문업체로 락피쉬웨더웨어(Rockfish Weatherwear)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레인부츠, 겨울화(어그부츠 등), 메리제인, 잡화(모자, 우산, 장갑, 목도리 등), 의류(아우터, 가디건, 스커트 등), 스니커즈, 샌달 등이 있음.

 

THE E&M(089230): 관계사 루카에이아이셀, DXVX와 코로나 포함 차세대 항바이러스 범용치료제 L/O계약 체결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DXVX, ㈜루카에이아이셀(바이오플랫폼 전문기업)과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범용치료제 개발, 제조, 사업화를 위한 독점적 라이선스계약 체결 공시.
▷동사는 언론을 통해 관계사 루카에이아이셀(이하 루카)이 디엑스앤브이엑스(DXVX)와 차세대 항바이러스 범용 치료제의 플랫폼 기술이전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루카의 안승희 대표는 “신약 개발 기술력과 사업화 능력을 갖춘 디엑스앤브이엑스와 계약에 따라 치료제의 상용화와 글로벌 사업화 시기가 앞당겨졌다”며, “국내 제약사가 항바이러스 핵심 기술에 대한 지식 재산권을 보유함으로써 넥스트 펜데믹도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동사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루카의 연구개발 성과가 바이오산업 내 고부가가치 기술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루카만의 독보적인 기술을 활용해 기술이전 및 신약 상업화 등 국내외 유수의 기업들과 사업화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언급.
▷한편, 동사는 사업보고서(2024.12) 기준 루카 지분 26.09%를 보유하고 있음.

 

메디톡스(086900):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강세
▷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매출액 555억원(YoY +1.7%), 영업이익 37억원(흑전, OPM 6.7%)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 1분기부터 시작될 턴어라운드 포인트는 크게 5가지라며, 관세 부과 수혜 톡신주, 브라질향 파트너사 선적량 증가, 공장 GMP 보완으로 이연 수요 발생, 1공장 유휴 Capa로 공급 부족 일부 해소, 대리상 추가 및 인바운드 수요에 따른 매출 성장 등이라고 분석.
▷아울러 지난 4Q24 실적 쇼크에도 불구하고 주가 하락세는 크지 않았기에 단기 바닥이 확인되었음을 판단한다고 언급. 2Q25 톡신 업체들의 전반적인 대량 선적이 예정되어있어 수출입 데이터 발표와 동시에 섹터 전반의 긍정적 분위기가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190,000원[신규]

 

신테카바이오(226330): 데이터센터 기반 AI 신약 플랫폼 상업화 본격화 전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3월 미국 Pragma Biosciences와 DeepMatcher 기반의 신약 후보물질 발굴 계약을 체결하며 플랫폼 상업화를 본격화했다며, 최대 45억원 규모의 계약을 통해 타겟물질에 대한 신규화합물 발굴부터 리드 최적화, 동물실험에 이르는 총 5단계의 용역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힘. 특히, 특정 조건 미충족 시 신약개발물에 대한 권리를 지분 형태로 확보할 수 있도록 계약 조항이 구성되어 있어 리스크 대응력도 갖췄다며, 이는 동사의 AI 신약개발 플랫폼이 글로벌 시장에서 상업화 가능성을 입증한 사례라고 설명.
▷아울러 상장 이후 동사는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지만, 2025년에는 DeepMatcher 기반의 수익 가시화를 통해 매출 반등을 도모하고 있으며, ABS 센터의 유휴 연산 자원을 외부에 임대해 고정비 부담을 일부 상쇄하는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고 밝힘.
▷또한, DeepMatcher는 TPD 전문 기업인 카이메라(Kymera)와의 3개 타겟 기반 69만달러 규모 계약과 루다큐어·한미약품과의 협업을 통해 약 25억원의 매출을 확보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LM-VS는 3월 글로벌 론칭을 완료했고 영업 인력 확충과 함께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 이와 함께 미국 법인을 통한 북미 진출 전략도 가시화되고 있어 글로벌 사업의 점진적인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힘.

 

글로벌텍스프리(204620): 머니박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환전 전문 O2O 플랫폼 기업 머니박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은 GTF의 사후면세 가맹점 네트워크와 머니박스의 환전 네트워크를 결합해 방한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더욱 간편하고 효율적인 쇼핑 및 관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양사는 서로의 전문성을 결합해 택스리펀드와 환전 서비스를 통합한 '올인원 키오스크(All-in-One Kiosk)'를 개발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강진원 대표이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양사 간 네트워크를 활용한 시너지를 극대화해 양사의사업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고도화된 올인원 키오스크를 통해 방한 외국인 관광객들의 쇼핑 편의성을 제고하고 영업 경쟁력을 강화해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힘.

 

와이오엠(066430): 최대주주 변경 속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김영규외 2인으로 변경 공시. 변경후 최대주주인 김영규외 2인의 소유비율은 5.73%임.

 

캐리(313760): 25억원 규모 (주)페이게이트 주식 신규 취득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신규사업 추진을 위한 지분취득 목적으로 (주)페이게이트 주식 431,369주를 25.00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3.57%, 취득예정일:2025-04-02) 공시.

 

디모아(016670): 총 65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및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포렉스자산운용 등 대상으로 5,479,452주(200.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650원, 상장예정:2025-04-25) 공시. 또한,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이글스유통 대상으로 2,739,726주(100.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650원, 상장예정:2025-10-16) 공시.
▷아울러 운영자금 등 확보를 위해 주식회사 포렉스자산운용 등 대상으로 25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4,590원, 전환청구일:2026-04-10 ~ 2028-03-10) 공시. 운영자금 등 확보를 위해 주식회사 이글스유통 대상으로 10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4,590원, 전환청구일:2026-09-30 ~ 2028-08-30) 공시.

 

이니텍(053350): 최대주주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담보제공 계약 해제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담보제공 계약 해제ㆍ취소 등 공시. 해소사유는 채무상환임.

 

스맥(099440): 538.72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목적으로 28,000,000주(538.72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1,924원, 1주당 약 0.71주 배정, 청약예정:2025년06월16일(우리사주조합)/2025년06월16~17일(구주주), 상장예정:2025-07-08) 공시.

 

초록뱀미디어(047820): 상장유지 결정 속 거래재개 첫날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코스닥시장위원회 심의·의결 결과 및 상장유지 결정 안내 공시. 상장유지 결정으로 관리종목 해제 공시.
▷한편, 동사는 지난 2023년6월 전직 임원의 횡령·배임혐의 관련 주권매매거래가 정지된 바 있으며, 같은해 7월 횡령ㆍ배임혐의발생으로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발생 공시한 바 있음.

 

제이에스티나(026040): 중국산 시계, 국산 둔갑 혐의에 따른 불구속 기소 소식 속 급락
▷전일 서울동부지검 형사5부는 지난달 5일 대외무역법 위반 혐의로 김유미 동사 대표와 영업부장 등 5명과 동사를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힘. 범행에 관여한 김기문 동사 회장 등 임직원 5명은 약식기소했다며, 이들은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에서 손목시계 약 12만 개를 싼값에 들여와 국산인 것처럼 속여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음. 시계에 적힌 ‘메이드 인 차이나’ 표기를 아세톤으로 지우고 시계를 조립하는 등의 방식을 쓴 것으로 파악됐음.
▷김 대표는 다른 공장에서 납품받은 손목시계를 동사에서 직접 생산한 것처럼 조달청을 속인 정황도 추가로 포착돼 판로지원법 위반 혐의도 받고 있음. 검찰은 지난해 9월 서울 송파구에 있는 동사 등을 압수수색하고 포렌식 절차 등으로 혐의를 규명한 것으로 알려짐.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