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4.10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4-10 13:31
- 조회수 :
- 216
오전장★테마동향
강세테마: HBM(고대역폭메모리), 전선, 창투사, 반도체 대표주(생산), 온디바이스 AI, 3D 낸드(NAND), 전력설비, 시스템반도체,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조선, 테마파크, 반도체 재료/부품, 2차전지(전고체), 두나무(Dunamu), 리튬, 전력저장장치(ESS), 아이폰,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미용기기, 2차전지(생산), IT 대표주, 일자리(취업), 무선충전기술, 가상현실(VR),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뉴로모픽 반도체,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반도체 장비,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LED장비,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등...
약세테마: 통신,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등...
[특징 테마]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IT 대표주 등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가 시작된 지 13시간여 만에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올리면서 중국을 뺀 다른 국가에는 국가별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힘. 미국에 정면으로 대응하는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104%에서 21% 포인트를 더 높이는 대신 대(對)미국 관세·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한 협상에 나선 한국을 비롯한 70여개국에 대해서는 한시적이지만 관세율을 전격적으로 낮춘 것임. 이에 따라 미국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도 90일간은 기존 25%에서 10%로 낮아지게 됐음.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소셜에 중국을 뺀 75개 이상 국가가 미국과 협상에 나섰으며 보복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면서 이들 국가에 대해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 및 상당히 낮춘, 10%의 상호관세를 승인했다"며 "이 또한 즉각 시행된다"고 밝힘.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도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정부의 관세 조치가 결과적으로 중국을 겨냥하기 위한 것이냐는 취지의 질문에 "이것은 나쁜 행위자에 대한 것"이라면서 한국, 일본, 베트남 등이 협상을 위해 미국을 접촉했다는 점 등을 언급.
▷이에 지난밤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7.87%, 9.52% 폭등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16% 폭등.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폭등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67.51포인트(+18.73%) 상승한 4,230.45를 기록. 애플(+15.33%), 엔비디아(+18.72%), 마이크로소프트(+10.13%), 아마존(+11.98%), 알파벳A(+9.68%), 메타(+14.76%), 테슬라(+22.69%) 등 M7 종목들이 일제히 급반등했으며, AMD(+23.82%), 퀄컴(+15.19%), 브로드컴(+18.66%), TSMC(+12.29%) 등 반도체 업체들도 급등. 포드(+9.32%), GM(+7.67%) 등 자동차 업체들도 동반 급등.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DB하이텍, 삼성전자, 한화비전, 테크윙, 티에스이, 한미반도체, 하나마이크론 등 반도체 관련주, 폴라리스오피스, SKAI, 와이즈넛, 브리지텍, 한글과컴퓨터 등 AI 챗봇(챗GPT 등),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산일전기, LS ELECTRIC, 일진전기 등 전선/전력설비,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모티브링크, 성우, 덕양산업 등 자동차 대표주/부품, 에코프로머티,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포스코퓨처엠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삼양식품, 에스앤디, 한국맥널티, SPC삼립 등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또한,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베트남의 주력산업인 화승엔터프라이즈, 한세엠케이, 한세실업, 노브랜드 등 패션/의류, 제주반도체, LG이노텍, 서진시스템, 우주일렉트로, 덕우전자 등 휴대폰부품/아이폰/스마트폰/갤럭시 부품주 테마 등도 상승. 아울러 LG디스플레이, LG전자, 카카오, NAVER 등 IT/인터넷 대표주와 같은 기술주도 상승.
조선: 트럼프, 美 조선업 재건 행정명령 서명 소식 속 韓 조선업계와 협력 기대감 부각 등에 상승
▷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 안보 차원에서 미국 조선업의 재건을 도모하고 중국의 해양 패권을 저지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음.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조선에 많은 돈을 쓸 것"이라며, "우리는 아주 많이 뒤처져 있다. 예전엔 하루에 한 척의 배를 만들곤 했지만, 사실상 지금은 1년에 한 척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그럴 능력이 있다"고 밝힘. 시장에서는 이번 행정명령이 세계 1위 조선 경쟁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 한국 조선업계에 미국과의 협력을 통한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통화하고 조선, LNG, 알래스카 합작투자, 방위비 등에 대해 논의 한 바 있음.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래로 미국의 최대 경쟁국인 중국에 대한 견제 움직임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며, 중국이 1등을 차지하고 있는 조선업도 당연히 예외는 아니라고 밝힘. 실제로 상반기 한국의 상선 수주는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고, 조금씩 점유율이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 이어 하반기에는 이러한 흐름에 더해 한국의 주력 선종인 LNGC 발주가 미국 LNG 수출 승인 재개 영향으로 확대될 예정이라고 언급.
▷특히, HD현대중공업에 대해 1Q25 매출액 3조7,512억(+24%yoy), 영업이익 2,544억원(+1,099%yoy, OPM 6.8%)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1분기 조업일수 감소로 비수기이지만, 안정적인 매출을 시현 중이며 외부 인력 숙련도도 올라와서 공정 효율성 지속 개선 중이라고 언급. 이어 카타르 LNG는 올해 6척, 내년 11척 인도 예정이고, 저마진에도 반복 건조 효과로 수익성이 향상되고 있다고 밝힘.
▷한편, HD현대중공업은 언론을 통해 8일(현지시간) 미국 방산 분야 핵심 기자재 업체인 페어뱅크스 모스 디펜스(FMD)와 ‘함정 분야 공급망 및 수출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MOU를 통해 글로벌 해양 방위력 강화를 위한 부품 판매 및 유통·구성품 제조 분야에서 협력을 모색할 계획이며, 양국 간 함정 분야공급망 참여, 수출 협력 및 조선업 관련 정보 교류 등도 이어갈 예정임.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HJ중공업, 삼성중공업, 세진중공업, 성광벤드, 한화엔진, 동성화인텍 등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등: 국제유가 폭등 영향 등에 상승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 등에 폭등했음.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77달러(+4.65%) 상승한 62.35달러에 거래 마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 미디어인 트루스 소셜에 "75개국 이상의 국가가 무역, 무역장벽, 관세, 환율 조작, 비금전적 관세와 관련돼 논의하고 있는 것에 대한 해결책을 협상하기 위해 상무부, 재무부, 무역대표부(USTR)에 요청했다"며 "이를 근거로 이들 국가가 미국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든 보복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근거해 저는 90일간 관세 유예와 이 기간에는 상호관세율을 10%로 대폭 인하하는 조치를 승인했다"고 밝힘. 반면, 중국에 대해서는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관세를 125%로 인상하며 즉시 발효된다"고 언급했음. 이에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일부 완화되는 모습.
▷이 같은 소식에 S-Oil, GS, SK이노베이션, 흥구석유, 중앙에너비스, 두산에너빌리티, SNT에너지, 한국가스공사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셰일가스(Shale Gas)/도시가스/LNG(액화천연가스) 등 에너지 관련주가 상승.
양자암호/양자컴퓨팅: 美 양자컴퓨팅 업체 주가 강세 영향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전격 유예 소식에 글로벌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며 3대 지수 폭등세로 마감한 가운데, 아이온큐(+23.92%), 리게티컴퓨팅(+21.63%), 퀀텀 컴퓨팅(+10.31%) 등 美 양자컴퓨팅 업체가 강세를 보임.
▷관세 유예와 더불어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추진하는 '양자 벤치마킹 이니셔티브(QBI)' 1단계 사업 선정 모멘텀 지속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QBI 프로그램의 목표는 총 3단계에 걸쳐 2033년까지 현실적인 양자컴퓨팅 구현 가능성을 평가하고, 미래 안보 및 산업에 적용 가능한지를 검증하는 것임. 이를 위해 DARPA은 최근 15개 기업을 선정해 2033년까지 '비용 대비 높은 계산 성능'을 갖춘 유용한 양자 컴퓨터의 실현 가능성을 검토에 나설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아이씨티케이, 코위버, 아톤, 엑스게이트, 큐에스아이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상승.
창투사: 민주당, 국부펀드 공약 기대감 및 금융당국, 모험자본 25% 투자 의무화 정책 기대감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성장 우선 담론의 한 축으로 띄운 ‘국부펀드론’이 보고서 형태로 지도부에 보고된 것으로 전해짐. 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가 30쪽 분량으로 작성한 자료로, 국부펀드 성장론은 민주당의 ‘잘사니즘’ 대선 공약에도 담길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알려졌음. 민주당 고위 관계자는 “국부펀드가 주요 어젠다로 연구돼 비공개 내부 보고서 형태로 당 지도부에 제시됐다”며, “국부펀드는 이 전 대표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라고 밝힘. 보고서에는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 정책 효율성이 떨어지는 기존 중소형 국부펀드를 국가가 어떻게 전략적으로 관리 및 활용할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으며, 국부펀드로 벌어들인 이익이 특정 기관으로만 흘러 들어가는 게 아니라 국가와 국민을 위해 쓰이도록 설계하자는 취지로 알려짐.
▷한편, 이날 이재명 전 대표는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면서 사회적 갈등의 핵심 원인을 '경제적 양극화'로 진단하고, 그 해법으로 국가적 차원의 대대적인 투자를 통한 성장 회복을 제시했음. 이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성장률 자체가 떨어지고 있다. 경제는 민간 영역만으로는 제대로 유지‧발전되기 어렵다"며 "정부 단위의 인력 양성, 대대적인 기술·연구개발 투자,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경제가 다시 살아날 수 있다"고 설명.
▷아울러 금융위원회는 9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김병환 금융위원장 주재로 10개 종투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개최하고, '증권업 기업금융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음. 금융당국은 종투사 발행어음과 IMA 조달액 25%를 모험자본으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했으며, 모험자본은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주식 투자, A등급 이하 채무증권 등이 포함됐음.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우리 경제가 활력을 유지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한 열쇠가 자본시장에 있다”며, “자본시장의 조성과 발전에 있어 핵심을 담당하는 증권업이 기업금융을 중심으로 더 많은 역할을 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힘.
▷이에 금일 플루토스, 대성창투, 나우IB, TS인베스트먼트, 린드먼아시아, 아주IB투자 등 창투사 테마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비트코인 가격 폭등 영향 등에 상승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금일 오전 10시40분경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9.08% 급등한 8만2,300달러 부근에서 등락을 보이고 있음. 지난밤 한때에는 8만3,000달러선을 넘어서기도 있음. 업비트에서는 1억2,200만원 부근에서 거래중. 시장에서는 미국이 주요 교역국에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하기로 하면서 가상화폐 가격이 급등한 것으로 보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인바이오젠, TS인베스트먼트, 티사이언티픽, SBI인베스트, 우리기술투자, 대성창투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두나무(Dunamu) 테마가 상승.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삼성전자-레인보우로보틱스, 'S&R 휴머노이드 팀' 본격 가동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레인보우로보틱스와 '에스앤알(S&R) 휴머노이드 팀'을 꾸리고 공동 연구·개발에 나섰다고 전해짐. 오준호 삼성전자 미래로봇추진단장을 필두로 연구원 50여명이 투입된 S&R 휴머노이드팀은 올해 초부터 레인보우로보틱스 대전 본사 인근에서 사무실을 임대하고 협력 근무에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에스피시스템스, 디아이씨, 두산로보틱스, 하이젠알앤엠, 삼익THK, 에브리봇, 피아이이, 크라우드웍스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이수페타시스(007660): 1분기 월평균 수주 800억 돌파 소식에 급등현대로템
(064350): 폴란드 사업으로 올해 영업이익 개선 속 수출 지역 확장 전망 등에 급등
삼양식품(003230): 美 상호관세 90일 유예 수혜 기대감 및 불닭소스 디자인 리뉴얼 소식 등에 강세
삼성전기(009150): 높은 중국 노출도로 미국 관세 영향 방어 가능 분석 속 강세
더존비즈온(012510): 실적 성장 지속 및 주가 매력도 점증 구간 진입 분석 등에 강세
호텔신라(008770): 1분기 시내면세점 수익성 개선 및 점진적 이익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강세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유상증자 수정 발표를 통한 신뢰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두산퓨얼셀(336260): 美 진출 기대감 및 국내 신규 수주 확보 전망 등에 상승
셀트리온(068270): 호주서 바이오시밀러 3종 품목 허가 획득 소식에 상승
종근당바이오(063160):티엠버스주200단위 제조판매품목허가 신청에 상승
미원상사(002840): 43.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소폭 상승
LG씨엔에스(064400): 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파인엠텍(441270): 산업부 주관 AI 유연 디스플레이용 관련 기술 개발 과제 선정 소식 속 급등
비츠로셀(082920): 캐나다 가스 시추업체 인수 논의 소식에 급등
에이비엘바이오(298380): GSK향 추가 기술 이전 기대감 등에 강세
삼현(437730): 한화시스템과 97.90억원 공급계약 체결에 강세
나무가(190510): 인텔 차세대 보안시스템에 '핵심 부품' 전격 공급 소식에 강세
티사이언티픽(057680): 옵스나우와 전략적 MOU 체결에 강세
인크로스(216050) : 넷플릭스 광고 시장 진출 및 커머스 사업 성장 본격화 분석 등에 강세
컴투스(078340): 1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제노코(361390): KAI와의 사업 시너지 기대감 등에 상승
아미코젠(092040) : 피하주사 제형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개량 성공 소식에 상승
앱클론(174900): 카티 치료제 ‘AT101’ 혈액암 적응증 확대 소식에 소폭 상승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