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4.11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4-11 11:33
조회수 :
213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조선, 조선기자재, 미용기기, 의료AI,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창투사, 마리화나(대마), 3D 프린터, LNG(액화천연가스), 비만치료제,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의료기기, 줄기세포,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우크라이나 재건, 유전자 치료제/분석,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모더나(MODERNA), 화이자(PFIZER), 전선 등...


약세 테마: 2차전지(생산), 자동차 대표주, 정유, 요소수, 토스(toss), 인터넷 대표주, 3D 낸드(NAND), 아이폰, 반도체 대표주(생산), 탄소나노튜브(CNT), 타이어, 생명보험, LPG(액화석유가스), 미디어(방송/신문), 뉴로모픽 반도체, 항공/저가 항공사(LCC), 철강 주요종목, 윤활유, IT 대표주, 스마트카(SMART CAR), 2차전지(전고체), LED장비, 스마트홈(홈네트워크), 손해보험 등...

 

 

 

 

<특징 테마>  

조선 등: 트럼프, 동맹국 선박 구매 시사 발언 등에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미국의 조선업 재건 의지를 거듭 확인하면서 재건 기간 미국과 가까운 다른 나라로부터 선박을 구매할 수 있음을 시사했음.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각료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우리는 조선업을 재건할 것"이라면서 "의회에 (선박 구매자금을) 요청해야 할 수도 있지만, (미국과) 가깝고 조선 실적이 훌륭한 다른 나라에서 선박을 구매할 수도 있다"고 밝힘. 시장에서는 조선 경쟁력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는 한국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현지시간) 국가 안보 차원에서 미국 조선업의 재건을 도모하고 중국의 해양 패권을 저지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8일(현지시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통화하고 조선, LNG, 알래스카 합작투자, 방위비 등에 대해 논의 한 바 있음.

▷한편, 10일(현지시간)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필리핀 수빅 조선소의 경영권을 갖고 있는 미국 사모펀드(PEF) 운용사 서버러스캐피털은 HD현대 측에 인수를 제안했으며 HD현대는 이를 심도 있게 논의 중이라고 전해짐. 서버러스캐피털은 한화오션에도 인수 의향을 타진했으나 업계는 HD현대의 인수 가능성을 보다 높게 보고 있으며, 매각 대상은 서버러스캐피털이 보유한 83%의 지분으로 인수가는 5,000억원 가까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HJ중공업,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현대힘스, 메디콕스, 일승, HD현대마린엔진, 한화엔진, SK오션플랜트 등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의료AI: 美 FDA, 의약품 개발서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속 AI 모델로 대체 예정 소식에 상승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10일(현지시간) 단일클론항체 치료법 및 기타 약물 개발에 있어 동물 실험을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새로운 모델로 대체할 계획이라고 밝힘. FDA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약물 안전성을 개선하고, 연구 개발 비용과 약값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으며, 내년에 일부 항체 기반 약물 개발업체가 비동물 기반 시험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파일럿 프로그램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온코크로스, 신테카바이오, 파로스아이바이오, 씨유박스, 루닛, 토마토시스템, 코어라인소프트, 쓰리빌리언 등 의료AI 테마가 상승.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2분기 관세 충격 구체화 전망 등에 하락
▷신한투자증권은 현대차에 대해 2분기부터 서서히 관세 충격이 나타날 수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현대차 브랜드와 제네시스의 미국 내 신차 거래가격은 각각 3.7만달러와 6.5만달러 수준이라며, 한국 공장에서 생산되어 미국으로 수출된 물량은 현대차 55.6만대, 제네시스 5.2만대(`24년 기준) 수준이라고 밝힘. 산술적으로 최대 연간 8.8조원(= 60억달러 = 현대차 수출량 x 판매가격 x 25% + 제네시스 수출량 x 판매가격 x 25%)의 관세 비용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 다만, 메타플랜트 공장 가동 돌입, 한국/미국 공장 간 생산 믹스 조정, 재고 활용, 인센티브 축소 등의 자구적 노력에 환율 효과가 더해져 실제 비용은 추산한 것보다 적은 2~3조원을 기록할 것이라며, 이에 `25년 실적은 매출액 181조원(+3.1%), 영업이익 13.5조원(-5.4%)이 전망된다고 밝힘.

▷아울러 기아의 경우 2분기 이후부터는 미국의 25% 수입차 관세 시행이 수익성에 본격적인 하방압력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미국 시장 영업이익률은 15~19% 수준으로, 전사 영업이익의 약 60%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 관세 부담을 가격 전가없이 OEM사가 다 안고 간다고 가정하면, 현지 생산 비율 등을 감안 시 당초 이익 예상치보다 5% 이상의 이익 추정치 하향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지난밤 美 증시에서 GM(-4.39%), 포드(-3.79%)가 관세를 이유로 골드만삭스가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하면서 하락하는 등 美 자동차업체 주가가 약세를 보인 점도 부정적으로 작용.

▷이에 금일 현대차, 기아, 한온시스템, HL만도, 현대모비스, 에스엘, 화신정공 등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 테마가 하락.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7.97%) 지수 급락 영향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 주식시장이 美/中 관세 전쟁 격화 등에 급락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37.15포인트(-7.97%) 하락한 3,893.30을 기록. 엔비디아(-5.91%), AMD(-8.41%), TSMC(-4.80%), 마이크론 테크놀로지(-10.04%) 등이 하락.

▷美/中 관세 전쟁이 격화되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고 있음. 백악관은 중국에 대한 관세가 최소 145%라고 발표. 마약성분 팬타닐 관련 기존에 부과된 관세 20%에 이날부터 발효된 상호관세 125%를 더한 값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 조처된 관세까지 포함하면 145%가 넘어가는 것임.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해 84%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관세를 "협박과 강요"라고 비판하면서 미국이 강경 노선을 고수할 경우 끝까지 맞서겠다고 경고.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테크윙, HPSP, 주성엔지니어링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2차전지/전기차 등: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테슬라(-7.27%) 주가 약세 영향 등에 하락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전격 유예 소식에 현지시간으로 9일 폭등세를 보였던 뉴욕증시는 지난밤 중국 관세율이 125%가 아닌 145%라는 백악관 설명에 美/中 관세 전쟁 격화 우려가 커지면서 하루만에 급락세로 돌아선 가운데, 테슬라(-7.27%)가 약세를 보임. 리비안(-2.63%), GM(-4.39%), (-3.79%) 등도 하락.

▷미·중 간 관세전쟁이 격화하면서 전반적인 경제 활동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골드만삭스는 테슬라에 대한 목표주가를 260달러로, UBS는 190달러로 크게 하향조정. UBS는 테슬라가 대부분 자동차를 판매될 예정인 국가에서 생산하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부품과 재료가 국경을 넘어 이동하기 때문에 트럼프 관세에서 예외일 수 없다고 밝힘. 이어 테슬라 주식은 변동성이 높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밸류에이션을 고려할 때 하향 곡선을 그릴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에코프로머티, 삼성SDI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하락.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등: 美中 무역전쟁 격화에 따른 국제유가 폭락 영향 등에 하락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美/中 무역전쟁 격화 등에 급락했음.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28달러(-3.66%) 상승한 60.07달러에 거래 마감. 10일(현지시간) 백악관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합계 관세율은 상호 관세율 125%에 앞서 발표한 합성마약 펜타닐 대응 관련 관세 20%를 더해 총 145%라고 언급.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부과하는 최종 합계 관세율이 원래 알려진 것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자 미중 무역갈등 격화에 따른 침체 우려가 되살아나는 모습.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각료회의에서 "중국과의 무역전쟁을 끝내기 위한 합의를 원한다"고 말하며, 강경한 메시지 속에서도 협상의 여지를 남겼음.

▷이 같은 소식에 SK이노베이션, S-Oil,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GS, 한국가스공사 등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도시가스 등 에너지 관련주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LS에코에너지(229640): 자회사 베트남 생산법인 LS-VINA, 필리핀 풍력발전 프로젝트 수주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인 베트남 생산법인 LS-VINA가 필리핀 풍력발전 프로젝트에 전력 케이블을 공급한다고 밝힘. LS-VINA는 필리핀 정부가 약 1억5,000만 달러를 투자해 오는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칼라야안2(Kalayaan 2)' 풍력발전단지에 전력 케이블을 공급할 예정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필리핀 정부는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50%로 확대할 방침"이라며, "이에 따라 대규모 태양광·풍력 프로젝트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민간 기업 참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힘.

 

한국콜마(161890): 썬제품 중심으로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썬제품 중심으로 한 중장기 성장매력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힘. 이와 관련, 한국 생산법인 내 썬제품(UV차단)의 수출 수요가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확대되는 양상이라며, 고객사들의 썬제품 연간 수요가 예측 가능한 현 시점 상 1Q25 썬제품 수주 상황이 상당히 호의적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언급. 또한, 고객사 중에 썬제품으로 유명해진 후, 이를 기반으로 스킨케어 주문도 늘리는 것으로 다수 확인했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화장품사들 가운데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 저평가되어 보이는 기업이라며, 썬제품에서의 유명세를 매개로 품목 다각화 추세가 긍정적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80,000원[유지]

 

DN오토모티브(007340): 美행동주의펀드, 동사 지분 매입 추진 소식에 소폭 상승
▷전일 월가의 행동주의 펀드 블루오카캐피탈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동사를 인수할 계획으로 전해짐. 지분 매입의 배경은 동사 자회사인 DN솔루션즈의 상장이며, 블루오카캐피탈은 상장 이후 DN솔루션즈의 가치가 현재 동사 시가총액의 5배에 달하는 5~6조원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한편, DN솔루션즈는 이달 말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과 다음달 초 일반청약을 거쳐 상반기 코스피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음.

 

이마트(139480): 1분기 호실적 전망 및 2분기 흑자전환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실적은 높아진 기대치를 충족할 것이라고 밝힘.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7조4,151억원(전년동기대비 +2.9%), 영업이익 1,432억원(전년동기대비 +204.0%)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긍정적 실적을 예상하는 이유는 지난해 이루어진 고강도 구조조정에 따른 고정비 절감 효과와 수익성 개선 및 구매 통합에 따른 상품 마진율 증가, G마켓 연결 제외에 따른 PPA(영업권 관련 상각비) 감소(분기 240억 원), 연결 종속회사 수익성 개선에 따른 효과 때문이라고 분석.
▷아울러 2분기 실적은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 2분기 재산세 이슈로 고정비가 부담되는 구간이지만, 고정비 절감 효과와, 구매 통합에 따른 수익성 개선, 신세계프라퍼티 회계기준 변경에 따른 이익 증가, PPA 감소 등을 고려할 경우 흑자 가능성은 높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95,000원 -> 104,000원[상향]

 

현대로템(064350): 양호한 실적 전망 속 대규모 수주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전일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실적은 매출액 1조2,360억원(+65.3% YoY), 영업이익 1,739억원(+289.0% YoY, 영업이익률 14.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지연 중인 K2전차 폴란드 2-1차 180대에 대한 실행계약이 조만간 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2차 계약 분은 다양한 옵션의 추가와 물가상승 등이 반영되어 1차 계약금액 4.5조원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
▷또한, 이와 별도로 구난/교량/장애물개척 전차 등도 계약이 성사될 전망이어서 포탄과 군수지원을 포함한 전체 계약 규모는 7~9조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 상반기 말에는 100대 규모로 예상되는 루마니아 1차 계약도 예상되어 수주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0,000원[유지]

 

한전기술(052690): 중장기 잠재력 유효 분석 등에 소폭 상승
▷LS증권은 동사에 대해 2월 이후 조정은 합리적이나, 중장기 잠재력은 유효하다고 분석. 목표주가는 상당수준 조정 후에도 여전히 상승여력 충분하고 국내외 원전 확대 관련 중장기 성장잠재력이 유효하며, 국내 원전은 2+1기(대형 2기,SMR 1기)로 조정으로 아직 구체적 일정은 미정이나 중장기 잠재력은 유효하다고 설명. 아울러 해외 원전 체코 4기는 4-5월 두코바니 5∙6호기에 대한 본계약 체결을 예상한다고 언급. 계약조항에 테믈린 1∙2호기 계약 관련 특수조항도 포함될 예정이며, 두코바니 5∙6호기만 총 계약금액 24조원인데 이 중 동사 담당인 설계는 1조원(5%)이므로 추후 공사가 진행되면 10년 동안 1조원의 매출이 안분해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
▷다만, 폴란드, 네덜란드 등 해외 2개국 원전 계약 Drop 가능성 등을 감안한 Multiple 하향에 따라 목표주가는 하향 조정.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6,000원 -> 81,000원[하향]

 

BGF리테일(282330): 업황 둔화로 1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E 매출액 2.04조원(+4.6%, 이하 yoy), 영업이익 321억원(-1.7%)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편의점 산업 성장률은 2022년 이후 처음으로 역신장을 기록했다며, 편의점 식품 성장률은 -1.5%였던 것에 비해 기업형슈퍼마켓(SSM) 성장률은 2.1%로 나타났다고 분석. 이는 전반적 소비 위축 상황에서 내식 수요 증가로 식품 매출 증가 수혜가 편의점에서 SSM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라며 2월까지 소비 심리 축소와 객수 감소를 야기했다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유지]

 

SK이노베이션(096770): 1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
▷LS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주요 사업부문 수익성이 저조할 것으로 전망. 특히, 1분기 E&P 합병 영향이 3개월 모두 반영됨에도 불구, 정유/화학 부진, 유가하락으로 E&P 수익성 하락, 배터리 부진으로 매출액 약 19.9조원(QoQ +3%), 영업손실 410억원(QoQ -128%)으로 시장 Consensus(Bloomberg 4,611억원)를 대폭 하회할 것으로 예상.
▷한편, 동사의 주된 고객인 현대기아차의 ICE 혼류생산, HEV 전환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BEV 전략이 두드러졌던 기아차는 CEO Investor Day에서 xHEV 수요 확대에 대한 유연한 대응을 언급했다며, 이는 중장기 EV 판매량 대비 이차전지 소요량 증가률이 둔화될 수 있는 요인으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
▷투자의견 : Hold[유지], 목표주가 : 108,000원 -> 88,000원[하향]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티앤알바이오팹(246710): 3D 프린팅 맞춤형 인공뼈, 안와골절 치료 유효성 입증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환자 맞춤형 인공뼈’를 이용한 안와골절 치료 임상 연구에서 치료 유효성이 입증됐다고 밝힘. 동사 측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사호석 교수팀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환자 맞춤형 인공뼈’를 이용해 진행한 연구 결과가 국제 과학저널이자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임플란트 기술이 실제 임상에서 안전성과 의학적 유효성을 함께 입증하는 사례가 될 것"이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FDA 인허가 절차를 위한 사전 준비 중이며, 세계 시장으로의 진출도 시도할 것"이라고 밝힘.

 

엔켐(348370): 美·中 관세 전쟁 수혜 전망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내 유일한 ESS 생산 글로벌 배터리 기업에 지난해 말부터 LFP(리튬·인산·철) 전해액 100% 공급 진행 중에 있으며, 글로벌 최상위 ESS기업과도 ESS 전해액 공급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힘. 양사 간 협업은 이르면 올해 안에 본격화될 전망으로 이번 논의로 동사는 글로벌 ESS 시장에서 안정적 매출을 확보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고 언급.
▷특히, 동사는 현재 글로벌 배터리사에 LFP 기반 전해액을 미국과 중국에서 공급 중인 가운데, 최근 미·중 간 관세전쟁이 확대되고 있어 미국 내 최대 생산 시설을 보유한 동사에 초대형 반사이익 수혜가 전망되고 있음. 미국 조지아주에 현재 연간 10만5,000t 규모의 전해액 생산시설을 운영 중으로 연말까지 이를 15만t까지 확대하고, 내년까지 최종 20만t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임.

 

바이오플러스(099430): 中 하이난 의료관광특구 내 공장 GMP 승인 완료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국 하이난 의료관광특구 내 위치한 현지 공장에 대해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이하 GMP)'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힘. 이번 하이난 공장 GMP 인증 획득을 통해 동사는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중국 전역에 공급할 예정이며, 의료기기 2등급 제조 및 판매 허가를 획득한 자체 화장품 브랜드 보닉스(Bonyx)와 스킨부스터 제품 양산에 속도를 내 중국 시장을 공략할 계획임.
▷이와 관련, 황영기 동사 글로벌사업본부장은 "한한령 해제와 중국시장 개방의 기대감이 커지는 시점에 현지 GMP인증 생산시설을 확보하게 된 점을 고무적으로 생각한다"며, "동사의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해 중국 전역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당 공장이 중국시장 진출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에스엠씨지(460870): 영업 레버리지 구간 진입 분석 등에 강세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화장품 브랜드사 간 경쟁 심화에 따라 ODM 업종에 대한 상대적 투자 매력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부터 본격적인 영업 레버리지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 3월 코스닥 시장에 스팩합병을 통해 상장한 화장품 유리용기 전문 ODM 업체로 로레알, 아모레퍼시픽, 달바, 비나우, 에이피알 등 약 300여개의 국내외 메이저/인디 브랜드사를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며, 유리용기 제조업은 영업 레버리지가 크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장치산업이라고 분석.
▷아울러 동사의 올해 예상 실적은 매출액 726억원 (+33.0% YoY)과 영업이익 102억원(+130.0% YoY, OPM 14.1%)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 주요 실적 성장 요인은 글로우레시피, 비나우, 로레알 등 매출 상위 고객사의 기존 제품 재발주 확대 및 신규 제품 출시, 색조 및 향수 제품으로의 제품 라인업 다각화 등에 기인한다고 언급. 이어 현재 주가는 올해 실적 기준 P/E 7배 수준으로 저평가 되어있다고 판단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7,500원[신규]

 

자연과환경(043910): PC 모듈러주택 사업 본격 진출 소식에 강세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자회사 빌드업모듈러를 출범시키고 PC 모듈러주택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고 밝힘. 특히, 소유하고 있는 경북 영천시 소재 1만4,000평 부지로 빌드업모듈러 본점을 이전하고 재난주택과 농촌 체험형 주택 등을 포함한 PC모듈러 주택사업을 본격화 할 예정. 이번 결정은 건설 신기술 인증을 취득한 'PC 모듈러 공법'을 통해 모듈러주택시장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전략의 일종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빌드업모듈러는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좋은 품질의 집을 빠르게 지어 사람들에게 더 나은 주거 환경을 제공하고 환경 문제 해결과 지역 경제 발전에도 기여하는 회사가 될 것"이라며, "이번 경북 산불로 인한 이재민들의 재난주택 적용을 위해 지자체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라고 설명.

 

미트박스(475460): 스테이커스 지분 100% 인수 및 미트매치대부를 통해 신사업 운영 소식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미트박스 플랫폼 내 축산물 세절 / 가공 / 소용량 PB제품의 품목 확대 및 원가 경쟁력 강화 목적으로 스테이커스 주식 5,000,000주를 43.00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00%, 취득예정일:2025-04-11) 공시.
▷종속회사 주식회사 미트매치대부 담보제공결정(담보설정금액:188.50억원) 공시. 언론에 따르면, 미트매치대부는 스톤브릿지자산운용이 조성한 펀드를 통해 마련된 출자금을 투자 받아 기존 육류 담보시장의 한계성을 보완한 금융서비스를 운영할 계획으로 전해짐.

 

메디아나(041920): 의료 AI 서비스 상용화 수혜 전망 등에 상승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 8일 뷰노, 제이엘케이, 셀바스 AI 등 국내 의료 AI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들과 얼라이언스(MASA) 구축을 완료했고, 이에 따른 중장기적인 시너지 발생이 예상된다고 밝힘. 이는 CMS를 통해 다양한 의료 AI 서비스가 상용화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분석. 특히, 뇌졸중, 심정지 예측 등 각 사의 주력 AI 솔루션 탑재를 시작으로 향후에는 얼라이언스 공동 개발 솔루션들의 탑재가 예상되고, 이렇게 확보되는 다양한 서비스 라인업들은 초기 시장 침투와 점유율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아울러 동사의 플랫폼이 이번 얼라이언스 구축의 수혜를 가장 크게 누릴 것이라는 점에서 앞으로의 사업 전개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전망.
▷한편, 동사는 지난 주주총회를 통해 의료 AI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으며, 앞으로 기존 H/W에 셀바스 AI의 S/W 기술력을 융합해 자체 의료 AI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 이 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통해 향후 원격의료, AI 진단, 질병 예측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으로의 영역확장이 예상되며, 이에 따라 중장기적인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기대.

 

HK이노엔(195940): 1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은 2,422억원(+13.9%YoY, +2.7%QoQ), 영업이익은 259억원(+49.6%YoY, +6.1%QoQ, OPM 10.7%)으로 컨센서스 매출액 2,331억원과 영업이익 211억원 대비 각각 4.8%, 22.8% 상회 할 것으로 전망. ETC 사업부의 매출은 2,201억원(+14.5%YoY, +3.6%QoQ), HB&B 사업부의 매출은 221억원(+8.4%YoY, -5.2%QoQ)을 전망하며 케이캡 완제품 수출 및 중국 로열티 증가, 광고/수수료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은 개선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아울러 미 경쟁사 P-CAB 독점권 연장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주가는 과도하게 조정 받고 있는 실정이지만, 본업의 가치와 미래 성장성은 이상 없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5,000원[유지]

 

폴라리스AI(039980): 글로벌 IoT기업 식스팹과 파트너십 계약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사물인터넷(IoT)과 엣지컴퓨팅 전문 기업 '식스팹(Sixfab)'과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식스팹은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를 기반으로 IoT 하드웨어를 공급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이번 파트너십 체결은 국내 공공과 산업 분야에서의 스마트 전환 요구 증가에 대응하며, 현장 중심의 안정적인 엣지컴퓨팅 인프라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협력의 일환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식스팹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엣지컴퓨팅 솔루션을 제공하고, 공공 및 산업 분야의 디지털 전환에 기여할 것"이라면서 "앞으로 폴라리스AI는 식스팹의 지원으로 AIoT 솔루션을 발굴하며 전문 AI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밝힘.

 

카카오게임즈(293490): 1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실적은 매출 1,278억원(YoY -28.3%), 영업손실 72억원(YoY 적전)으로 컨센서스 대비 매출은 15% 하회, 영업손실은 30억원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1월 신작 발할라 서바이벌 출시에도 불구하고 기존작 감소 탓에 전분기비로도 모바일 매출은 감소 예상된다고 밝힘. 반면, 영업비용은 인건비 추가 효율화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마케팅비도 전분기 이상 집행함에 따라 전체 수준은 유지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M.PERFORM[유지], 목표주가 : 15,000원[유지]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