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4.28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4-28 15:20
조회수 :
216

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강세 테마: 2차전지(나트륨이온), 보안주(정보), 마이데이터, 타이어, RFID(NFC 등), 건설 대표주, 삼성페이, 양자암호/양자컴퓨팅, 면세점, 키오스크(KIOSK), 셰일가스(Shale Gas), 테마파크, 핀테크(FinTech),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스마트카(SMART CAR), 카지노, DMZ 평화공원, 백화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인터넷은행,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LNG(액화천연가스), 밥솥, SI(시스템통합), 마리화나(대마) 등...

 

약세 테마: 일자리(취업), 출산장려정책,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엔젤산업, 반도체 대표주(생산), 4대강 복원, 유리 기판, 퓨리오사AI, HBM(고대역폭메모리), 낙태/피임, 백신여권, 창투사,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줄기세포, 3D 낸드(NAND), NI(네트워크통합), 3D 프린터, 마스크, 반도체 장비, LED장비, 구충제(펜벤다졸, 이버멕틴 등), 피팅(관이음쇠)/밸브, 슈퍼박테리아, 제대혈, 의료AI, 패션/의류, 반도체 재료/부품 등...

 

 

 

<특징 테마>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2분기 실적 상향 조정으로 주가 반등 전망 등에 상승
▷대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1분기 아티스트 활동 비수기로 엔터사들이 부진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그러나 2분기 메가 IP 활동이 집중되어 있어 2분기 실적은 상향 조정세로 1분기 실적 발표 후 주가가 반등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 아울러 올해의 기대포인트인 공연 중심의 성장세는 엔터 4사 합산 기준 YoY 1Q +42%, 2Q +56%로 증명된 모습이라며, 1분기 실적을 통해 공연 사업의 마진율과 MD 성장세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하이브, JYP Ent., 디어유, 에프엔씨엔터 등 음원/음반/엔터테인먼트 테마가 상승.

 


화장품: 유럽서 K-뷰티 확장으로 리레이팅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후 유럽은 지정학적 완충지대이자 관세 우회 수출 거점으로 부상하며, K-뷰티 기업들의 전략적 전환지가 되고있다고 분석.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MOCRA 시행, 트럼프식 관세 복원)와 중국의 소비 회복 지연 속에서 유럽 수출 비중은 3년 연속 상승하며 구조적 성장 가능성을 입증 중이라고 밝힘.

▷유럽 내 K-뷰티 수요 확산은 단순한 수출 비중 확대에 그치지 않고 주요 국가의 화장품 수입 구조 내 한국산 제품의 존재감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며, 실제로 2025년 2월 기준 프랑스의 화장품 전체 수입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11%로 전년대비 5%p 증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했다고 밝힘. 주목할 점은 프랑스와 영국 모두 전체 화장품 수입액이 감소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제품만은 역성장을 피하고 오히려 50% 이상 고성장세를 나타냈다는 점이라며, 이는 K-뷰티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브랜드 충성도와 품질 경쟁력 기반의 수요 전환을 이끌어내고 있음을 시사하며 유럽 내 시장 구조 변화의 초기 신호로 해석된다고 설명.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씨티케이, 콜마비앤에이치, 코스맥스, 브이티, 실리콘투, 신세계인터내셔날 등 일부 화장품 테마가 상승.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넷마블(251270):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영업수익 6,142억원(YoY +4.9%, QoQ -5.4%), 영업이익 318억원(YoY +761.2%, QoQ -9.7%, 영업이익률 5.2%)을 기록하며 컨센서스 영업이익 268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3/20 출시된 'RF 온라인 넥스트'는 낮은 시장 기대감을 뒤엎고 한 달간 매출 순위 1위 기록해 동사의 또다른 캐시카우로 자리잡을 것으로 추정. 이어 마케팅비와 인건비는 통제하는 기조가 이어지고 있으며, PC 자체결제시스템 통해 앱수수료 비중이 계속 낮아질 전망이라고 언급.
▷아울러 5/15 '세븐나이츠 리버스'도 탄탄한 팬덤을 이루고 있는 자체 IP이기에 긍정적 성과를 예상하며, 하반기로 갈수록 개별 작품의 기대 매출이 높아 실적 및 주가 우상향을 전망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5,000원[유지]

 

LIG넥스원(079550): 83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55%) 규모 공급계약 체결 등에 소폭 상승
▷국방과학연구소와 834.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55%) 규모 공급계약(장사정포요격체계 체계개발 체계종합 시제) 체결(계약기간:2025-04-28~2028-11-30) 공시.
▷한편, 동사는 언론을 통해 '페루 국제방산전시회(SITDEF 2025)'에 참가해 해양안보 종합솔루션을 소개했다고 밝힘. 동사는 HD현대중공업과 공동으로 마련한 전시관에서 3,000톤급 이상의 전투함에 탑재되는 다기능 레이더(MFR), 전자전 및 전투체계, 함정탑재용 근접방어무기체계(CIWS-II)를 비롯한레이더 및 방어용 무기체계와 해궁·비궁 등 유도무기 체계를 소개했으며, 잠수함용 전투체계와 홍상어, 범상어 등 수중 타격체계도 선보인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소개한 함정·잠수함 주요 시스템과 해양 솔루션을 중심으로 중남미 진출을 본격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임.

 

CJ제일제당(097950): 셀렉타 매각 무산 등에 하락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CJ SELECTA 매각 계약을 공식적으로 해제했다며, 이는 거래 상대방의 선행조건 충족이 지연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이에 동사는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계약상 권리를 행사해 거래상대방에게 계약 해제를 통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
▷동사는 글로벌 바이오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고 경영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CJ SELECTA 매각을 추진했었다며, 특히 대두 기반 SPC 시장 내 경쟁 심화와 수익성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핵심 자산을 정리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한 바이오 사업 내 질적 성장을 모색하는 과정이었다고 설명. 당초 매각이 완료될 경우 동사는 브라질 바이오 법인 관련 리스크를 상당 부분 해소하고, 회수 자금을 통해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에 나설 것으로 기대했다고 언급.
▷한편, 동사는 STIC CJ 글로벌투자파트너쉽 사모투자전문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CJ SELECTA 잔여 지분 34%를 추가 인수했다며, 추가 잔여 지분 인수와 이번 매각 무산으로 CJ SELECTA 지분 100% 직·간접적으로 모두 보유해 앞으로 CJ SELECTA를 포함한 바이오 사업의 포트폴리오 조정 혹은 전략의 재정비가 필수적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70,000원[유지]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씨티케이(260930): 오버행 이슈 해소에 따른 주주가치 재평가 기대감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주요 투자자였던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스마일게이트)가 펀드 만기에 따라 최근 자사 보유 주식 전량을 장내에서 매각해 ‘오버행(Overhang) 이슈’가 완전히 해소됐다고 밝힘. 이번 오버행 이슈 해소로 동사의 주식거래 유통구조가 개선되고 신성장동력으로 삼아 추진하고 있는 북미 OTC 제조공장 운영,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확대 등을 바탕으로 한 주가 밸류에이션의 재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스마일게이트의 오랜 신뢰와 동행에 감사드린다"며, "이번 오버행 해소를 시작으로 자사가 보유한 혁신 역량과 새로운 글로벌 성장동력을 바탕으로 한 성과와 비전을 보여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힘.

 

유바이오로직스(206650): 올해 실적 호조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강세
▷한양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은 전년대비 무려 +52.5% 성장한 1,465억원, 영업이익은 +76.3% 성장한 605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 당장 올해 1분기부터 급격한 성장이 예상된다며, 올해기준 PER은 9.4배 수준에 불과하다고 분석. 이어 콜레라 백신의 급격한 수요 증가에 따른 성장성, 그리고 장티푸스백신(3상완료), 수막구균백신(2/3상 중), RSV바이러스(1상) 등 개발중인 파이프라인들을 고려하면 현 주가는 극심한 저평가 구간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특히, 동사는 WHO에 콜레라 백신을 공급하는 유일한 기업이 되었다며, 최근 콜레라가 급증하면서 동사의 실적 상승세가 가파르다고 언급. 23년 매출 694억원, 영업이익 77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을 시작했고, 24년에는 연간 매출액이 무려 +38.4% 증가한 960억원을 시현했다고 밝힘. 콜레라백신 급격한 수요 증가로 인해 이 같은 고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추정.

 

나인테크(267320): 나트륨 배터리 제조 회사 에너지11 자회사 편입 절차 마무리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유일의 나트륨 배터리 제조 회사인 에너지11의 자회사 편입 절차가 마무리됐다고 밝힘. 지난 2023년 말 지분 취득으로 에너지11 2대주주 지위에 있었던 동사는 에너지11의 지분 100만주를 추가 획득했으며, 지분 취득은 구주매입과 제3자배정 유상증자을 통해 지난달 말부터 진행됐으며 모든 절차가 마무리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나트륨 배터리는 기존의 리튬 기반 배터리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원재료가 풍부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며 "최근 CATL에서 나트륨 배터리 상용화를 발표해 기대감이 큰 상황에서 이번 추가 지분 인수는 신사업 분야인 나트륨배터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힘.

 

예스티(122640): 고압 어닐링 장비 잠금장치 관련 특허심판 승소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HPSP의 고압 어닐링 장비 잠금장치 관련 특허심판에서 승소했다고 밝힘. 특허심판원은 지난 25일 동사가 청구한 2건의 소극적권리범위확인심판에 대해 인정했으며, 이번 소에서 특허심판원은 동사의 고압수소어닐링 잠금장치 구조가 HPSP의 특허와는 다르다고 판단했음.
▷한편, 고압수소어닐링은 반도체의 실리콘 산화물(SiO) 표면 결함을 고압 수소·중수소로 치환하는 장비로 HPSP가 독점하고 있는 분야이며, 동사가 새롭게 진출을 발표하자 HPSP는 2023년 특허침해 소송을 제기한 바 있음.
▷이에 금일 동사의 주가가 상승한 반면, HPSP의 주가는 하락.

 

오름테라퓨틱(475830): 신약 후보물질 'ORM-5029' 미국 임상 자진 중단 결정에 하한가
▷ORM-5029 (TPD²-GSPT1) 플랫폼에 기반한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및 기타 HER2 과발현 악성종양 치료제 (연구 과제명: NCT05511844) 자진 중단 공시. 동사는 ORM-5029의 제1상 First-in-Human 임상시험에서 도출된 임상적 안전성, 약물동태학(PK), 약력학(PD) 자료에 대한 종합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했음.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