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4.29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4-29 11:55
조회수 :
217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강세 테마: 폐기물처리, 바이오인식(생체인식), 전선, 지역화폐, 전력설비, 비만치료제, mRNA(메신저 리보핵산),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캐릭터상품, 마리화나(대마), 출산장려정책, 시멘트/레미콘, 낙태/피임, 의료AI, 유심(USIM), 딥페이크(deepfake), 엔젤산업,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마스크, RFID(NFC 등),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코로나19(진단키트), 제대혈, 건설 중소형, 은행, 탈모 치료,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엔터테인먼트 등...

 

약세 테마: 조선, 보안주(정보), 남-북-러 가스관사업, 애플페이,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공작기계, 전자파, 조선기자재, 강관업체(Steel pipe),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등...

 

 

 

 

<특징 테마>   

전력설비/ 전선: 스페인·포르투갈 대규모 정전 소식 등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28일(현지시간) 정오께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대규모 정전으로 인프라가 마비되는 사태가 발생. 이번 정전은 스페인 수도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등 대부분 지역과 포르투갈 수도 리스본 등 일부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스페인 내무부는 정전 사태로 인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음. 이와 관련, 스페인 전력망 관리업체인 레드엘렉트리카는 "오후 3시 기준 반도의 북부와 남부, 서부 지역 일부에는 전력 공급이 재개됐지만, 전국적으로는 완전히 전력 공급이 이뤄지기까진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일진전기, 가온전선, 산일전기, LS ELECTRIC, 세명전기, LS, 대원전선 등 전력설비/ 전선 테마가 상승.

 


바이오인식(생체인식): 금융 거래시 안면인식 등 추가 인증 절차 도입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 금융사들이 금융 거래시 안면인식 등 추가 인증 절차를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전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은행은 SK텔레콤 고객에 대해 본인인증 시 얼굴 인증 절차를 추가했으며, 하나은행은 금일부터 얼굴 인증을 추가하고, NH농협은행 역시 얼굴 인증 확대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짐.

▷한편, 금융감독원은 지난 24일 검사 대상 금융회사 전체에 ‘이동통신사 유심 해킹 관련 유의사항’을 배포하고 “향후 금융서비스 중 휴대전화 본인인증, 문자메시지 인증만으로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추가 인증수단을 고려하라고 당부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금일 알체라,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 시선에이아이, 시큐센, 드림시큐리티 등 바이오인식(생체인식) 테마가 상승.

 


비만치료제: 美 텍사스 연방법원, GLP-1 복제약 원천차단 소식 등에 상승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가 미국 법원에서 잇따라 승소하며 GLP-1 계열 정품 치료제 시장을 굳건히 지키고 있음. 양사는 최근 복제약 업계와의 소송에서 모두 승리하면서 비만·당뇨 치료제 복제 약물의 제조·판매를 원천 차단하는 데 성공했음.

▷외신에 따르면, 텍사스 연방법원은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복제약 업계가 제기한 예비금지명령 신청을 기각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세마글루타이드' 공급 부족 해소 결정을 지지했음. FDA는 2022년 세마글루타이드 공급 부족을 공식 선언하며, 복제약 제조업체들에 일시적 제조를 허용했지만, 지난 2월 공급 부족 해소를 공식 발표하며 복제약 제조 중단을 명령한 바 있음. 이에 복제약 업계는 FDA의 결정이 임의적이고 자의적이라며 반발해 2월 텍사스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고 예비금지명령을 요청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음.

▷법원의 결정에 따라 위고비와 오젬픽의 복제약 제조는 공식적으로 중단된다며, FDA는 503A 약국(개별 환자 처방 기반 조제)과 503B 대형 아웃소싱 시설에 대해 단속에 착수할 수 있게 됐음. 503A 약국은 즉시, 503B 시설은 오는 5월22일부터 단속 대상이 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블루엠텍, 라파스, 디앤디파마텍, 나이벡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국내 아이돌그룹 내달 中 단독 공연 속 한한령 완화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전원 한국 국적으로 구성된 K팝 아이돌 그룹이 다음 달 중국 현지에서 단독 콘서트를 예정하고 있어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완화에 대한 기대감 부각. 이와 관련, 가요 기획사 C9엔터테인먼트는 소속 그룹 이펙스가 다음 달 31일 중국 푸저우에서 단독 공연 '청춘결핍 인 푸저우'를 연다고 밝힘. 특히, 그동안 한국이 아닌 외국 국적의 K팝 스타들은 중국 TV 프로그램 등에 종종 얼굴을 비췄지만, 멤버 전원이 한국 국적인 K팝 그룹이 현지에서 단독 콘서트를 여는 것은 2016년 한한령 이후 9년 만에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음. 힙합 가수보다 파급력이 큰 아이돌 그룹의 팬 미팅이 아닌 정식 단독 콘서트가 열리게 되면서 앞으로 정상급 K팝 스타들의 중국 공연 시장이 열리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는 모습.

▷이에 금일 엔에스이엔엠, 스튜디오드래곤, 노머스, JYP Ent.,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에스엠 등 음원/음반/엔터테인먼트가 상승.

 


지역화폐: 민주당, 행안위서 '지역화폐 1조원 추경안' 단독 의결 소식에 상승
▷더불어민주당이 28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지역화폐(지역사랑상품권) 예산 1조원을 새로 반영한 추가경정예산안을 단독으로 의결. 지역사랑상품권은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의 대표 정책 브랜드로, 민주당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화폐 예산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정부와 국민의힘은 정책 효과가 미미하다며 관련 예산을 편성하지 않은 바 있음.

▷한편, 전일 행안위에서 행안부 소관 예산은 지역화폐 발행 지원 1조원을 비롯해 산불 피해 지원을 위한 공공형 긴급 일자리 예산 200억원, 전자문서 시스템 정보화 286억원 등 1조809억원이 증액됐으며, 추경안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최종 심의·의결될 예정임.

▷이에 금일 유라클, 코나아이, 쿠콘, 웹케시 등 지역화폐 테마가 상승.

 


화장품: 美 매체들 한국 화장품 조명 소식 및 LG생활건강,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최근 미국의 유명 매체들이 잇달아 한국산 화장품을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할리우드 소식을 전하는 매체로 유명한 미국의 할리우드리포터는 28일 쇼핑 정보를 소개하는 코너에서 "시드니 스위니, 로제, 플로렌스 퓨와 더 많은 스타들이 사랑한 K-뷰티 브랜드들이 아마존 여름 세일 행사에서 판매되고 있다"고 소개했으며, 패션매체 얼루어는 "관세도 아마존의 이 'K-뷰티 딜'을 막을 수 없다. 쇼핑카트에 담는 한국 뷰티 베스트 딜 21개"라는 제목으로 미국에서 입소문으로 인기를 더해가는 한국 화장품들을 소개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화장품 대장주인 LG생활건강이 시장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을 발표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전일 LG생활건강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생각보다 선방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LG생활건강은 전일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69조원(전년동기대비 -1.78%), 영업이익 1,424.00억원(전년동기대비 -5.69%), 순이익 1,035.00억원(전년동기대비 -8.48%). 이와 관련, 대신증권은 올해 1분기 LG생활건강 실적은 전망치를 소폭 상회했다며, 해외 실적 추정치를 소폭 상향 조정해 목표주가를 32만원에서 34만원으로 상향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LG생활건강, 라파스, 제닉, 제로투세븐, 파미셀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증권: 증시 거래대금 반등 및 브로커리지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국내 증시 일평균 거래대금은 상반기 21.2조원, 하반기 17.1조원을 기록했고, 증시 등락에 따라 증감하는 모습이었지만, 올해는 국내 증시가 반등하면서 거래대금도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 일평균 거래대금은 1월 16.6조원/2월 21.1조원/3월 17.9조원/4월 17.8조원(4/24 기준, KRX/NXT 합산)을 기록하면서 작년 하반기 대비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

▷특히, 대체거래소 활성화에 힘입어 개인투자자의 자금 유입도 이루어지고 있다고 언급. 향후 브로커리지 실적 호조가 예상되는 바 증권 업종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을 유지한다고 밝힘.

▷아울러 금리 인하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지난 24일 한국은행이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 0.2% 감소했다고 발표한 가운데, 한은이 경기 회복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경우 주식 거래량과 채권 평가이익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다올투자증권, 현대차증권, 한국금융지주, 신영증권 등 증권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LG생활건강(051900):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등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69조원(전년동기대비 -1.78%), 영업이익 1,424.00억원(전년동기대비 -5.69%), 순이익 1,035.00억원(전년동기대비 -8.48%). 아울러 북미 사업 확대를 위한 종속회사 유상증자 참여 목적으로 LG H&H USA, INC. 주식 1,300,000주를 1,864.98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0%, 취득예정일:2025-05-15)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1,300억원)를 5% 상회했다고 밝힘. 전반적으로 기저 부담이 존재했으나, 모든 부문이 시장 기대를 상회했다며, 이번 분기는 구조 변화 방향을 명확히 보여준 실적으로 신성장 채널의 고성장, 비중국의 두 자릿수 성장 시작, 중국 흑자전환 등이 주목할 부분이라고 설명.
▷이어 올해 실적은 연결 매출 6.9조원(YoY+1%), 영업이익 5,200억원(YoY+13%, 이익률 8%)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화장품 부문은 매출 2.9조원(YoY+1%), 영업이익 2,100억원(YoY+32%, 이익률 7%) 예상하며, ‘중국은 수익성 중심, 비중국은 확장’ 방향으로 손익 개선과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 등이 동반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00,000원 -> 420,000원[상향]

 

효성중공업(298040): 고전압·대용량 제품군 중심의 고수익 수주 확대 기대감 등에 강세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현재 미주 지역에서는 765kV급 초고압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는 가운데, 미국 생산 법인에서 최초로 765kV 초고압변압기 주문을 수주했다며, 고전압·대용량 제품군 중심의 고수익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힘. 인도 지역 역시 800kV급 GIS 차단기 등 높은 단가의 수주가 집중되고 있다며, 신규 수주에서 해외 비중이 77%까지 확대되며 수주잔고의 평균 마진율이 상승하고 있어 향후 매출 인식 과정에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고 분석. 이에 따라 동사의 올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5% 성장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는 25년 추정 EPS 기준 P/E 13배로, 전력기기 섹터 평균인 15배 대비 할인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언급. 이어 중공업 부문의 수익성 레벨업과 이익률 개선 흐름을 감안할 때 추가적인 리레이팅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현재 밸류에이션 수준은 중장기 관점에서 매력적인 진입 구간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00,000원[유지]

 

iM금융지주(139130): 1분기 호실적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83조원(전년동기대비 -13.70%), 영업이익 2,090.92억원(전년동기대비 +31.91%), 순이익 1,586.63억원(전년동기대비 +40.46%). 또한, 자회사 iM증권,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688.77억원(전년동기대비 -14.84%), 영업이익 332.24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73.6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자회사 iM뱅크,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5조원(전년동기대비 -12.64%), 영업이익 1,612.77억원(전년동기대비 +5.39%), 순이익 1,251.43억원(전년동기대비 +4.71%).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실적은 기저효과에 의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긴 했지만, 예상보다 1~2분기 빠르게 턴어라운드가 이루어졌다고 밝힘. 아직 자산건전성 변화에 따른 실적변동성을 보일 여지가 있지만, 2024년 충당금비용이 워낙 컸기 때문에 충당금비용이 감소하며, 실적이 크게 개선되는 방향에는 변화 없을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3,000원 -> 14,000원[상향]

 

두산밥캣(241560): 미국發 관세 리스크서 상대적으로 안전 분석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미국발 관세 우려가 대부분의 국내 건설기계 업체에는 불확실성이지만, 경쟁사들 대비로는 안전하다고 밝힘. 이는 무엇보다 동사의 주력 제품 대부분이 미국 내에서 생산된다는 점 때문이라고 분석. 또한, 미국 컴팩트 장비에서 동사가 선두 업체에 해당한다는 점도 중요하다며, 이는 시장의 가격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언급.
▷한편, 동사는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컨센서스에 미달했지만, 이는 시장 기대가 다소 높았던 편이라며, 전 분기 대비 이익률이 개선됐고 프로모션 비용이 줄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HOLD -> BUY[상향], 목표주가 : 54,500원[유지]

 

미래에셋생명(085620): 투자부문 손익 변동성 안정화 전망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상업용 부동산 관련 손실이 실적 불확실성을 키우는 가장 큰 요인이었으나, 올해부터 조금씩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 이에 따라 연 1천억원대 이익 체력도 정착될 것으로 판단되며, 당장 올해 배당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향후 K-ICS 제도 완화시 재개 가능하다고 분석.
▷다만, 근래 주가는 실적, 배당보다 수급 영향을 더 크게 받고 있으며, 현재 동사 주식은 보통주 1.8억주, 보통주 전환 가능한 우선주 2,113만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최대주주는 51.8%, 자사주 34.1% 보유 중이라고 언급. 자사주를 최대주주에 매각할 경우 최대주주 지분율은 85.9%에 달해, 상장폐지 요건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현재로서는 최대주주 의중을 알 수 없지만, 향후 상장폐지 가능성은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Hold[유지], 목표주가 : 5,100원[유지]

 

셀트리온(068270): CT-P51(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 한국 임상 3상 시험계획 승인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CT-P51(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 한국 임상 3상 시험계획 승인 공시. 이와 관련, 본 3상 임상시험을 통해 CT-P51 약물의 오리지널 약물 키트루다(Keytruda)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 결과를 통해 유사성(biosimilarity)을 입증할 예정이라고 밝힘.
▷한편, 에이비프로 홀딩스는 언론을 통해 미국암연구학회(AACR) 참가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힘. 에이비프로 홀딩스는 동사와 함께 공동 개발 중인 ‘AB-102/CT-P72’의 전임상 결과를 구두 발표했으며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텍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은 것으로 전해짐.

 

동아에스티(170900): 1분기 실적 호조에 소폭 상승
▷25년1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1,689.91억원(전년동기대비 +20.65%), 영업이익 70.08억원(전년동기대비 +853.46%), 순이익 49.25억원(전년동기대비 +188.01%).

 

두산에너빌리티(034020): 사우디서 1,300억원 규모 연료전환 공사 수주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전력회사인 마라픽과 1,300억원 규모의 '얀부2 발전소 연료전환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프로젝트는 석유 발전소를 가스 발전소로 전환하는 작업으로, 동사는 2028년까지 얀부2 발전소에 연소기, 분산제어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 등 주요 기기를 공급하고 시운전을 수행할 예정임.
▷이와 관련, 손승우 동사 파워서비스 BG장은 "발전소 연료전환은 기존 설비를 최대한 활용하고 발전소 운영 정지 기간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인 저탄소 발전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발주처가 얀부 산업단지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일정과 품질 준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

 

대한유화(006650):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등에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416.34억원(전년동기대비 +11.76%), 영업손실 98.7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이익 29.7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삼성증권은 1Q 영업이익이 컨센서스(-23억원) 하회했으나, 순이익은 30억원(NPM +0.4%)으로 2개분기 연속 흑자 기록했다고 밝힘. 아울러 2025~26년 평균 ROE 하향(3.9%→3.1%)을 감안하여 ROE-P/B Valuation상 Target P/B(0.47배→0.38배, 2024년이후 평균 P/B) 및 목표주가를 18% 하향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40,000원 -> 115,000원[하향]

 

한화오션(042660): 한국산업은행, 동사 지분 블록딜 추진 소식 등에 급락
▷업계에 따르면, 한국산업은행이 보유 중인 동사 주식 일부 매각을 추진한다고 전해짐. 산은은 전일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을 통해 동사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수요예측에 들어간 가운데, 현재 동사 지분 19.5%(5,973만8,211주)를 보유중으로 금융권 안팎에서는 산은의 동사 지분 매각 수량을 1,300만주 안팎으로 추정하고 있음. 정확한 수량은 수요예측 후 확정될 것으로 보이며, 산은의 지분 매각은 K조선업 호황으로 동사 주가가 크게 상승했고 자산 건전성을 높여야 하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주가가 급락세를 기록중이며,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비전, 한화엔진 등 여타 한화 그룹주도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코어라인소프트(384470): 국내 의료 AI 최초 AI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인증 획득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공지능(AI)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IEC 42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힘. 이는 국내 의료 AI 기업 최초로 ISO/IEC 42001 인증을 확보한 것이며, 동사는 AI 국제표준 인증 획득을 기점으로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방침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국내 AI 의료기기 기업 최초로 AI 국제표준 인증을 획득했다는 데에서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을 장악해 나가고 있는 동사의 AI 기술력을 다시금 입증한 셈"이라며, "국제 학술지에서 세계 최고의 AI 기술력을 입증한 데 이어 이번 AI 국제표준 획득을 기점으로 의료 AI 규제가 엄격한 미국, 유럽 시장 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언급. 이어 "국제표준 인증 획득으로 세계 각국 정부향 수주뿐 아니라 해외 대형 의료기관향 신규 공급도 확대될 것"이라며, "특히 다국적 병원 및 의료기기 기업들은 AI의 성능뿐 아니라 안정성 요건도 까다롭게 요구하고 있어 채택 시 장기간 독점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산된다"고 밝힘.

 

비에이치아이(083650):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및 수주 증가세 지속 기대감 등에 급등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354억원(+85.2% yoy), 89억원(+153.8% yoy)으로, 컨센서스(1,335억원 / 67억원)와 IBKS 기존 추정치(1,268억원 / 62억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작년 상반기 수주한 사우디 프로젝트 관련 HRSG(배열회수보일러) 매출 인식이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특히 1분기 신규 수주는 6,000억원 수준으로, 작년 연간 수주액(1조 4,841억원) 대비 약 40%에 달할 전망이라고 언급.
▷아울러 올해도 HRSG 부문이 실적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작년 기준 발전 용량 글로벌 점유율 1위(M/S: 25%)를 기록한 만큼, LNG 복합화력 발전소 수요 확대에 힘입어 수주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8,000원 -> 30,000원[상향]

 

아이톡시(052770): 우크라이나 베레잔 판유리공장 지분인수 계약 체결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우크라이나 유일의 판유리 생산 공장 ‘BFG’(Berezan Float Glass)의 25% 지분인수 계약 및 합작투자 조인식을 현지 5대 건설그룹 City One Development와 우크라이나 키이우 현지에서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BFG 지분인수계약은 동사가 23년 11월 우크라이나 현지법인(ITOXI UA)을 설립한 후 진행하는 첫 건설원자재 합작투자 사례이며, 지난해 12월부터 글로벌 회계감사기업 Kreston를 통해 ‘BFG’에 대한 기업실사를 마쳤고, 우크라이나 현지 투자사업을 위한 자회사 BFG Partners를 설립해 판유리 공장 투자 및 아시아산 판유리 현지 수입 유통을 진행할 예정.
▷이와 관련, 전봉규 대표는 “이번 ‘BFG’ 지분인수 계약을 통해 현지 파트너 시티원과 본격적인 우크라이나 건설 원자재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우선적으로 아시안산 판유리를 우크라이나로 수출하는 유통사업을 추진하기로 협의했다”고 밝힘.

 

아이센스(099190): 1분기 호실적에 상승
▷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62.69억원(전년동기대비 +11.49%), 영업이익 31.60억원(전년동기대비 +290.12%), 순이익 21.35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RFHIC(218410): 글로벌 방산기업과의 협력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한국IR협의회 기업리서치센터는 동사에 대해 글로벌 방산기업과의 협력 확대가 기대된다고 전망. 특히, 동사의 GaN(질화갈륨) 기술을 적용하면 기존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고 수명이 훨씬 길다는 장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최근 동사는 방산용 단일 부품 공급에서 시스템 일부를 담당하는 영역으로 사업을 확대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고 설명.. 이러한 영역으로 확장될 경우 매출 규모가 상당히 커질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분석.
▷한편, 통신 부문에서는 대형 통신장비 업체를 통해 북미 시장에 오픈랜(Open RAN)용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오픈랜은 기존 폐쇄형 접속망과 달리 다양한 제조사의 장비를 연동할 수 있는 개방형 네트워크 구조로,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이 높다고 설명. 아울러 데이터센터 트래픽 증가와 엣지 컴퓨팅 수요 확산에 따라 오픈랜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며, 동사는 최근에 유럽 주요 통신장비 업체로의 영업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어 긍정적이라고 분석.

 

디앤디파마텍(347850): MASH 치료제 DD01 美특허 등록 결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가 개발중인 MASH 치료제 DD01과 관련한 미국 특허 등록이 28일(현지시간) 결정됐다고 밝힘. DD01은 디앤디파마텍이 자체 개발중인 장기 지속형 GLP-1/글루카곤(glucagon) 이중 수용체 작용제로, 특히 뛰어난 지방간 감소 효과에 기반하여 2024년 3월 미국 FDA로부터 MASH (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 치료제로써 패스트트랙 (Fast Track) 약물로 지정 받은 바 있음.
▷동사가 현재 진행 중인 미국 임상2상 연구의1차 평가지표는 MRI-PDFF 측정 방법을 통한 '투약 전 대비 12주 차 지방간 30% 이상 감소 환자의 비율'로, 최근 모든 환자의 12주 투약 및 MRI-PDFF 촬영이 계획대로 완료된 만큼 6월 중 1차 평가지표에 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이슬기 대표는 "DD01은 최근 MASH 치료제로 가장 각광받는 GLP-1/GCG 계열 치료제중에서도 빠른 지방간 감소 등의 유효성 뿐만 아니라 경쟁약물 대비 안전성에서도 우위를 보일 수 있는 품목"이라며, "금번 미국 특허 등록결정 소식과 함께, 조만간 확인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임상2상 1차 평가지표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확인되는 경우 동사가 그간 계획해온 바와 같이 유의미한 기술 이전 계약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밝힘.

 

코렌텍(104540): 1분기 호실적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180.04억원(전년동기대비 +18.85%), 영업이익 16.50억원(전년동기대비 +366.10%), 순이익 37.61억원(전년동기대비 +302.67%).

 

디티앤씨알오(383930): 에스피메드와 기술 교류 및 연구 협력을 위한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신약개발 약동학 및 약물유전체 연구전문기관 에스피메드(SPMED)와 기술 교류 및 연구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이번협약을 통해 비임상·임상과 약동학 시험 간의 유기적 협력, 신약개발 학술 및 기술 교류, 상호보완적 CRO 서비스 연계를 통한 비즈니스 시너지 구축, 기타 양 기관의 관심 분야에 대한 상호협력을 추진할 예정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양사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신약개발의 효율성과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협력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양사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내를넘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연구개발 파트너로 도약하겠다"고 밝힘.

 

마음AI(377480): SK 웰니스 로보틱스 '나무엑스'에 온디바이스 AI 탑재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SK의 웰니스 로보틱스 '나무엑스(NAMUH X)'에 자사의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탑재하며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밝힘. 이번 프로젝트에서 동사는 단순한 음성 인터페이스를 넘어, 인터넷 연결 없이도 전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100% 보이스 컨트롤 솔루션을 실현. 이와 관련, 최홍섭 대표는 "이번 프로젝트는 음성 하나로 일상을 제어하는 기술을 현실로 구현한 사례"라며 "음성 인터페이스의 가능성을 넘어, 보다 직관적이고 인간적인 AI를 만들고 있다. 앞으로도 사람과 기술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온디바이스 AI 기술의 미래를 선도하겠다"고 밝힘.

 

이엔셀(456070): 美 써모피셔와 CGT 분야 사업 협력 강화 논의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써모피셔사이언티픽(써모피셔)과 써모피셔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비전 센터 개소를 맞아 지난 25일 연구개발 협력을 논의했다고 밝힘. 양사는 CGT 분야에서의 공정개발 및 품질관리 역량을 극대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치료제 공동 개발 협력을 추진하는 한편, 향후 산·학·연·병 체계로의 확장도 함께 모색하기로 했으며, 또 원천 기술 연구부터 R&D와 임상시험에 이르기까지 양사의 기술과 노하우를 접목해 CGT 분야 사업 협력도 강화한다는 계획.
▷이와 관련, 장종욱 대표는 "글로벌 과학 기업인 써모피셔와의 이번 논의는 동사의 기술 역량을 한층 확장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추후 양사가 함께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적극 발굴해 신성장동력으로 삼겠다"고 밝힘.

 

에코프로비엠(247540): 1분기 실적 발표 속 소폭 하락
▷25년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297.89억원(전년동기대비 -35.10%), 영업이익 22.70억원(전년동기대비 -66.03%), 순손실 99.6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넥스턴바이오(089140): 15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20억원 규모 CB 발행, 41.64억원 규모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로아앤코(최대주주의 최대주주) 대상으로 600,000주(15.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2,500원, 상장예정:2025-06-20) 공시.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를 위해 (주)로아앤코(최대주주의 최대주주) 대상으로2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552원, 전환청구일:2026-05-30 ~ 2028-04-30) 공시.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총 전환사채금액:80.00억원, 매도 결정 전환사채 금액:41.64억원) 공시.

 

에이아이코리아(364950): 스팩합병 상장 첫날 급락
▷금일 한국제14호스팩과의 스팩합병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는 13,950원에서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락세를 기록중. 한편, 동사는 2차전지 전문 업체로 2차전지 생산설비의 전해액 중앙공급시스템사업(CESS)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차전지 생산공정 프로세스 파이핑 사업을 영위. 이외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건식세정장비 사업 등도 영위.




@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