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8.18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8-18 11:27
- 조회수 :
- 215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조선기자재, 자전거, 캐릭터상품, 웹툰, 백신여권, 키오스크(KIOSK), 마이크로바이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해운, 인터넷 대표주,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모더나(MODERNA), 유심(USIM), 낙태/피임, 조선, 스포츠행사 수혜(올림픽, 월드컵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김밥(냉동김밥 등),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통신, 건강기능식품, 전기자전거, 풍력에너지 등...
약세 테마 : 슈퍼박테리아, HBM(고대역폭메모리), 반도체 재료/부품, 2차전지(전고체), 뉴로모픽 반도체, LED장비,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전선,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줄기세포, 반도체 장비, mRNA(메신저 리보핵산), 2차전지(장비), 아이폰, 탈모 치료, 건설기계, 강관업체(Steel pipe), 2차전지(소재/부품), 패션/의류, 온디바이스 AI, 2차전지(나트륨이온) 등...
[특징 테마]
제약/바이오 : 빌게이츠 방한 예정 소식 속 백신 협력 기대감 및 코로나19 입원환자 6주 연속 증가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의 공동창업자인 빌 게이츠 빌앤드멀린다게이츠재단 이사장이 한국을 방문해 국내 백신 기업들과 백신 협력 관련 논의를 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게이츠 이사장은 오는 8월21일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며, 트레버 먼델 재단 글로벌헬스부문 대표가 보건복지부와 국립보건연구원, 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등의 관계자를 만나 백신 협력 관련 논의를 할 것으로 알려짐.
▷지난 16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32주차(8월 3∼9일) 전국 221개 병원급 표본 의료기관에 입원한 코로나19 환자는 272명이었다고 전해짐. 이는 지난주 220명에서 23.6% 증가한 것으로, 최근 6주 연속 증가세임. 특히, 입원환자 10명 가운데 6명은 65세 이상 고령층으로, 31주차까지 전체 입원환자 3,526명 중 60%인 2,114명이 65세 이상이었고, 50~64세가 18.3%(647명), 19~49세가 9.6%(340명)였다고 알려짐.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률도 증가세를 이어가 호흡기감염증 의심환자 검체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된 비율은 31주차 22.5%에서 32주차 32%로 증가했음.
▷이 같은 소식 속 그린생명과학, SK바이오사이언스, 유바이오로직스, 메타케어, 수젠텍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 美 태양광 설치 수요 우려 완화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5일(현지시간) 태양광과 풍력 사업 세액공제 관련 지침을 공개하면서 주거용 태양광은 기존대로 세액공제 자격을 유지한다고 밝힘. 또한,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우에도 '일정 수준의 물리적 시공'이 지속적으로 진행 중임을 입증하면 4년간 세액공제 혜택을 주기로 결정. 이에 지난 1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서 선런(+32.82%), 솔라엣지 테크놀로지(+17.10%), 퍼스트솔라(+11.05%)와 인페이즈 에너지(+8.13%) 등 美 신재생에너지 주가가 급등세를 보임.
▷이와 관련,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새로운 세액공제 지침이 시장의 우려 대비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면서, 태양광 설치 수요에 대한 시장 우려가 완화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이에 미국 정책 영향을 크게 받는 한국 태양광 주식들의 센티먼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에너지솔루션, OCI홀딩스, 매커스, 대명에너지, 에스에너지, 세진중공업, SK오션플랜트 등 태양광/풍력에너지 등 일부 신재생에너지 테마가 상승.
전력설비/ 전선 등 : 美 상무부, 철강·알루미늄 파생 제품 범위에 변압기·건설기계 등 407종 추가 소식 등에 하락
▷美 상무부는 지난 15일(현지시간) 관보를 통해 철강·알루미늄 파생 제품 범위에 407종을 새로 포함했음.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이미 철강·알루미늄 파생 제품 615종이 품목관세 대상이었는데 407종이 추가된 것으로 이러한 새 관세는 18일부터 적용될 예정. 업계에선 가구와 포크 같은 생활용품은 물론 변압기와 건설기계 등 한국 주력 제품이 15% 상호관세 대신 관세율이 50%에 달하는 철강·알루미늄 품목관세를 적용받게 돼 피해가 예상되고 있음. 새 관세 품목에는 터빈 및 내연기관 엔진 부품, 공조기(에어컨) 등 펌프류, 지게차 불도저 굴착기 등 건설기계, 변압기, 강관 등이 포함됐음. 미국이 철강·알루미늄만이 아니라 이를 활용해 만든 다양한 제품까지 자국에서 생산하겠다는 정책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LS ELECTRIC, 티씨머티리얼즈, HD현대일렉트릭, LS, 가온전선, 효성중공업 등 전력설비/전선 테마가 하락. 또한, 동양철관, 율촌, 하이스틸, 대한제강, 고려제강 등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강관업체(Steel pipe) 테마도 하락.
반도체 관련주 : 트럼프 대통령, 반도체 고율 관세 부과 예고 등에 하락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美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반도체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한 것으로 전해짐.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알래스카로 향하는 에어포스원에서 취재진들에게 "내주와 그 다음주에 철강과 반도체에 관세를 설정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어 "반도체 관세율이 200%나 300%가 될지도 모른다"며 "미국에 생산시설을 두지 않으면 매우 높은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언급.
▷이에 지난 주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2.26% 급락. 엔비디아(-0.86%), AMD(-1.90%), 마이크론 테크놀로지(-3.53%), 램리서치(-7.33%), AMAT(-14.07%), 마벨테크놀로지(-3.61%) 등이 동반 하락.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서진시스템, AP시스템, 유니셈, 제너셈, 에스에프에이, 이오테크닉스, 미코, 솔브레인, ISC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등 : 러·우 휴전합의 '노딜' 소식, 美 철강·알루미늄 관세 품목에 건설기계 포함 소식 등에 하락
▷지난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美 알래스카에서 6년여만에 직접 만났으나, 기대했던 우크라이나전쟁 휴전에 대한 합의 발표없이 정상회담을 마쳤음. 이번 회담에서 양국이 뜻을 같이하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미국 등의 후속 3자 또는 다자회담을 통해 최종 합의될 것으로 기대됐던 '휴전'에 대한 언급은 양 정상의 입에서 나오지 않았으며, 합의없음으로 종료됨에 따라 3년 반 동안 진행돼온 우크라이나전쟁의 출구 찾기는 일단 늦춰지는 형국이라고 전해짐.
▷특히, 정상회담이 끝난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충돌을 이어가고 있음. 전일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보로네시 상공에서 드론 9대를 격추했으며 모스크바 서쪽 지역에서도 우크라이나 드론 46대를 밤새 파괴했다고 밝힘. 이어 우크라이나 공군 역시 러시아가 띄운 드론 85대 중 61대를 요격했으며 러시아군의 미사일과 드론 공격으로 우크라이나 전역 12곳이 타격을 입었다고 발표했음.
▷언론에 따르면, 美 상무부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 적용 대상이 되는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407종을 추가로 발표했음. 이번에 추가된 파생 제품 407종에 우리 주력 수출품인 기계, 부품류가 대거 포함된 가운데, 새 관세 품목에는 지게차 불도저 굴착기 등 건설기계 등도 포함. 이에 따라 가구와 포크 같은 생활용품은 물론 변압기와 건설기계 등 우리의 주력 제품이 15% 상호관세 대신 50%에 달하는 철강·알루미늄 품목관세를 적용받게 된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인프라코어, HD현대건설기계, 진성티이씨, 오늘이엔엠, 아이톡시, 유신, 디와이디, 한신공영, 자연과환경 등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가 하락.
정치/인맥(이재명) :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취임 후 최저치 소식 등에 하락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1~14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 ‘잘함’이라고 평가한 응답자는 51.1%로 나타났음. 이는 직전주보다 5.4%포인트 하락했고, 2주 전 63.3%보다는 12.2%포인트 떨어진 수치임. 해당 기관 여론조사 기준 2주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가장 낮은 지지율임. ‘잘못함’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44.5%로 전주대비 6.3%포인트 올랐으며, ‘잘 모름’은 4.5%로 집계됐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리얼미터는 "광복절 특별사면 논란에 대한 실망감, 주식 양도세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동시 수감으로 인한 정치적 부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민주당 강성 지지층 중심 정책이 중도층 이탈을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
▷한편, 국민의힘은 전주에 이어 지지율이 6.4%p 올라 민주당과의 지지율 격차를 오차범위 내로 좁힌 가운데, 양당 지지율 격차가 오차범위 내로 좁혀진 것은 12주 만임.
▷이 같은 소식 속 형지엘리트, 형지 I&C, 형지글로벌, 동신건설, 오리엔트정공, 일성건설, 에넥스, 코나아이, 프리엠스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웅진(016880) : 상조업체 프리드라이프 인수 효과에 따른 2분기 호실적 등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788.27억원(전년동기대비 +8.30%), 영업이익 258.88억원(전년동기대비 +90.86%), 순이익 81.07억원(전년동기대비 +73.29%). 언론에 따르면, 이번 호실적은 6월에 자회사로 편입된 상조업체 웅진프리드라이프 인수 효과가 컸다고 전해짐. 반기 기준 매출의 21%를 차지한 웅진프리드라이프는 영업이익 495억원을 올려 비중이 63%나 됐다고 알려짐. 또한, 웅진프리드라이프는 이날 문호상 신임 대표이사가 공식 취임했다고 밝히면서 상조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한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자금보충약정 체결의 건 공시. 종속회사인 주식회사 웅진플레이도시(차주)와 엠더블유제일차 주식회사(대주)간의 금전대여약정 관련 자금보충약정을 제공하기로 이사회 결의를 통해 결정. 약정금액은 1,050억원으로 자기자본대비 55.58%, 약정기간은 2027년8월14일까지임.
한국특강(007280) :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2,141.84억원(전년동기대비 +16.12%), 영업이익 98.11억원(전년동기대비 +521.33%), 순이익 60.9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코스맥스비티아이(044820) : 2분기 호실적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637.26억원(전년동기대비 +2.99%), 영업이익 99.05억원(전년동기대비 +44.37%), 순이익 72.93억원(전년동기대비 +7.42%).
세아특수강(019440) : 2분기 영업이익 및 순이익 개선에 강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31.99억원(전년동기대비 -5.64%), 영업이익 82.59억원(전년동기대비 +45.72%), 순이익 32.39억원(전년동기대비 +39.63%).
HMM(011200) : 2.14조원 규모 자사주 공개매수 및 전량 소각 계획 등에 강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보통주 81,801,526주(2.14조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8-18~2025-09-12) 및 보통주 81,801,526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9-24) 공시. 자기주식 취득 목적은 주주환원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로, 공개매수를 통해 취득할 예정임.
▷이와 관련, iM증권은 동사에 대해 주당 예정 매입 금액 26,200원은 현 주가 대비 18.55%의 프리미엄으로 일반적인 공개 매수 프리미엄(+10~15%) 대비 높으며, 2022년 6월 이후 약 3년 내 종가 기준 최고가라고 언급. 이번 주주환원정책은 예상 대비 많은 규모로, 주주 모두의 청약을 가정 시 산업은행(지분율 36.02%), 해양진흥공사(지분율 35.67%)을 제외한 시장 유통 물량 2.90억주(지분율 28.32%)는 2.67억주로 감소하게 된다며 동사는 본래도 시장 유통 물량이 적어 주가의 변동 폭이 컸는데, 이번 자사주 매입/소각으로 동사의 주가의 변동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9,000원[유지]
후성(093370) : 2분기 영업이익 호조 속 강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42.06억원(전년동기대비 +10.97%), 영업이익 147.68억원(전년동기대비 +248.04%), 순손실 180.5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미스토홀딩스(081660) : 2분기 호실적에 상승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2조원(전년동기대비 +4.46%), 영업이익 1,818.85억원(전년동기대비 +29.78%), 순이익 1,392.02억원(전년동기대비 +38.60%).
▷동사는 언론을 통해 골프 사업인 아쿠쉬네트 부문의 성장이 실적을 견인했다고 밝힘. 아쿠쉬네트 부문은 전년동기대비 7.9% 성장한 1조11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타이틀리스트 골프공 Pro V1·Pro V1x를 비롯해 클럽, 기어 제품군 전반이 견조한 수요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음.
한국전력(015760) : 李 대통령, 전기요금 인상 발언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4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재생에너지 생산을 늘려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과정에서 “전기요금이 오를 수밖에 없다”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李 대통령은 적극적으로 국민에게 이를 알려 이해와 동의를 구해야 한다”고 언급했음. 다만, 대통령실은 장기적으로 전기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당장 전기요금 추가 인상에 관한 구체적 계획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음.
▷한편, KB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동사의 중단기 실적과 주가를 견인하는 가장 큰 요인은 여전히 전기요금이라고 밝혔음. 최근 들어 에너지 고속도로 등 국내 전력망에 대한 투자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동사의 재무구조 개선 및 현금흐름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이르면 2026년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이 확대되었다고 분석한 바 있음.
CJ(001040) : 올리브영 2분기 실적 호조 속 지분가치 추가 반영 기대감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YoY 4.1% 증가한 11.1조원, 영업이익은 YoY 6.6% 감소한 6,188억원을 시현했다고 밝힘. 수익성 악화로 주요 상장자회사들의 영업이익이 다소 저조했던 반면, 올리브영의 실적은 예상을 크게 상회했던 점이 특징적인 요인이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올리브영은 매출액이 YoY 21.0%나 증가하고, 순이익도 YoY 15.3% 증가한 1,440억원을 시현했다며, 2분기 영업이익은 2,000억원대로 영업이익률은 14%에 육박하는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 올리브영의 매출액은 예상을 크게 상회했는데 이는 온라인은 내국인 중심, 오프라인은 외국인 인바운드 매출 증가에 주로 기인했다고 분석.
▷아울러 글로벌 비교사인 ULTA의 1개월 평균 PER은 20배이고, 1년 평균 PER은 16배 수준인데 올리브영의 올해 예상 순익 5,850억원에 15배를 적용한다고 해도 올리브영의 기업가치는 8.8조원에 육박한다고 밝힘. 지분율 51.2%를 감안한 동사의 올리브영 지분가치는 4.5조원에 달한다며, 지분가치에 30%를 할인적용한다고 해도 3.1조원을 상회하는데 현 동사의 시가총액은 4.3조원에 불과하다고 밝힘.
▷또한, 최근 정치권에서 자사주 의무 소각 관련 법안을 잇따라 발의 중인데 동사는 보통주 7.3%의 자사주를 보유 중이므로 향후 법안 전개 방향에 따라 모멘텀 작용 가능성이 있고, 순이익의 70% 이상 배당정책 고려시 배당소득 분리 과세 대상 기업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정책 수혜도 기대 요인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80,000원 -> 190,000원[상향]
SBS(03412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분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영업이익은 각각 2,682억원(-2% YoY)/70억원(-27%)으로 컨센서스(34억원)를 상회했다고 밝힘. 특히, 별도 영업이익이 87억원(+59%)으로 상당히 좋았다며, 광고가 539억원(-19%)으로 1분기(-13%) 대비 해서도 어려운 업황이 지속되고 있으나, 협찬 수익 191억원(+14%)으로 견고하게 성장하고 있고, 넷플릭스/웨이브향 온라인수익이 311억원(+83%)을 기록하면서 하방을 지속 높여준 영향이라고 설명.
▷이어 하반기에는 드디어 글로벌향 콘텐츠 판매도 시작된다며, 상반기에는 디즈니향 1편이 판매되었지만, 하반기에는 넷플릭스/디즈니 각각 2편씩 총 4편이 판매된다고 밝힘. 올해 넷플릭스향 글로벌 판매는 작년에 결정된 드라마 제작에 대한 부분인데, 내년 드라마 제작 부터는 넷플릭스와 공동 제작하는 부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편성 확대, 흥행 성과 확대, 그리고 광고 매출 성장이라는 선순환이 시작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
▷한편, 2023년~2024년 광고 수익 증가율이 각각 -22%/-17%로 코로나 수혜의 역 기저효과로 매우 부진했는데, 그래도 이 정도 수준에서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던 올해 광고 업황은 대내외 이슈로 또 한 번 10%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다만, 광고 업황의 가파른 하락 폭만 제한되더라도 분기 200억원 내외의 영업이익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4,000원[유지]
SK오션플랜트(100090) :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분석 및 하반기 추가 수주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잠정 매출액은 2,406억원(+38.8% YoY, -6.4% QoQ), 영업이익은 156억원(+3.8% YoY, +40.8% QoQ), 지배주주 순이익은 85억원(+205.8% YoY, +94.4% QoQ)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힘.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를 16.8% 상회하는 수준이라며, 해상풍력 매출 회복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되었다고 설명.
▷이어 동사의 수주잔고는 그간 국내외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 지연으로 인해 1Q25까지 수주잔고가 축소되었으나, 2Q25 중 대만 Formosa 4와 안마해상풍력 등 신규 수주가 반영되면서 전분기말 대비 2,526억원 확대되었다고 밝힘. 수주한 프로젝트들은 각각 4Q25, 2026년 초부터 매출에 기여하기 시작할 전망이라며, 하반기 중에는 대만 Wei Lan Hai, Feng Miao 업스코핑, 태안 및 안마도해상풍력 OSS Jacket 등의 추가 수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 아울러 특수선 대비 상대적으로 마진이 높은 해상풍력 구조물의 수주잔고가 충분히 확보되면서 영업이익률의 개선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3,000원 -> 25,000원[상향]
빙그레(005180) : 2분기 실적 부진 및 비용 부담 확대 전망 등에 하락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연결 매출액 4,096억원(YoY +1%), 영업이익 268억원(YoY -40%, OPM 6.6%)을 기록했다며,. 국내 소비 부진과 원가 부담 확대로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했다고 분석.
▷아울러 하반기 매출 반등이 기대되나 원가 부담이 이어지고 있어 수익성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이에 실적 추정치를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0,000원 -> 100,000원[하향]
E1(017940) : 2분기 실적 부진 등에 약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26조원(전년동기대비 -23.71%), 영업이익 1,006.63억원(전년동기대비 +9.18%), 순이익 288.68억원(전년동기대비 -67.85%).
▷1,056.95억원(자기자본대비 4.8%)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삼화전자(011230) : 2분기 적자지속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4.56억원(전년동기대비 -6.20%), 영업손실 14.1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1.5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호전실업(111110) : 2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48.39억원(전년동기대비 +15.73%), 영업이익 2.41억원(전년동기대비 -94.59%), 순손실 75.4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삼양컴텍(484590)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7,700원을 상회한 16,01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중임.
▷한편, 동사는 방위산업 전문업체로, 전투용 장갑 및 항공기 부품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음. 특히, K2전차, 소형전술차량의 장갑 제작과 관련하여 내수뿐만 아니라 수출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회전익 비행체의 방탄판, 내추락 성능을 보유한 탑승용 좌석 등 기타 항공기 부품 및 부속구조물을 제작하여 제공중임.
푸드웰(005670) : 2분기 호실적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98.09억원(전년동기대비 +16.63%), 영업이익 75.65억원(전년동기대비 +98.27%), 순이익 46.69억원(전년동기대비 +82.10%).
지투지바이오(456160) : 면역억제제 개발 국책과제 선정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2025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이종기술융합형의 투자연계 R&D사업 신규지원’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힘. 연구기간은 2년 6개월이며, 지원금은 총 25억원으로 전해짐. 이번에 선정된 연구과제는 장기이식 환자를 위한 면역억제제 개발로, 동사의 약물전달기술(Drug Delivery System)인 ‘이노램프(InnoLAMP)’를 적용해 1개월 제형으로 개발할 예정.
▷이와 관련, 설은영 동사 연구소장은 "이미 예비테스트를 통해 고함량 제형으로도 체내에서 약동학 프로파일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했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최종후보제형을 확보하고 동물에서의 효력시험, 독성시험 및 스케일-업 연구 등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힘.
케이프(064820) :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604.66억원(전년동기대비 +28.49%), 영업이익 347.94억원(전년동기대비 +220.70%), 순이익 185.82억원(전년동기대비 +380.39%).
셀바이오휴먼텍(318160) : 2분기 호실적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39.88억원(전년동기대비 +96.19%), 영업이익 30.20억원(전년동기대비 +248.96%), 순이익 16.21억원(전년동기대비 +98.06%).
케어랩스(263700) : 2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25.22억원(전년동기대비 +16.22%), 영업이익 25.75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손실 7.3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축소).
DXVX(180400) : 자회사 에빅스젠, 차세대 약물 전달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 체결 소식에 급등
▷동사 자회사 에빅스젠은 언론을 통해 차세대 약물 전달 플랫폼(ACP) 기술을 미국 바이오 전문 기업에 약 5천억 원 규모로 라이선스 아웃(기술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에빅스젠이 개발한 ACP 플랫폼은 독자적인 구조로 설계된 펩타이드 기반 약물 전달 기술로 이번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통해 에빅스젠은 ACP 특허의 제한적 독점 전용 실시권을 파트너사인 미국 바이오 전문 기업에 부여하고, 해당 기업은 자사 신약 개발 후보 물질에 한해 적용 및 개발할 예정.
▷이와 관련, 권규찬 동사 대표는 "자회사의 기술을 우리 사업개발 능력으로 잘 풀어내어 좋은 결실을 맺었다"며 "이번 계약을 통해 에빅스젠의 ACP 플랫폼 기반 BBB 투과 기술의 라이선스 진행은 물론 DXVX의 다른 파이프라인 라이선스 논의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대원산업(005710) : 2분기 호실적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895.67억원(전년동기대비 +27.37%), 영업이익 275.13억원(전년동기대비 +8,391.98%), 순이익 210.77억원(전년동기대비 +117.48%).
다산네트웍스(039560) : 2분기 흑자전환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343.22억원(전년동기대비 +38.93%), 영업이익 118.1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82.8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한라IMS(092460) : 2분기 호실적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56.62억원(전년동기대비 +39.39%), 영업이익 61.60억원(전년동기대비 +55.39%), 순이익 65.14억원(전년동기대비 +81.09%).
아진산업(013310) : 2분기 호실적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55.71억원(전년동기대비 +28.62%), 영업이익 474.90억원(전년동기대비 +376.51%), 순이익 228.73억원(전년동기대비 +2,191.91%).
아이패밀리에스씨(114840) : 하반기 해외매출 증가 전망 및 업종 내 가장 저평가 분석 등에 강세
▷DB증권은 동사에 대해 2Q 연결 매출 577억원(+17.7%YoY), 영업이익 72억원(+3.2%YoY)을 시현(OPM -1.7%pYoY)했다며, 화장품 사업부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고 밝힘. 이어 틱톡샵 7월 매출은 과거 분기 매출 규모를 상회했다며, 하반기 해외 매출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의 현 주가는 12개월 예상 순익 기준 P/E 8배, 업종 내 가장 저평가라고 밝힘. 25년부터는 동남아/미주/유럽향 매출 비중이 34%까지 상승하며 외형 성장을 견인 중이라며, 비용 증가에도 하반기 실적 기저 낮아 이익 성장률 부각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5,000원[유지]
NICE인프라(063570) : 2분기 호실적에 강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26.93억원(전년동기대비 +12.55%), 영업이익 98.75억원(전년동기대비 +57.67%), 순이익 30.07억원(전년동기대비 +58.89%).
토모큐브(475960) : 2분기 적자폭 축소 속 강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1.42억원(전년동기대비 +82.79%), 영업손실 11.2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축소), 순손실 11.3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축소).
오브젠(417860) : 실적 고성장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
▷독립리서치 밸류파인더는 동사에 대해 1H25매출액 115억원(+92%,YoY), 영업이익 8억원(흑자전환)을 기록하며 상장 이후 처음으로 2개 분기 연속 흑자라는 유의미한 실적을 달성했다며, 수주총액도 1Q25 216억원 대비 12% 증가한 24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다수 대기업 및 주요 금융권으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결과이며, 2H25에는 AI 에이전트 기반으로 더 유의미한 성과가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상장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 동사의 기업가치는 여전히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며, 피어그룹 대비 수주총액 및 수주잔고가 제일 많고 유일하게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 그럼에도 시가총액은 적게는 2.5배, 많게는 6.6배 차이가 나고 있다며, 중장기적인 재평가가 기대된다고 언급.
로킷헬스케어(376900) : 美 대형 의료기기 구매 조직 알리안트와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파트너사 타이즈 메디컬(Tides Medical)을 통해 현지 대형 의료기기 구매 조직(GPO) 중 하나인 알리안트(Alliant Purchasing)와 공식 구매·납품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성과는 지난 5월에 이어, 미국 대형 GPO와 연이어 계약을 맺은 것으로 미국 내 파트너십 확대 전략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알리안트와의 계약은 의료기관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과의 접점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라며, "글로벌 공급망 확장과 경쟁력 제고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언급.
온코닉테라퓨틱스(476060) : 자큐보 중국 임상 3상 성공 속 中 품목허가 신청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위식도역류질환 분야 중국 내 1위 기업인 리브존제약(Livzon Pharmaceutical Group)이 자사의 P-CAB 신약 자스타프라잔(국내 제품명 자큐보정)의 중국 임상 3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품목허가신청을 제출했다고 밝힘. 동사와 리브존은 지난 2023년 4월 중화권(중국·홍콩·마카오·대만)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부여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1,500만 달러(약 200억원)를 수령한 바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중국 소화기 치료제 분야에서 강력한 영업력과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 리브존은 기존 PPI시장을 P-CAB시장으로 빠르게 전환시킬 것"이라며, "임상이 조기 완료되고 그에 따른 허가 일정이 앞당겨지고 있어 중국 시장에서의 수익 실현 시점도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밝힘.
젬백스(082270) : 진행성핵상마비(PSP) 연장 임상시험 중간 결과에서 효과 확인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진행성핵상마비(PSP)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장 임상시험의 중간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힘. 이번 임상시험에서 인지기능(mentation), 안구운동(Ocular Motor) 등 일부 서브도메인 평가지표에서 증상이 유지되거나 개선되었으며, 선행 임상에서 진행한 바이오마커 분석 결과 신경퇴행성질환 분야 주요 바이오마커에서 일관성 있는 경향성이 확인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장기 투약에서도 GV1001의 효과가 지속되는 고무적인 결과와 약물의 안전성을 확인했다는 점, 특히 외부 대조군과의 비교 분석 결과에서 GV1001이 보여준 차이는 의미가 크다"며 "추가로 도출된 임상시험 데이터와 바이오마커 분석 내용을 모두 반영하여 글로벌 3상 임상시험을 빈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힘.
대주전자재료(078600) : 2분기 영업이익 부진 등에 하락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매출액은 634억원(+9% y-y, +17% q-q), 영업이익 53억원(OPM +8.4%)으로 컨센서스 대비 각각 +3%, -30% 기록했다고 밝힘. 도전재료 매출액이 예상보다 높게 나와 매출액은 기대치를 상회했으나, 고마진 사업인 형광체 매출액이 BYD의 재고조정 여파로 둔화되며 믹스가 악화됐다고 분석.
▷한편, 전기차 내 실리콘음극재 침투율이 이제 10%에 근접한 것으로 보여 향후 성장 잠재력은 크다며, 전방 수요에 따른 부침은 있겠으나 구조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98,000원 -> 93,000원[하향]
비트맥스(377030) : 2분기 적자지속 및 622.56억원(자기자본대비 279.69%)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등에 하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2.17억원(전년동기대비 -22.79%), 영업손실 27.4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657.4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622.56억원(자기자본대비 279.69%)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티씨머티리얼즈(125020) : 2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769.22억원(전년동기대비 -7.17%), 영업이익 14.41억원(전년동기대비 -52.94%), 순손실 32.4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넥스트칩(396270) :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 반기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사유로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에 약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 반기 자기자본 10억원 미만으로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 공시.
코퍼스코리아(322780) : 2분기 실적 부진 및 38.20억원(자기자본대비 15.08%)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에 약세
▷지난 14일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98억원(전년동기대비 -84.01%), 영업손실 31.3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58.2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38.20억원(자기자본대비 15.08%)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유니셈(036200) : 2분기 순이익 적자 전환 속 약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00.43억원(전년동기대비 +77.63%), 영업이익 21.06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손실 7.3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더네이쳐홀딩스(298540) : 2분기 적자전환에 약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67.52억원(전년동기대비 -13.02%), 영업손실 3.8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42.7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티앤엘(340570) : 2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87.64억원(전년동기대비 -29.31%), 영업이익 99.66억원(전년동기대비 -51.96%), 순이익 78.33억원(전년동기대비 -54.77%).
서진시스템(178320) : 2분기 적자전환에 약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85.76억원(전년동기대비 -16.28%), 영업손실 59.7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812.2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바이오포트(188040) : 2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92.26억원(전년동기대비 +12.99%), 영업이익 7.47억원(전년동기대비 -22.51%), 순손실 20.1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하이드로리튬(101670) : 반기보고서 미제출 속 관리종목 지정에 약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관리종목지정(반기보고서 미제출) 공시.
바이오플러스(099430) : 2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06.74억원(전년동기대비 +83.12%), 영업이익 20.72억원(전년동기대비 -23.60%), 순이익 34.28억원(전년동기대비 -44.98%).
애드바이오텍(179530) : 2분기 적자지속 및 16.85억원(자기자본대비 36.89%)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등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8.48억원(전년동기대비 +15.12%), 영업손실 18.8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48.6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또한, 지난 14일 장 마감 후 16.85억원(자기자본대비 36.89%)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에이텀(355690) : 2분기 적자전환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3.26억원(전년동기대비 -11.95%), 영업손실 22.4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54.6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오늘이엔엠(192410) : 2분기 적자지속 및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지정 등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1.61억원(전년동기대비 +13.78%), 영업손실 5.7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489.9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반기 검토(감사)의견 부적정등 사실확인 공시.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지정 공시.
더바이오메드(214610) : 2분기 실적 부진 및 반기 검토(감사)의견 부적정 등 사실확인 등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94억원(전년동기대비 -78.18%), 영업손실 19.7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반기 검토(감사)의견 부적정등 사실확인 공시. 반기 검토(감사)의견 비적정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공시.
▷20.04억원(자기자본대비 10.59%)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에이비프로바이오(195990) :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 사유로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으로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 공시.
그리티(204020) : 2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20.57억원(전년동기대비 -1.72%), 영업이익 23.61억원(전년동기대비 -54.56%), 순이익 16.79억원(전년동기대비 -61.79%).
SAMG엔터(41953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등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54.51억원(전년동기대비 +45.92%), 영업이익 53.5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55.5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이는 시장 컨센서스인 매출 364억원, 영업이익 64억원을 하회하는 수치로 직전분기 대비로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0.7%, 1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다만,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실적 발표 후 11%의 주가 하락은 과도한 반응이라고 밝힘. 동사는 기존 영유아 중심에서 1030 키덜트(키즈+어덜트) 시장으로의 확장을 잘 해나가고 있고, 에스엠 아티스트 에스파와의 협업은 아직 공개되지도 않았다고 설명.
엑셀세라퓨틱스(373110) : 149.99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6,355,932주(149.99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2,360원,1주당 약 0.58주 배정,청약예정:2025년 11월 12일~2025년 11월 13일(구주주),상장예정:2025-12-04) 공시.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445680) : 2분기 적자폭 확대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95억원(전년동기대비 -8.87%), 영업손실 39.5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확대), 순손실 182.6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확대).
피플바이오(304840) : 2분기 실적 부진 및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지정 등에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32억원(전년동기대비 -46.41%), 영업손실 19.7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반기 검토(감사)의견 부적정등 사실확인 공시.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지정 공시.
마이크로컨텍솔(098120) : 2분기 실적발표 속 급락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23.67억원(전년동기대비 +47.66%), 영업이익 36.93억원(전년동기대비 +143.27%), 순이익 21.63억원(전년동기대비 +53.90%).
셀루메드(049180) :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 반기 검토(감사)의견 비적정 사유로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에 하한가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 검토(감사)의견 비적정,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으로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 공시.
크레오에스지(040350) : 2분기 적자폭 확대 및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등에 하한가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7.44억원(전년동기대비 +30.54%), 영업손실 15.4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순손실 24.7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반기 검토(감사)의견 부적정등 사실확인 공시. 반기 자본잠식률 50% 이상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공시.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