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11.13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11-13 13:07
조회수 :
213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면역항암제, 의료기기, mRNA(메신저 리보핵산), 콜드체인(저온 유통),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마이데이터,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비만치료제, 치매, 유전자 치료제/분석, 줄기세포, 조선, 미용기기,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마이크로바이옴, 화이자(PFIZER),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제약업체,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탈모 치료, 낙태/피임, 슈퍼박테리아,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제대혈 등...


약세 테마 : 유리 기판,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반도체 대표주(생산),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온디바이스 AI, AI 챗봇(챗GPT 등), 시스템반도체,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유심(USIM), 바이오인식(생체인식), 전선, RFID(NFC 등), 반도체 장비,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2차전지(나트륨이온), 스마트카(SMART CAR), 증권, 무선충전기술, 카메라모듈/부품, 퓨리오사AI, 5G(5세대 이동통신),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맥신(MXene), 뉴로모픽 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통신장비, PCB(FPCB 등) 등...




[특징 테마]

제약/바이오 관련주 : 에이비엘바이오, 일라이 릴리와 3.8조원 규모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전일 에이비엘바이오, Eli Lilly and Company와 Grabody-B 플랫폼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계약 체결 공시. 이와 관련, 키움증권은 에이비엘바이오에 대해 릴리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키순라 상용화를 한 대표적인 뇌 질환 개발사라며, 동사의 플랫폼이 릴리의 뇌 질환 개발 전략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특히, 추측컨데 릴리는 아밀로이드 베타 타겟 알츠하이머 치료제 키순라(Kisunla, Donanemab)를 승인 받아 판매 중으로, 동사의 플랫폼을 접목한다면 추후 키순라의 효능과 안전성 개선 및 특허 연장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 이에 에이비엘바이오는 전일 상한가를 기록한 데 이어 금일 급등세를 기록 중.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S&P500 헬스케어 지수(S&P500 Health Care Sector Index)는 1.36% 상승. 애브비(+3.58%), 유나이티드헬스(+3.55%), 애보트 래버러토리(+1.43%), 화이자(+1.41%) 등이 동반 상승. 특히, 일라이 릴리(+2.95%)는 씨티그룹이 경구용 GLP-1 치료제에 대한 기대감 속 목표주가를 기존 1,250달러에서 1,500달러로 상향 조정한 가운데 상승세를 기록.


▷이 같은 소식 속 에이비엘바이오, 더블유에스아이, 경남제약, 일동제약, 셀트리온, 에이프로젠, 바이넥스, 녹십자, 압타바이오, 헬릭스미스, 제넥신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 한미 관세협상 팩트시트 문안 확정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이 관세·안보 합의 결과를 문서화한 '조인트 팩트시트(JFS·합동설명자료)'를 확정한 것으로 전해짐. 양국 정부는 문안 조율을 마치고 최종 본문을 확정했으며, 이르면 이날, 늦어도 14일에는 발표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팩트시트 문안 조율은 끝났다"며 "13일 오후 또는 늦어도 14일 발표할 것"이라고 밝힘.


▷한미는 지난달 정상회담에서 관세 협상에 합의했지만, 안보 분야 세부 문안 조율이 길어지면서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된 바 있음. 원자력 잠수함 연료(농축우라늄) 공급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 정부 부처 간 이견이 제기되면서 문안 확정이 늦어진 것으로 알려짐.


▷전일 언론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는 이번 CPSP 사업과 관련해 최근 한화오션에 입찰제안요청서(RFP)를 전달. 제출 기한은 내년 3월 초까지로, 최종 선정은 이르면 내년 안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 현지 정부는 지난 8월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 원팀은 독일의 티센크루프마린시스템(TKMS)을 해당 사업의 적격후보로 선정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대한조선, 한화오션, 성광벤드, 범한퓨얼셀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석유화학 : 석유화학 업체 불황 정상화 기대감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석유화학 업종에 대해 2021년 상반기 이후 강한 다운사이클 진행되며 올해 화학 업체 평균 12개월 선행 PBR은 역대 최저 수준(0.4배)까지 하락한 가운데, 글로벌 구조조정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저유가 기조로 전환되며, 관세 불확실성 완화 및 中 부양책으로 수요 회복이 예상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과도하게 낮아진 시황 정상화가 기대된다고 밝힘.


▷특히, 화학 투자전략의 핵심은 턴어라운드와 디스카운트 해소이며, Top Picks로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을 제시. LG화학은 구조조정 수혜 및 화학 턴어라운드, 26년 양극재 신규 고객사 확대, LGES 지분활용(디스카운트 해소)으로 주가 재평가가 전망된다고 언급했으며, 롯데케미칼은 저유가/천연가스 강세 기조 속 구조조정 본격화 및 수요 개선에 따른 시황 회복으로 과도하게 낮아진 주가 정상화가 기대된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SK케미칼, LG화학, 롯데케미칼, 코오롱인더, 애경케미칼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우진(105840) : 3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75.54억원(전년동기대비 +91.80%), 영업이익 98.2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02.44억원(전년동기대비 +1,104.16%).


KG케미칼(001390) : 3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6조원(전년동기대비 +14.74%), 영업이익 902.12억원(전년동기대비 +1,145.85%), 순이익 531.48억원(전년동기대비 +3,570.44%).


셀트리온(068270) : 주력 바이오시밀러 3종, 유럽 처방 1위 기록 소식에 강세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판매 중인 자가면역질환항암 바이오의약품 3종이 글로벌 핵심 제약 시장인 유럽에서 처방 1위를 기록해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알려짐.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동사의 대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램시마 제품군(IVㆍSC)은 올해 2분기 기준 유럽에서 69%의 점유율로 처방 1위 자리를 공고히 유지하고 있으며, 영국 87%, 스페인 80% 등 유럽 주요 5개국에서 높은 처방량을 기록 중인 가운데, '램시마SC'(인플릭시맙 피하주사 제형) 단독으로도 프랑스 34%, 독일 29% 등 의미 있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전해짐. 또 다른 주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는 유럽에서 26%의 점유율을 기록해 출시 이후 처음으로 처방 1위에 올라섰으며, 직결장암 및 유방암 치료제 '베그젤마'(성분명:베바시주맙)도 영국 55%, 프랑스 34% 등 주요국 성과를 바탕으로 유럽에서 24%의 점유율을 기록해 처방 1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경쟁이 치열한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동사만의 제품 경쟁력과 직판 역량을 바탕으로 주력 제품들이 유럽 처방 1위를 기록하며 경쟁사들을 압도하는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며, "기존 제품들의 판매 성과가 신규 출시 제품들로 확산될 수 있도록 유럽 내 직판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매출 성장과 이익 개선을 동시에 이뤄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이 같은 소식 속 셀트리온제약도 상승세를 기록중임.


하이브(352820) : 뉴진스 멤버 전원 어도어 복귀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뉴진스 멤버 전원이 하이브 산하 레이블 어도어로 복귀하게 되는 것으로 전해짐. 뉴진스 멤버 민지, 하니, 다니엘은 법률 대리인을 통해 "신중한 상의를 거쳐 어도어로 복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힘. 앞서 어도어는 보도자료를 내고 "해린과 혜인이 어도어와 함께 활동을 이어가겠다는 의사를 밝혀왔다"고 전한 바 있으며, 뉴진스는 5인조인데 해린과 혜인만 어도어와 활동을 지속하겠다고 밝힌 것이라 다른 멤버들의 향방에 관심이 쏠린 바 있음.

▷이와 관련,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중단되었던 ADOR의 핵심 IP 활동이 점진적으로 회복 국면에 진입했다고 판단. 2027년부터 본격적인 2인 체제 혹은 완전체 활동이 가능하다며, 2023년 어도어 영업이익은 335억원을 기록하며 1년만에 손익분기점을 돌파한 그룹이라는 점에서 2027년부터는 최소 200억원~300억원 이상의 이익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70,000원 -> 380,000원[상향]


교촌에프앤비(339770) : 3분기 실적 개선 및 4분기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351.93억원(전년동기대비 +5.98%), 영업이익 112.50억원(전년동기대비 +47.22%), 순이익 75.53억원(전년동기대비 +66.75%).

▷이와 관련,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했다며, 긍정적인 것은 가맹지역본부 직영 전환 후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 및 수익성이 개선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밝힘. 이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1,320억원, 영업이익 9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4.7%, 72.4% 증가하면서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정부의 소비 진작 정책(민생회복 소비자 쿠폰) 등으로 4분기에도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매출 성장을 기대한다고 언급.

▷한편, 괴리율 부담으로 목표주가는 하향조정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000원 -> 6,300원[하향]


코오롱인더(120110) :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분석 및 내년 영업이익 개선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8조원(전년동기대비 +3.17%), 영업이익 268.99억원(전년동기대비 -12.75%), 순이익 102.1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236억원을 상회했다고 밝힘. 특히, 산업자재 영업이익이 222억원(+129%)을 기록했다며, 타이어코드는 고부가 하이브리드향 중심 판매 확대 등으로 가동률 상승하며 수익성이 개선되었고, 아라미드는 판가 하락세 진정 및 가동률 상승에 따른 고정비 감소로 적자가 축소되었다고 설명.

▷이어 2026년 영업이익은 주요 사업부 실적 개선에 힘입어 2,193억원(+4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라미드 바텀 아웃, 타이어코드 회복, 고부가 수지 제품 확대 등으로 이익 모멘텀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 여전히 12개월 선행 PBR(주가순자산비율)은 0.3배(팬데믹 기간 저점)에 불과하므로 저평가 매력이 유효하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7,000원 -> 53,000원[상향]


POSCO홀딩스(005490) : 리튬 광산 투자 긍정적 평가 등에 소폭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차전지 소재 원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호주 리튬 대형 광산 두 곳의 중간지주사 지분을 1조원 이상 확보했다며, 리튬 가격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에 상공정(광산 단계) 이익을 직접 가져가고, 향후 하공정(수산화리튬 생산) 확대 여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투자라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전일 공시를 통해 MinRes(Mineral Resources)가 Albemarle, Ganfeng Lithium과 공동 소유한 리튬 광산(Wodgina와 Mt. Marion)을 자산으로 하는 신설 리튬지주사(가칭:LithiumCo)의 지분 30%를 7억 6,500만달러(약 1.1조원)에 인수를 발표했으며, 거래는 2026년 상반기 종결 예정이라고 설명.

▷아울러 동사는 현재 연 9.3만톤의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염수 5만톤+광석 4.3만톤)을 갖추고 있음을 감안하면 이번 지분투자로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은 최대 40%(3.7만톤) 증가시킬 수 있는 양질의 안정적인 원재료를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 즉, 리튬 가격 상승 시 광산에서 창출되는 이익(일반적으로 상공정 수익성이 하공정보다 높음)을 향유함과 동시에 양질의 원재료(스포듀민)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빠른 하공정 투자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전망.


에이블씨엔씨(078520) : 3분기 적자전환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94.63억원(전년동기대비 -5.46%), 영업손실 9.5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3.2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이번 실적 부진은 국내와 일본·유럽 매출 감소의 영향이 컸다며, 지역별로 보면 국내 매출은 222억원으로 전년 대비 10.5% 줄었고, 유럽은 90억원(-31.8%), 일본은 75억원(-34.2%)으로 감소했다고 설명.

▷이와 관련, 신유정 동사 대표는 "이번 3분기는 해외 현지 마케팅 등 전략적 투자가 수반된 폭발적 성장의 신호탄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미국과 유럽 중심의 글로벌 사업 성과가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만큼 4분기부터는 안정적 성장 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밝힘.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큐리오시스(494120) : 신규 상장 첫날 상한가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22,000원을 상회한 88,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하며 상한가를 기록중임. 한편, 동사는 생명과학 소부장 전문업체로, 바이오엔지니어링 및 자동화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Lab automation을 구현하기 위한 바이오 연구장비, 랩 오토메이션 제품 및 의료기기 개발 및 제조 등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세종텔레콤(036630) : 340억원 규모 현대차증권 지분 전량 처분 결정 등에 상한가

▷전일 장 마감 후 차입금 상환 및 유동성 자금 확보 목적으로 현대차증권(주) 지분 전량(4,000,000주)을 340.00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예정일:2025-11-12) 공시.

▷한편, 감자 결정에 따라 지난 10월23일부터 거래정지 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전일 재개됐음. 동사는 지난 27일 감자완료 공시를 통해 강제유상소각으로 감자 완료된 주식에 대하여 주당 6,000원의 소각대금을 전일 지급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음.


로킷헬스케어(376900) : 'AI 심장재생 패치' 개발 완료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심근 수축 및 이완 기능을 구현하는 독자적인 AI 심장재생 패치의 제작을 완료했으며, 심근경색 동물 모델을 이용한 국내외 전임상 시험에 본격 착수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번 AI 심장재생 패치는 심장근육과 모세혈관의 동시 재생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주요 기능은 전기신호 전도 및 동기 수축 유도, 심장벽의 구조적 보강, 줄기세포 및 성장인자의 국소 전달, 면역·염증 반응 최소화임. 이를 통해 손상된 심근을 재생하는 것이 핵심인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국내외 심장 분야 최고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효능·안전성을 단계적으로 검증하고 적응증을 심근경색·확장성 심근병증·심부전 등으로 확장할 계획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근본적인 심혈관 질환 치료법 개발은 장기재생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고 시급하게 해결 해야 할 도전 과제"라며, "피부, 연골, 신장에 이어 심장근육과 혈관을 재생하는 AI 심장재생 패치를 통해 종합 장기 재생 분야의 글로벌 퍼스트 무버로 도약하겠다"고 밝힘.


한양디지텍(078350) : 3분기 호실적에 급등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84.15억원(전년동기대비 +38.24%), 영업이익 97.70억원(전년동기대비 +125.47%), 순이익 87.22억원(전년동기대비 +125.57%).


더블유에스아이(299170) : 자회사 이지메디봇 개발 전자동 자궁거상 로봇 수술기, 유럽 19개국 특허 등록결정서 접수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이지메디봇이 개발 중인 전자동 자궁거상 로봇 수술기에 대해 유럽특허청(EPO)으로부터 등록결정서를 접수했다고 밝힘. 이번 등록 결정은 '자궁거상기'에 대한 것으로, 특허 등록 공개 예정일은 오는 11월 26일이며, 독일·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 등 유럽연합 18개국 및 영국을 포함한 총 19개국에 대한 국가별 특허등록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2026년 상반기 중 해당 국가들의 최종 특허 등록을 완료할 예정이며, 유럽 특허 출원과 동시에 진행한 미국 특허 출원도 현재 심사 중이며 내년 상반기 이내에 등록 결과가 공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유럽 19개국 특허 등록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며, "2026년 하반기부터는 유럽 및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수출에 나설 것"이라고 밝힘.


디앤디파마텍(347850) :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74,700원임.


에이프릴바이오(397030) : 파트너사, APB-A1 TED 우호적 중간 결과 첫 공개 소식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해외 기술이전 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가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갑상선안병증(TED) 임상의 우호적 중간 결과를 첫 공개한 것으로 전해짐. 덴마크 룬드벡은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TED 환자를 대상으로 한 'Lu AG22515'(APB-A1)의 임상 1b상중간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한 것이며, 해당 물질이 다수 적응증을 대상으로 개발 중인 만큼, 후속 임상에 따른 기술료(마일스톤) 유입과 확장 기반을 확보한데 의미가 부여되는 것으로 알려짐. 룬드벡은 발표를 통해 APB-A1이 안구돌출증에서 명확한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으며, 임상을 통해 2mm 이상(내원 7회차) 안구가 들어간 것을 확인한 것이 골자임.

▷이와 관련,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APB-A1의 TED 환자 대상 중간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며, 추가적인 효능 개선 여지 크다고 판단. 아울러 임상 결과 발표에 따른 동사의 재평가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며, 1H26 룬드벡의 TED 업데이트 결과 발표, 1Q26 에보뮨의 APB-R3 아토피피부염 환자 대상 임상 2상 결과 발표가 전망된다고 밝힘. 특히, 에보뮨의 경우 SAFA 플랫폼의 재평가 가능한 비임상/임상 데이터 확보 중이라 내년이 더 기대된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0,000원[유지]


피플바이오(304840) : 경영권 변경 등에 관한계약 체결 및 약 360억원 규모 투자 유치 등에 강세

▷최대주주 강성민이 (주)이스턴네트웍스와 경영권 변경 등에 관한계약 체결 공시.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이스턴네트웍스 대상 6,442,376주(8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397원, 상장예정:2026-01-05) 공시.

▷기타자금 확보를 위해 (유)리얼리티젠 대상으로 27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581원, 전환청구일:2026-12-11 ~ 2055-11-11) 공시. 890.00억원 규모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양수 결정(양수기준일:2025-12-11) 공시.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재무 구조 강화 및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이스턴네트웍스 및 유한회사 리얼리티젠으로부터 대규모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고 공동 사업 추진에 합의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강성민 대표는 "이번 이스턴네트웍스의 전략적 투자는 피플바이오가 재무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AI라는 강력한 성장 동력을 장착하게 된 중대한 전환점"이라며 "AI 데이터센터 인프라와 치매 포탈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바이오 헬스케어 시장의 리더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힘.


펩트론(087010) : 일라이 릴리와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연구에 ‘오토인젝터(자동주사기)’ 기술 개발 소식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일라이 릴리와 지난해 10월부터 진행 중인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연구에 ‘오토인젝터(자동주사기)’ 기술 개발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짐. 오토인젝터는 약물이 자동으로 주입되는 일체형 장치로, 주사 바늘이 보이지 않아 심리적 부담을 줄이고 복약 순응도를 높인다고 알려짐. 환자의 투약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연구로, 자사의 장기지속 플랫폼 ‘스마트데포’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계기가 될 전망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오토인젝션 연구를 포함해 릴리와의 협력을 진행 중”이라며 “임상 단계에서는 프리필드 시린지(PFS) 형태로만 사용되지만, 상업화 단계에서는 오토인젝터를 결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고 밝힘.


코아시아씨엠(196450) : 3분기 흑자전환에 강세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14.38억원(전년동기대비 -12.78%), 영업이익 11.0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9.24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3개 분기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으며, 그동안 이어진 실적 부담을 털고, 올해를 턴어라운드 기점으로 실적 안정세를 뚜렷하게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해짐. 실적 회복에는 글로벌 스마트폰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삼성전자 주요 모델의 판매가 확대된 점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 특히, 갤럭시 A시리즈의 판매가 안정적으로 이어지며, 카메라모듈·광학렌즈를 공급하는 동사의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됐다고 알려짐.


대원미디어(048910) : 3분기 흑자전환에 상승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29.44억원(전년동기대비 +54.99%), 영업이익 36.8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1.2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박셀바이오(323990) : 서울대와 황반변성 DDS 치료제 MOU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12일 서울대 종합약학연구소와 황반변성 항체치료제 DDS(약물전달시스템) 제형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 체결로 양 기관은 항체치료제 DDS 플랫폼 연구 협력, 보유 장비와 기술 및 시장정보의 상호 공유, 공동 연구 과제에 대한 행정 및 기술 지원 등에서 전방위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이제중 동사 대표는 "기존의 황반변성 치료제는 항체 크기로 인해 주사제형으로 제조되고 있다. 나노바디 항체 기술로 크기를 줄여 투여 경로를 다각화한 DDS제형이 나오면, 점점 커지고 있는 전 세계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에 판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DDS 분야에 세계적 연구 역량을 갖춘 서울대 종합약학연구소와의 협력으로 황반변성 치료제 외에도 여러 개량 신약 연구 개발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SAMG엔터(419530) : 김수훈 대표이사, 동사 주식 추가 취득에 상승

▷임원ㆍ주요주주(대표이사 김수훈)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장내매수) 전자공시. 추가 취득 주식수는 6,900주이며, 취득 단가는 44,304원임. 이에 따라 김수훈 대표이사의 주식수는 총 146만1,368주, 주식수 비율은 15.08%임.


파마리서치(214450) : 美 셀럽 크리스 제너, 리쥬란코스메틱 SNS 언급 부각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세계적 셀럽인 크리스 제너가 개인 SNS를 통해 동사의 '리쥬란 턴오버 앰플'과 '리쥬란 힐러 턴오버 앰플 듀얼 이펙트'를 소개, 조회수 100만회를 돌파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고 전해짐. 동사는 전일 자사 브랜드 '리쥬란코스메틱'의 대표 제품이 영상을 통해 소개된 이후 아마존과 틱톡샵 등 주요 온라인 채널에서의 관심이 급등했다고 밝힘.

▷크리스 제너는 자신의 틱톡 계정에서 리쥬란코스메틱 제품을 직접 사용하는 모습을 공개해 "내 뷰티 루틴에서 빠질 수 없는 필수템"이라고 언급. 해당 영상은 조회수 100만회를 돌파했고, 틱톡 내 '#GlowWithKris' 챌린지로 이어져 해당 해시태그의 누적 조회수가 1,200만 회를 돌파했다고 전해짐.


케이티알파(036030) : 3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5년3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963.00억원(전년동기대비 +4.84%), 영업이익 113.46억원(전년동기대비 +161.36%), 순이익 127.95억원(전년동기대비 +190.86%).


SGC E&C(016250) : 3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258.03억원(전년동기대비 +29.77%), 영업이익 115.92억원(전년동기대비 +915.95%).


포니링크(064800) : 자율주행 전문 자회사 퓨처링크 공식 설립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 경쟁력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모빌리티사업부문을 분사, 자율주행 전문 자회사 퓨처링크를 설립한다고 밝힘. 퓨처링크는 포니에이아이(Pony.ai) 등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해 우수한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하고 이를 국내 도로 환경과 교통법규에 최적화된 알고리즘, 제어 시스템 등으로 현지화하는 작업을 할 계획이다. 또 기술력을 확보하고 국내 업체들과 협력해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에 본격적으로 집중할 방침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서울 강남구 시험운행 등을 통해 자율주행기술 우수성을 입증했고 향후 유상운송서비스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우리나라 로보택시와 로보버스 서비스를 선도하는 기업이 되는 것이 목표"라고 밝힘.


원텍(336570) : 4분기 재차 분기 최대 실적 경신 전망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비수기 및 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으나, 4분기는 계절적 성수기에 이연된 기술이전수입 매출 인식까지 더해져 재차 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 특히, 당분기 부진하였던 태국향 수출 또한 재고 조정이 마무리됨에 따라 다시금 성장세 나타낼 것으로 기대. 최근 차세대 HIFU 제품 '울트라스킨 타이탄' 공개에 이어 영국·호주에서 신규로 장비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미국향 레이저 장비 누바덤 또한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며 성장 잠재력 확대 중이라고 설명.

▷한편, 실적 부진을 반영하여 전망치를 하향하나, 주가 하락으로 인해 '25E PER 14.5배, '26E 12.4배 수준으로 Valuation 매력은 오히려 높아져 저평가 매력이 높다고 판단.


티엘비(356860) : 3분기 호실적 기록 및 26년 상장 지속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 매출액,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48%, +212% 증가해 예상치 대비 각각 4%, 6% 상회했다고 밝힘. 하이엔드 서버향(DDR5, eSSD) 고부가 기판 판매 확대가 전체 실적 견인했다고 밝힘. 아울러 전분기대비 수주잔고 및 ASP(평균 판매단가) 상승도 긍정적이라고 밝힘.

▷또한, 수주잔고는 전분기와 유사한 445억원으로 견조한 메모리 기판 수요를 확인했다고 밝힘. 2026년 DDR5(8,000Mbps), 신성장동력(소캠, CXL 등) 등 매출 본격 가세로 P↑, 2H26 설비 투자 확대 효과 반영으로 Q↑ 전망. 이에 2026년 영업이익 413억원(+58%) 고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81,000원 -> 90,000원[상향]


제테마(216080) : 톡신 '간접수출' 분쟁 1심 승소 소식에 소폭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보툴리눔 톡신 간접수출과 관련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3년 간 벌인 법적 다툼에서 1심 승소 판결을 받은 것으로 전해짐. 서울행정법원 제14부는 동사가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을 상대로 제기한 ‘잠정 제조중지 명령 등 취소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리고, 식약처의 행정처분을 모두 취소하라고 명령했으며, 앞서 식약처는 2022년 11월 ‘제테마더톡신주100IU’(수출용)에 대해 품목허가 취소와 제조업무 정지 6개월 처분을 내린 바 있음.


엠로(058970) : 삼성전자와 80.4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13%)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삼성전자 주식회사와 80.4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13%) 규모 공급계약(시스템 운영 계약) 체결(계약기간:2025-09-16~2026-10-31) 공시.


JYP Ent.(035900) : 3분기 실적 부진 등에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326.26억원(전년동기대비 +36.45%), 영업이익 407.92억원(전년동기대비 -15.71%), 순이익 271.66억원(전년동기대비 -29.97%).

▷이와 관련,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어닝 쇼크라며, 신인 3팀(뻔푸소년(중국), 걸셋(미국), 영빈(국내; 자회사)) 관련 데뷔 비용 발생했고, 고연차 2팀의 활동 집중된 가운데 앨범 발매량 자체도 증가한 점(3Q24: 4개→ 3Q25: 7개)이 콘텐츠 제작비 확대로 이어진 영향이라고 설명.

▷다만, 저평가 장기화로 낮아진 기대감 대비, 저연차 라인업의 성장세가 고무적이라고 밝힘. 엔믹스의 경우 서구권을 포함한 월드투어 예정이며, 킥플립 역시 코어팬 중심의 팬덤을 꾸준히 확보하는 중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05,000원 -> 100,000원[하향]


매커스(093520) : 3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93.26억원(전년동기대비 +17.67%), 영업이익 38.53억원(전년동기대비 -31.01%), 순이익 29.20억원(전년동기대비 -19.22%).


루닛(328130) : 적자 확대·현금 고갈로 경영 불확실성 확대 소식에 급락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외형 성장에는 성공했지만, 적자 확대와 현금 고갈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전해짐. 동사는 최근 인건비 절감을 위해 전체 인력의 15%를 줄이는 구조조정을 마쳤지만, 불어나는 적자로 인해 흑자 전환과 관리종목 지정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고 알려짐. 특히, 지난해 인수한 뉴질랜드 볼파라 헬스 테크놀로지와의 통합 과정에서 추가 비용이 불가피해 남은 현금이 올해 안에 바닥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음.

▷아울러 동사의 2027년 흑자 전환도 불투명하다고 전해짐. 에프앤가이드 컨센서스에 따르면, 동사의 적자는 2026년 460억원, 2027년 105억원 수준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 회사의 대표 제품인 AI 암 진단 플랫폼 ‘루닛 인사이트’와 AI 암 치료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의 매출이 증가한다고 해도 흑자 전환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분석임. 또한, 동사는 유상증자 대신 지분 희석 없는 자금 조달 방법을 찾고 있는 가운데, 현재 볼파라 지분을 담보로 한 1,000억원 규모 사모사채 발행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음. 다만, 업계에서는 단기 유동성 확보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근본적 해결책은 아니라는 시각이 우세하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한 증권사 연구원은 "사모사채를 발행해도 내년부터 손실을 500억원 이하로 줄이지 못하면 관리종목 지정 위험을 피하기 어렵다"며, "올해 조달은 단기 연명책에 불과하고, 지금 같은 손실 구조가 이어지면 2027년 흑자전환은 요원하다"고 지적했음.


푸드웰(005670) : 3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17.14억원(전년동기대비 +13.86%), 영업이익 56.57억원(전년동기대비 -1.98%), 순이익 34.82억원(전년동기대비 -17.77%).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