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11.17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11-17 14:51
조회수 :
115

오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반도체 대표주(생산), 3D 프린터, 3D 낸드(NAND), 호텔/리조트, PCB(FPCB 등), 반도체 장비, HBM(고대역폭메모리),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카지노,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온디바이스 AI, 여행,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모더나(MODERNA), 뉴로모픽 반도체, 김밥(냉동김밥 등), 의료AI, 화이자(PFIZER), IT 대표주, 정유, 마리화나(대마), 반도체 재료/부품, 석유화학, 시스템반도체, 재택근무/스마트워크, NI(네트워크통합), 편의점, LPG(액화석유가스), 초전도체, LED장비,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낙태/피임, 화학섬유, 아이폰 등...


약세 테마 : 자전거, 캐릭터상품, 리튬, 웹툰, 엔젤산업, 탄소나노튜브(CNT), 퓨리오사AI, 전기자전거, 손해보험, 면세점,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제지, 골판지 제조, 광고, 밥솥, 조선기자재, 항공/저가 항공사(LCC), 2차전지(전고체), 피팅(관이음쇠)/밸브, 국내 상장 중국기업, 2차전지(장비), 2차전지(소재/부품), NFT(대체불가토큰), 폐배터리, 영상콘텐츠, 증강현실(AR), 골프, 스테이블코인, 은행,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등...




[특징 테마]

조선/ 조선기자재 : 美 해군참모총장 국내 조선소 방문 소식 속 MASGA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언론에 따르면, 지난 주말 미국 해군참모총장이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의 조선소를 연달아 찾아 우리 기업의 함정 기술력을 직접 확인하고 마스가(MASGA)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짐. 지난 15일 대릴 커들 미국 해군참모총장, 케빈 킴 주한미국대사대리 등 일행은 HD현대중공업 울산 본사를 방문했으며, 정기선 HD현대 회장은 대릴 커들 참모총장을 만나 조선 분야 세계 최고 기술력과 경쟁력을 직접 소개하고, 양국 조선 협력 방안을 논의했음.


▷아울러 커들 참모총장은 같은 날 케빈 김 주한미국대사관 대사대리 등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도 찾아 사업장 내 전시실을 시작으로 조립공장, 특수선 안벽 등을 살펴봤으며, 한화오션이 유지·보수·정비(MRO) 작업 중인 미 해군 보급함인 ‘찰스 드류함’ 앞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대형 조선 인프라를 가진 한화오션의 사업 역량을 치켜세우며 양국 조선 협력이 한∙미동맹을 더욱 굳건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음.


▷HD현대미포, 오세아니아 소재 선사와 2,19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74%) 규모 공급계약(115K P/C 2척) 체결(계약기간:2025-11-15~2029-02-28) 공시. 아울러 HD현대 종속회사인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언론을 통해 베네수엘라 최대 식품기업인 폴라(Polar) 그룹으로부터 전동지게차 230대를 수주했다고 밝힘.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2톤급 전동지게차 178대와 3톤, 4.5톤급 전동지게차 52대 등 총230대를 2026년 1월까지 현지에 공급하고, 폴라 그룹이 발주할 후속 입찰에도 참여할 계획임.


▷이 같은 소식 속 HJ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대양전기공업, 동방선기, 비엠티, 한화엔진 등 일부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현대중공업그룹 지주사인 HD현대도 시장에서 부각.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 누리호 4차 발사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27일 새벽 누리호 4차 발사가 진행될 예정인 가운데, 이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음. 16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 4차 발사에는 무게 516㎏ 주탑재위성 '차세대중형위성 3호(이하 차중 3호)'와 부탑재위성 12기 등 총 13기 위성이 실릴 예정. 특히, 차중 3호에는 한림대가 제작한 3D 바이오프린팅 및 줄기세포 기술 검증용 '바이오 캐비닛', 우주 플라스마와 자기장을 측정하는 KAIST(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의 'IAMMAP', 한국천문연구원의 지구 오로라와 대기광 관측 카메라 'ROKITS' 등 3개 탑재체가 실릴 예정이며, 총무게 79㎏인 12개 부탑재위성은 차중 3호에 이어 약 20초 단위로 한 번에 2대씩 분리될 예정임. 이번에 국산화 비율이 높아진 3호가 성공하면 민간 주도의 본격적인 양산 체계에 성공했다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음.


▷이에 금일 스피어, 이노스페이스, 한양이엔지, 한국항공우주, 제노코, 쎄트렉아이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가 상승.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 국제유가 급등 영향 등에 상승

▷지난 주말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우크라이나 드론으로 인해 러시아 주요 항만 원유수출 차질 소식 등에 급등.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2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40달러(+2.39%) 급등한 60.09달러에 거래 마감.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노보로시스크 항만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정박해 있던 선박과 아파트 건물, 원유저장소가 피해를 입었고 선원 3명이 다친 것으로 전해짐. 글로벌 공급량의 2%에 달하는 하루 220만배럴의 원유를 수출하는 노보로시스크 항만은 이번 공격 이후 원유 수출을 일시 중단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GS, S-Oil, E1, 중앙에너비스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 테마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 가상화폐 시장 약세 지속 등에 하락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AI 칩 감가상각 논란 확산 속 거품론 지속,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가상화폐 시장은 약세를 지속. 특히, 한 달 전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던 비트코인은 30%가 넘는 올해 상승분을 모두 반납. 이날 오후 2시 경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약 0.6%, 일주일 전 대비 약 10.4% 하락한 9만5,000달러 부근에서 거래 중이며, 빗썸과 업비트에서는 1억4,200만원 부근에서 거래 중. 가상화폐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24시간 전 대비 약 0.1%, 일주일 전 대비 약 12% 하락한 3,180달러 부근에서 거래 중.


▷블록체인 데이터분석업체 난센의 제이크 케니스 선임 애널리스트는 "이번 매도세는 장기 보유자의 차익 실현, 기관 자금 유출, 거시경제 불확실성, 레버리지 롱포지션 청산이 한데 겹친 결과"라며 "오랜 기간 박스권 흐름이 이어진 후 시장이 일시적으로 하락 방향을 선택한 것은 분명하다"고 분석.


▷이 같은 소식 속 위메이드, 비트맥스, 엠게임, 우리기술투자, KG모빌리언스, SBI인베스트먼트, 한화투자증권, TS인베스트먼트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테마가 하락.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이수화학(005950) : 3분기 흑자전환에 급등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417.85억원(전년동기대비 -7.32%), 영업이익 63.6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3.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별도기준 매출액 3,706.93억원(전년동기대비 +1.31%), 영업이익 147.59억원(전년동기대비 +6,596.30%), 순이익 127.5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한국항공우주(047810) : 4분기 실적 개선 전망 등에 강세

▷DB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 매출액은 7,021억원(-22.6%YoY, -15.2%QoQ), 영업이익은 602억원(-21.2%YoY, OPM 8.6%)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했지만, 4Q25에는 LAH 납품(7대 이상), FA-50PL 매출인식 증가로 매출/영업이익이 급증할 것이라고 밝힘. 국군용 LAH는 10월부터 납품이 진행 중이며, 폴란드향 FA-50의 개발 지연 리스크는 대부분 해소된 상황이라고 언급. 4Q25 실적은 매출액 1.3조원, 영업이익 1,260억원(OPM 9.4%)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어 2H26부터 KF-21 국군향 납품을 시작으로, 26년은 FA-50PL, FA-50M의 매출 인식이 오버랩 되는 시점이라고 밝힘. LAH/KF-21은 초기 인도 단계이기에, 수익성은 확인이 필요하나, 25E 3.5조원 -> 26E 5.5조원 -> 27E 6.7조원으로 매출액 볼륨이 급증하는 구간이라며, 수익성도 FA50GF 납품 당시 입증했던 규모의 경제 효과를 고려하면 우상향 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5,000원[유지]


HD현대미포(010620) : 2,194억원 규모 115K P/C 2척 수주에 상승

▷오세아니아 소재 선사와 2,194.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74%) 규모 공급계약(115K P/C 2척) 체결(계약기간:2025-11-15~2029-02-28) 공시.


LS ELECTRIC(010120) : 1,100억원 규모 북미 변압기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미국 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에서 1,100억원(약 7,600만달러) 규모의 변압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해당 프로젝트는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급성장하는 AI 산업의 핵심 기반인 안정적인 전력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이며, 본 사업 발주 회사는 계약 조건에 따라 비공개인 것으로 전해짐. 이번 계약으로 동사는 내년부터 오는 2028년까지 약 2년 동안 대형 데이터센터 단지에 배전 변압기 기반의 전력 공급 솔루션 일체를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수주는 글로벌 데이터센터 고객으로부터 회사의 기술력과 신뢰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결과"라며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배전 분야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는 만큼 AI와 클라우드 확산으로 전력 인프라 수요가 급증하는 북미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신규 사업을 발굴하고 사업을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DB손해보험(005830) : 3분기 순이익 컨센서스 하회 분석 등에 하락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순이익이 컨센서스를 28% 하회했다며, 특히 보험손익이 전년동기대비 71.7% 감소하며 부진했다고 밝힘. 장기보험은 전년동기대비 58.6% 감소했고, CSM상각익은 상각률 하락으로 감소했으며(-3.2% YoY), 예실차는 업권 공통적인 요인인 의료파업 기저효과, 청구 증가 등으로 부진했다(위험손해율 +12%p, 보험금 예실차 적전 YoY)고 설명. 또한, 자동차보험은 누적 요율 인하 영향 및 손해율 악화(91%, +7%p YoY)로 적자전환되었다고 언급.

▷다만, 올해 일회성 사고 영향 고려 시, 내년 이익 개선폭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자본비율은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이며, 중장기적으로 미국 보험사 Fortegra 인수 기반 이익 개선 및 주주환원 확대 기대는 유효하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70,000원[유지]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쎄크(081180) : 글로벌 반도체 N사 성능평가 통과 속 연내 수주 확대 기대감 등에 상한가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글로벌 반도체 기업 N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성능 평가를 통과하며 연내 수주 확대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고 전해짐. 특히, HBM(고대역폭메모리) 검사장비 ‘NF120’ 추가 수주와 선형가속기(LINAC) 대형 계약 가능성까지 언급되면서 최근 주가 조정에도 불구하고 기술 경쟁력은 오히려 더 부각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HBM 검사장비 NF120 모델의 4분기 추가 수주를 추진 중이며, N사 성능평가 이후 구체적 수주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 국내외 HBM 검사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글로벌 고객사의 성능 인증까지 확보한 점은 의미가 크다는 평가임.


한국비엔씨(256840) : GLP-1/GIP/GCG 삼중작용제-알부민 지속형 비만치료후보물질, 위고비보다 우위의 체중감소 효과 확인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프로앱텍과 공동개발하고 있는 지속형 비만치료제중 GLP-GIP-GCG 삼중작용제-알부민 접합체 2차 후보물질의 동물실험결과, 위고비보다 높은 수준의 체중감소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힘. 프로앱텍은 독자적인 펩타이드 디자인을 통해 GLP-1과 함께 GCG 및 GIP 수용체에 작용 활성이 있는 다중 작용 펩타이드를 24종 개발하였고, 이중 3개에 대하여 in vitro 활성을 확인하였다며, 그 결과 높은 수준의 활성과 4주 이상의 안정성을 확인했다고 알려짐. 이중 24-7의 펩타이드가 GLP와 GIP에 대하여 가장 높은 cAMP활성을 보였는데 이는 AI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알부민 결합위치를 확인한데서 기인한다고 밝힘.

▷특히, 본 실험은 지난 1차때의 체중감소효과보다 10%이상 향상된 수치로서 위고비보다 20%정도의 체중감소효과가 확인된 것으로 현재는 2차 개량 펩타이드의 알부민 접합위치 변경, 비천연아미노산의 위치등을 최적화하여 3차 펩타이드는 GLP, GIP, GCG수용체에 대한 결합력을 대폭 향상시켜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개발되고 있다고 전해짐. 현재 동사와 프로앱텍은 시장에서 시판되고 있는 위고비 또는 마운자로 보다 투여주기는 더 길면서 유의미한 체중감소 효과를 내는 최종 지속형 비만치료후보물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최종후보물질의 제품가치가 확인되면 이의 후속연구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 전세계를 상대로 기술이전 혹은 라이센스아웃 등을 추진할 계획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글로벌 데이터에 따르면 위고비와 마운자로의 연간 매출이 수십조 원에 달할 정도로 시장성은 명확하다"며, "최종 후보물질의 가치가 확인되는 즉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기술이전(License-Out)을 적극 추진해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언급.


휴먼테크놀로지(175140) : 자회사 휴먼아고스, 원자력 발전소 드론 방어 시스템 수주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안티드론 및 차세대 전파통신 시스템 전문 자회사 휴먼아고스가 한국수력원자력월성 원전본부와 통합 대드론 방어체계 구축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에 따라 휴먼아고스는 효과적 드론 방어 체계 구축을 위한 각종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 관련 솔루션 일체를 월성 원자력 발전소에 공급할 계획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발전소, 공항 등 국가 기반시설은 국가 경제와 사회 안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자산으로 공백이 발생하면 막대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이에 따라 드론 방어 체계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밝힘. 이어 "최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반도체, 전기차 등 전력 소모가 큰 산업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면서 발전인프라 안보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며 "이번 계약을 시작으로 추가 수주 확대에 전념할 것"이라고 덧붙였음.


다보링크(340360) : 3분기 흑자전환에 상승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06.60억원(전년동기대비 +4.50%), 영업이익 11.85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2.04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전체적으로 누적 매출액은 감소했지만, 최근 3개월 동안의 매출액은 소폭 증가했다"며 "고부가가치제품의 비중을 높여 3분기에 원가율을 낮추면서 흑자구조 전환에 성공했다"고 밝힘. 이어 "수익성이 높은 일본 및 미국향 제품 판매에 집중하여 흑자 기조를 이어갈 수 있다"며 " 1분기 이후 지속적으로 적자상태에 있던 구조를 수익성을 제고시키면서 개선 중이다"고 언급했음.


제이에스링크(127120) : 희토류 영구자석 공급망 확보 진행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글로벌 고객사 실사, 샘플 대응, 말레이시아·미국 공장 프로젝트 등 핵심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올해 42SH 등급 제품의 샘플을 생산한 이후 45UH 등급 제품 개발을 추진해 왔으나 글로벌 고객사들의 요청이 증가함에 따라 즉시 공급이 필요한 SH·H 등급 제품의 샘플 공급을 우선 진행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짐. 동사 관계자는 "샘플 대응 이후에는 곧바로 45UH 생산을 진행할 수 있도록 원재료 확보와 공정 준비를 마친 상태"라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ynas Malaysia와 함께 연 3,000톤 규모의 NdFeB 소결 자석 공장 설립을 추진 중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한·미 간 대규모 전략투자 프레임워크가 마련되면서 희토류·영구자석 프로젝트는 정책·재정 지원을 검토받을 수 있는 우선 산업군으로 분류되고 있다"며 “한국, 말레이시아, 미국에서 연 7,000톤 이상의 비중국 영구자석 생산능력 확보가 가능하다"고 밝힘.


클로봇(466100) : 무브로보틱스와 제조물류 자동화 전략적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말레이시아 자동화 선도기업 무브로보틱스(Move Robotic)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을 통해 동사는 자체 개발/보유하고 있는 자율주행·통합관제 소프트웨어, 이기종 로봇 운영 기술, 시스템 아키텍처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할 예정. 무브로보틱스는 현지 마케팅 역량과 고객 대응력을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공동으로 말레이시아의 제조물류 시장을 공략할 예정.

▷김경필 대표이사는 “이번 MOU는 동사의 로봇 통합 기술과 무브로보틱스의 현지 실행력이 결합된 전략적 협력 모델로, 말레이시아 제조·물류 산업 자동화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로봇 솔루션을 발판으로 동남아시아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혔음.


솔브레인홀딩스(036830) : 3분기 호실적에 소폭 상승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408.97억원(전년동기대비 +48.83%), 영업이익 110.02억원(전년동기대비 +93.71%), 순이익 716.51억원(전년동기대비 +1,050.68%).


아이즈비전(031310) : 3분기 실적 호조에 소폭 상승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65.99억원(전년동기대비 +5.22%), 영업이익 16.11억원(전년동기대비 +157.75%), 순이익 74.53억원(전년동기대비 +690.27%).

▷언론에 따르면, 이번 실적 성장은 가입자 증가와 이용 금액 상승, 제휴 요금제의 고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전해짐.


@인포스탁